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3:19:08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중계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1. 개요2. 대회 전 전망3. 중계진
3.1. 캐스터3.2. 해설위원
4. 중계진 현황5. 중계 현황6. 시청률 현황7. 총평8. 기타

1. 개요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에 대한 대한민국 내 중계 방송을 다룬다.

대한민국 내 중계권은 SPOTV의 모기업 에이클라미디어그룹에서 보유하고 있으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당시에는 에이클라가 KBS, MBC, SBSTV CHOSUN에게 중계권 재판매를 했던 바 있다.

2025년 1월 24일, KBS 김진웅 아나운서가 인스타를 통해 모태범과 중계 리허설을 하고 있다고 올려 KBS에서 중계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같은 날 MBC 스포츠국 유튜브 채널인 'MBC스포츠탐험대'에 김아랑이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합류했다는 내용이 올라왔다.

1월 26일, 김명정 캐스터가 프리미어 리그(울버햄튼 대 아스날) 중계 시작 전 SPOTV에서도 이번 아시안 게임을 중계한다고 언급했다.

1월 31일, 편성표를 통해 KBS, MBC, SPOTV의 중계가 확정되었으며 SBS는 중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 SPOTV NOW가 뉴미디어 중계를 담당한다.

대한민국과 중국 간의 시차를 고려하면 대부분의 경기는 10~18시에 진행된다. 평일의 경우 낮 뉴스 토크 프로그램들은 결방 내지 단축 방송이 불가피하고, 생활 정보 프로그램 등은 결방이 거의 확실시된다. 동계 아시안 게임의 인기나 인지도가 낮기 때문에 황금 시간대엔 정규 방송을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경기는 녹화 중계할 수도 있다.

대회 기간 동안 12시, 2시 뉴스 및 시사대담 프로그램은 평소 대비 시간이 줄어들거나 결방할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시간은 대부분 프로그램 재방송이 편성되는 시간대라서 일부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편성 변동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개회식의 경우 SPOTV가 21:00~23:00에 생중계하며 KBS는 8일 00:50에 녹화 중계하고, MBC는 중계하지 않는다.[2]

2. 대회 전 전망




3. 중계진

3.1. 캐스터

아래의 명단은 해당 인물의 SNS, 방송사의 예고 영상, 보도자료 등을 통해 확인된 인물이다.

담당 종목에 메인 MC 또는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사람은 서울/하얼빈 현지 스튜디오에서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메인 또는 하이라이트 프로그램 앵커를 맡는다.

별도 표시가 있는 캐스터는 케이블 소속 또는 프리랜서. (KN[KN]: KBS N SPORTS, MS[MS]: MBC SPORTS+, FL[FL]: 프리랜서), T[T] 표시는 하얼빈 현지 중계.
파일:KBS 로고.svg
이름 담당 종목 진행 프로그램 비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재후 개/폐회식, 쇼트트랙 출발 FM과 함께(클래식FM)
김진웅 스피드 스케이팅 생방송 굿모닝 대한민국(2TV, 토),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2TV, 일)
남현종 피겨 스케이팅, 알파인 스키 KBS 월드 24(2TV, 월-목)
김승휘 바이애슬론 KBS 뉴스광장(1TV, 평일),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1TV, 토)
이영호 스노보드 오늘 밤 1라디오(1라디오, 월·수), 건강 365(3라디오)
홍주연 프리스타일 스키, 피겨 스케이팅 시대음감 (한민족방송)
박철규 컬링 누가누가 잘하나 (2TV, 목)
엄지인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침마당(1TV, 월-목)
김종현 아이스하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바이애슬론 KBS 스포츠 9(1TV, 주말)
이호근 프리스타일 스키, 알파인 스키 - [KN]
}}}}}}}}} ||
파일:MBC 로고.svg
<rowcolor=white> 이름 담당 종목 진행 프로그램 비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김성주 쇼트트랙 복면가왕(일)
전종환 스노보드 -
김초롱 피겨 스케이팅 MBC 뉴스데스크(주말), 출발! 비디오여행(일)
박연경 메인 프로그램 기분 좋은 날(평일), 스포츠 매거진(월),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토)
김민호 아이스하키 뉴스프리데스크(인터넷, 월-목)
정용검 프리스타일 스키, 스피드 스케이팅 - [FL]
서인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출발! 비디오여행(일), 심야다방(표준FM)
이휘준 알파인 스키 MBC 뉴스투데이(평일)
신승대 아이스하키 - [MS]
}}}}}}}}} ||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rowcolor=white> 이름 담당 종목 진행 프로그램 비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3.2. 해설위원

