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전략본부 아나운서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남성 아나운서 | ||||||||
강성규 | 강승화 | 김기만 | 김승휘 | 김은성 | |||||
김재원 | 김재홍 | 김종현 | 김진웅 | 김진현 | |||||
김태규 | 김홍성 | 한국어연구부장 김희수 | 남현종 | 박노원 | |||||
박철규 | 박태원 | 배창복 | 심인보 | 성세정 | |||||
오승원 | 오언종 | 오태훈 | 원석현 | 유지철 | |||||
윤인구 | 이광엽 | 이규봉 | 이상협 | 이상호 | |||||
이영호 | 이재성 | 이재후 | 이창진 | 이형걸 | |||||
임지웅 | 장웅 | 조항리 | 최시중 | 아나운서실장 한상권 | |||||
한상헌 | |||||||||
여성 아나운서 | |||||||||
가애란 | 국혜정 | 김보민 | 김솔희 | 김지윤 | |||||
김진희 | 박사임 | 박소현 | 아나운서부장 박주아 | 박지원 | |||||
박지현 | 백승주 | 백정원 | 변우영 | 성기영 | |||||
신성원 | 신윤주 | 엄지인 | 유지원 | 윤수영 | |||||
윤지영 | 이각경 | 이선영 | 이슬기 | 이승연 | |||||
이승현 | 이예원 | 이윤정 | 이지연 | 이현주 | |||||
임수민 | 장수연 | 전주리 | 정은혜 | 정지원 | |||||
최원정 | 최윤경 | 태의경 | 허유원 | 홍소연 | |||||
홍주연 | }}}}}}}}} | ||||||||
지역 아나운서 | 전직 아나운서 |
<colbgcolor=#2282b9><colcolor=#fff> KBS 48기 아나운서 홍주연 Hong Jooyeon | |
출생 | 1997년 11월 14일 ([age(1997-11-14)]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부모님, 남동생 |
학력 |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방송학 / 학사)[1] |
직업 | 아나운서 |
소속 | KBS 편성본부 아나운서실 48기 (2021년 ~ 현재) |
경력 | KBS대구방송총국 아나운서 (2021년 ~ 2023년) |
특기 | 요리(한식) |
MBTI | ENFJ |
링크 | | (개인 인스타그램) | (또다방)[A] | (또다방)[B] |
[clearfix]
1. 개요
KBS 48기 아나운서.2. 현재 진행 프로그램
2.1. TV
2.2. 라디오
- KBS 쿨FM 스테이션 제로 (2024년 4월 1일 ~ 현재)
- KBS 제1라디오, KBS 한민족방송, KBS 쿨FM 시대음감 (2024년 4월 6일 ~ 현재)
- KBS 제1라디오 - 라디오 전국일주 임시 진행 (2024년 11월 27일)
2.3. 유튜브 및 웹예능
- KBS 스포츠 월요야구회 (2024년 10월 21일 ~ 현재)[4]
3. 과거 진행 프로그램
3.1. TV
- 1TV 라이브 오늘
- KBS 뉴스 7 대구
- 6시 내고향 60초를 잡아라 임시 패널 특별 출연 (7840회, 2023년 7월 28일), 임시 진행 (7844회~7848회, 7849회- 8월 3일 ~ 8월 9일, 8월 11일, 7907회 11월 7일)
- 2TV 생생정보 임시 진행 (2023년 6월 14일 ~ 6월 23일, 11월 9일 ~ 11월 13일)
- KBS 뉴스 5 임시 진행 (2023년 7월 27일 ~ 7월 28일)
- 영화가 좋다 [도도한 영화] 임시 패널 (2023년 2월 25일, 6월 24일, 7월 22일, 8월 12일)
- KBS 뉴스 2 임시 진행 (2023년 6월 1일)
-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 출연 (2023년 3월 25일)
-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시청자의 눈 임시 패널 (2023년 6월 25일, 7월 23일, 2024년 5월 19일, 2024년 10월 6일)
- KBS 스포츠 9 평일 진행 (2023년 3월 6일 ~ 2023년 11월 10일)[5]
- KBS 뉴스광장 평일 진행 (2023년 11월 14일~ 2024년 11월 1일)
- 특별생방송 - 희망 2024 나눔 캠페인 모금 방송 보조 진행 (2023년 12월 12일)[6]
- 김이나의 비인칭시점 첫 방송 예고[7]
- 제40회 코오롱 구간 마라톤 대회 - 현장 인터뷰 (2024년 3월 30일)
- KBS 내 삶을 바꾸는 선택 2024 총선 K존 진행 (2024년 4월 10일)
- 바다건너 사랑 2024 (2024년 5월 26일 ~ 6월 16일)
- 올림픽 하이라이트 봉주르 파리, 1TV 올림픽 뉴스 앵커 (2024년 7월 28일 ~ 8월 12일)
- KBS 뉴스 7 임시 진행 (2024년 12월 5일, 12월 9일, 2025년 1월 31일)
3.2. 라디오
- 대구1R 오후 5시뉴스
- 대구2R 음악과 음악사이
4. 출연 방송, 웹콘텐츠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2024년 7월 14일~ 7월 21일, 2024년 9월 15일, 2024년 11월 10일 ~ 12월 22일, 2025년 1월 19일)
- 스카우트 얼리어잡터 (2024년 12월 13일)
- 아침마당 (2025년 1월 13일)
- K-김쪽이(KBS 김종현 아나운서 유튜브) (2025년 1월 28일) [8]
5. 예능
- KBS2 예능인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서 성장형 주인공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9] 처음에는 2024 파리 올림픽 스포츠 아나운서팀 특집으로 출연했다. 2024 파리 올림픽 직전 아나운서 합평회에서 호되게 혼나면서 속상한 마음에 눈물이 맺혔다. # 이때 아나운서 실장인 이재홍 아나운서가 스포츠팀장 엄지인에게 후배를 제대로 교육시키지 않았다고 질책하였다. 결국 2024 파리 올림픽 이후, 자신의 사수인 엄지인 팀장이 1대1로 붙어 뉴스광장 시작 전 장단음, 앵커 멘트, 인터뷰 원고 작성 등 피드백을 상세하게 해주며 호평을 얻었다. # 아침마당 MC 투입 상황을 가정하고 진행했을때 박지현, 가애란, 김보민 등 선배에게 혼나고 눈물을 보였다. 합평회 5개월 뒤 2024년 10월에 지방근무를 마치고 서울 본사로 50기 후배들인 박철규, 허유원, 정은혜, 이예원이 합류하면서 막내를 면했다.[10] 이후 50기 후배들의 합평회가 진행됐는데, 아나운서 선배들의 엄한 질책으로 이예원이 울자 자신도 똑같은 상황이 너무 공감돼서 울었다가 이재홍 실장에게 '후배가 운다고 선배가 같이 울면 되는 건가?'라며 꾸중을 들었다.# 50기 후배들 앞에서 이 날 합평회에 같이 참석한 46기 김진웅과 같이 전국체전 오프닝 멘트 시범을 보였고 노력의 결실이 있는지 선배들에게 칭찬받았다. # 사당귀에서의 모습과는 다르게, 엄지인 아나운서와는 인스타에 셀카를 같이 올리기도 할 정도로 절친한 선후배 사이다.
- 프로그램에서는 20살 연상의 전현무 아나운서와 썸 기믹으로 그려지고 있다. 홍주연이 KBS 뉴스광장 생방송을 마치고 KBS 구내식당에서 엄지인 팀장과 아침 식사 당시 엄지인이 남현종 vs 전현무 둘 중 누가 더 이상형이냐 묻자 귀여운 남자가 좋다며 전현무를 고르자 전현무가 "꼭 기사화시켜주세요"라고 한 마디를 덧붙이자 언론에서 열애설 기사를 뽑아버렸다. 전현무가 엄지인, 김진웅, 홍주연, 정은혜, 허유원과 함께 하는 고깃집 식사자리에서 홍주연을 처음 만났으며 홍주연과 첫 인사 당시 표정, 홍주연에게 세세하게 조언을 하는 모습으로 패널들의 놀림을 받았다. 불후의 명곡 현장MC 체험에서는 개인기로 아재개그를 준비했으며 개포동, 설렁탕 개그를 시전하자 패널들은 아무도 웃지 않았으나 전현무 혼자만 웃었다. 그리고 현장MC 체험을 앞둔 후배들에게 카카오톡으로 조언을 해줬으며 정은혜에게는 시간차 답변, 홍주연에게는 문장 끝에 물결 표시를 붙이고, 답변도 더 길고, 메시지를 받으면 바로 답변을 해줬다.
- V리그 배구 중계 캐스터 선발 오디션 편에서는 해설위원과 캐스터의 역할을 잘 구분하는 등 남현종, 김진웅 아나운서에 비하여 처음치고 잘 했다는 평을 받으나, 지나치게 성량이 작고 중계에 긴박감이 없다는 평을 듣는 등 연습이 더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2024년 12월, 2025년 1월 KBS 제작 중계에 투입되지 못했다.
6. 여담
- 후배인 이예원 아나운서와 마찬가지로 KBS가 본인의 첫 직장이며, KBS 동기[11]들뿐만 아니라 타사 동기[12]와는 다르게 타 회사(방송국 포함) 재직 경력이 없다. 2020년대 이후 최근 입사하는 아나운서들이 타 방송사 경력이 있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임을 생각할 때[13], 강점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거기다 최근 아나운서들은 입사한 지 얼마 안 되어 프리랜서로 전향하는 경우가 많기에 그렇다.[14]
- 롤모델은 이재후 아나운서다.