파일:KBS 로고.svg
종목 이름 아시안게임 수상 경력 비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폐회식 송승환 -
스피드스케이팅 모태범 2011 아스타나·알마티 1500m, 팀추월 은메달
쇼트트랙 진선유 2007 창춘 1000m 금메달, 1500m, 3000m 계주 은메달
스노보드, 프리스타일 스키 박재민 -
피겨 스케이팅 김예림 -
알파인 스키 경성현 -
컬링 이재호 2007 창춘 금메달
바이애슬론 박윤배 -
크로스컨트리 스키 배지영 -
아이스하키 송동환 -
}}}}}}}}} ||
파일:MBC 로고.svg
<rowcolor=white> 종목 이름 아시안게임 수상 경력 비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쇼트트랙 김아랑 -
스피드 스케이팅 이상화 2007 창춘 100m 동메달
2011 아스타나·알마티 500m 동메달
알파인 스키 허승욱 1999 강원 슈퍼대회전, 회전 금메달
피겨 스케이팅 김해진 -
아이스하키 김정민 - [MS]
프리스타일 스키 서정화 -
스노보드 김교진 -
}}}}}}}}} ||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rowcolor=white> 종목 이름 아시안게임 수상 경력 비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쇼트트랙 안상미 1996 하얼빈 3000m 계주 은메달
1999 강원 3000m 금메달
}}}}}}}}} ||

4. 중계진 현황

2020 도쿄 올림픽부터 시작된 프리랜서 아나운서의 캐스터진 기용이 이번 대회에서도 계속된다. 그 동안 자사나 자회사 소속 아나운서들로만 캐스터진을 구성하던 KBS는 역시 그대로며, MBC는 자사 출신의 김성주와 자회사 출신의 정용검이 이번 아시안 게임 캐스터진에 이름을 올리면서 여전한 건재함을 보였다.

하얼빈 현지 중계 캐스터가 있을지는 아직 불확실하며 동계 아시안 게임 특성상 중계진의 수와 하얼빈 현지 중계 캐스터들이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 비해 많이 줄 것으로 예상된다. 경우에 따라 전원 서울 스튜디오에서 중계할 가능성도 있다.

5. 중계 현황

6. 시청률 현황

(시청률은 닐슨코리아 전국 기준 시청률을 적용, 시청률이 나오면 추가하되 1위는 볼드체로 작성. 단위: %, 시간은 한국시간 기준)
<rowcolor=#ffffff> 경기명 경기 시각 KBS1 KBS2 MBC SPOTV 합계 출처
쇼트트랙 각종 예선 2월 7일
10:00 - 14:00
-
개회식 2월 7일
21:00 - 22:00

이재후 | 송승환
(녹화)
- -

7. 총평

8. 기타


[1]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때는 MBC가 중계하지 않았다.[2] 아마 토요일 중계방송 시간에 하이라이트 형식으로 방송할 것으로 보인다.[3] 이전의 다른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와는 달리 '여기는 OO' 식의 프로그램명을 사용하지 않는다.[4] 베이징 동계올림픽 당시 우리말 사용 목적으로 겨울올림픽이라고 부르던 것과 달리 지금은 다시 동계라는 단어를 사용한다.[KN] KBS N SPORTS 소속.[MS] MBC SPORTS+ 소속.[FL] 프리랜서.[T] 현지 중계[KN] [FL] [MS] [MS] [13] 녹화 중계[14] 1TV, 2TV 시청률 각각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