- 야구팬이며 KBS스포츠 공식 유튜브의 월요야구회를 진행하고 있다. 유튜브 컨텐츠 야구잡썰 채널에 키움 히어로즈 팬 게스트로 출연해 2009년 초등학교 6학년이던 13살 때 서울 히어로즈 시절부터 팬이라 밝혔다. 뮤직박스SOS에서는 박병호 선수와 함께 우승하는 꿈을 꿨으나 그 꿈은 멀어진 것 같고, 최애 선수는 수비를 잘 해서 임병욱이라고 한다. # 그런데 하필이면 9시 뉴스 리포팅 시 키움이 경기에서 대형 실책을 저지를 때마다 괴로워했다(...). 또한 앞의 네이밍스폰서가 바뀔 것 같아 키움이 아닌 히어로즈 로고가 있는 유니폼을 구매했다고 밝혔으며, 박병호 마킹을 하러 갔더니 우리 팀 선수가 아니라[15] 마킹을 해줄 수 없다고 밝힌 경험으로 인하여 마킹을 하지 않는 듯하다.
- 최애곡을 Queen의 We Are the Champions라고 밝혔는데, 재수를 할 뻔한 직전 성균관대에 4차 추가합격을 했을 때 이 노래가 나왔다고 한다.
- 아나운서실 선배인 김진웅과 방송으로나 방송 외적으로 자주 엮이는 편이다. 김진웅과 홍주연은 키움 히어로즈 팬이라는 공통점도 있어 위에 나온 야구잡썰도 함께 출연했고[16] 22대 총선 개표 방송에서도 김진웅과 페어로 방송을 진행하기도 했으나 이 날 방송에서 김진웅이 대본 숙지를 제대로 못해 대형사고를 쳤고 김진웅은 경위서를 제출해야만 했다.
- 예뻐 보이는 외모와 다르게 목소리가 허스키한 편이다.
- 아나운서 전문 아카데미 아이비스피치 출신이다. #
- 진라면 순한맛은 취향이 아니라고 밝혔다.
- 2019년 2개월 동안 아나운서 준비를 하다 1년간 쉰 다음, 2021년 KBS 아나운서 공채에 한번에 합격했다. [17]
- 또다방에서 KBS 입사시험 등 언론고시 썰을 푸는데 KBS 입사 전에는 경제매체 면접을 본 적이 있다고 밝혔으며, 최종면접 5명 중에선 4번째로 시험을 봤고 복장 면에선 보수적으로 가는 편이 맞다고 밝혔다. 그리고 외부의 영향에 흔들리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7. 관련 문서
[1] 16학번.[A] 또다방 인스타그램이며, 아나운서와 PD로 구성된 5인조 혼성그룹으로 2024년 12월 '떴다방'에서 '또다방'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여기에는 임지웅 아나운서도 합류했다.[B] 또다방 유튜브.[4] 이무형 KBS 기자와 같이 진행하는데 2025년 1월 13일 방송분에서는 누가 야알못인지 대결하기로 했다(...).[5] 이윤정 아나운서와 맞바꿔 홍주연 아나운서가 평일 KBS 뉴스광장 앵커를 맡았고 이윤정 아나운서가 평일 KBS 스포츠 9 진행자가 되었다.[6] 오전 10시~낮 12시까지 2시간여 동안 특별생중계로 편성했으며, 같은 해 전주총국에서의 지역근무를 마치고 본사에 복귀한 김진현 아나운서와 같이 진행.[7] 본방송에는 미출연.[8] 이 영상에서 스크린야구 고수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어 김종현 아나운서를 야구로 이겼으며, 결국 김종현 아나운서에게 10만원어치 식사를 얻어먹게 되었다. ???:"오심도 경기의 일부야"[9] 사당귀에서 자주 써먹는 기믹으로 미숙한 신입 혹은 막내가 나와서 호되게 혼나다가 시청자들에게 정들게 만드는 패턴이다.[10] 그런데 홍주연 아나운서보다도 나이가 어린 50기 아나운서는 2000년생인 이예원 아나운서 뿐이다. 나머지 50기 아나운서인 정은혜 아나운서와 허유원 아나운서는 1996년생이고 박철규 아나운서는 1991년생이라서 이들 3명은 오히려 홍주연 아나운서보다 나이가 더 많다.[11] 김진현, 임지웅[12] MBC의 박소영, 정영한, SBS의 김가현, 김다영.[13] 실제로 2021년 이후 방송 3사에 입사한 아나운서 14명 중 타 방송국 아나운서 경력이 없는 아나운서는 홍주연, 정영한 2명뿐이다.[14] SBS는 2018년 입사 기수가 죄다 프리랜서로 빠지는 사태가 일어나 2023년 김현진 아나운서를 선발하였다.[15] 녹화 시점상 KT 위즈 이적 이후로 추정된다.[16] 심지어 야구잡썰의 코너인 컴프야 드래프트에 고정 출연 중인 김진웅이 일정 때문에 참석을 못 하자 대타로 참석해서 수행하기도 했다.[17] 당시 동기인 임지웅, 김진현 아나운서 말고도 정은혜 아나운서가 같이 2021년 공채시험을 봤다고 2025년 아침마당에서 밝혔으며, 정은혜 아나운서는 2021년 12월 KBS 부산총국에 자체채용(프리랜서)으로 입사한 뒤 2022년 12월 KBS에 전국권 아나운서로 재입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