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01:37:22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바둑리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최근에 진행된 경기}}}에 대한 내용은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포스트시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포스트시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포스트시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최근에 진행된 경기: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포스트시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포스트시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포스트시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1f2023> 파일:바둑리그 엠블럼.png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 ||
한국바둑리그 역대 시즌 일람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주최, 주관 한국기원
주관방송사 바둑TV
타이틀스폰서 KB국민은행
대회기간 정규리그 2024년 12월 12일 ~ 2025년 4월 3일
포스트시즌 2025년 4월 22일 ~ 5월 4일
전기 우승팀 울산 고려아연 (2023-24시즌)
참가팀 고려아연, 원익, 수려한 합천, 마한의 심장 영암
정관장, GS칼텍스, 영림프라임창호, 한옥마을 전주
대국규정 시간 각자 1분 + 착수시 10초 추가 피셔방식
계가 한국룰 6.5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대회 결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우승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정규리그 우승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MVP 강동윤(영림프라임창호)
다승왕 강동윤(영림프라임창호) - 11승 3패
신인왕 진위청(원익)
}}}}}}}}} ||

1. 개요2. 중계 및 해설진
2.1. 중계2.2. 해설진
3. 참가팀4. 선수 선발식 및 대진 순번
4.1. 선수 선발식 결과4.2. 대진 순번
5. 시작하기 전에
5.1. 리그 진행 방식5.2. 바둑리그 선발전 (5지명)
6. 대회 진행
6.1. 전체 경기 일람6.2. 정규리그
6.2.1. 정규리그 순위6.2.2. 전반기 전적표6.2.3. 후반기 전적표
6.3. 포스트시즌
7. 대회 결과
7.1. 개인상7.2. 최종 순위
8. 여담

1. 개요

한국기원이 주최, 주관하고 KB국민은행이 후원하는 한국바둑리그의 21번째 시즌. 지난 시즌에 이어 8개 팀 체제로 진행하며 이번 시즌은 기존 6팀, 신생 2팀이 참가한다. 여기에 세 시즌 만에 경기 방식이 대폭 바뀌어 전 경기 초속기 대국(1+10 피셔룰)이 적용이 되는 시즌이다.

2. 중계 및 해설진

2.1. 중계

2.2. 해설진

3. 참가팀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참가팀
팀명 연고지 감독
파일:23-24고려아연.png 울산 고려아연
(전기 정규리그 2위, 최종 우승)
울산광역시 박승화
파일:23-24원익.png 성남 원익
(전기 정규리그 1위, 최종 준우승)
경기도
성남시
이희성
파일:23-24합천.png 합천 수려한 합천
(전기 정규 + 포스트시즌 통합 4위)
경상남도
합천군
고근태
파일:23-24영암.png 영암 마한의 심장 영암
(전기 정규리그 5위)
전라남도
영암군
한해원
파일:24-25정관장.png 대전 정관장
(전기 정규리그 6위)
대전광역시 최명훈
파일:24-25GS칼텍스.png 여수 GS칼텍스
(전기 정규리그 7위)
전라남도
여수시
김영환
파일:24-25영림.png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신생팀)
인천광역시 박정상
파일:24-25전주.png 전주 한옥마을 전주
(신생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양건

4. 선수 선발식 및 대진 순번

이번 시즌은 1~4지명은 전면 드래프트로 선수를 선발하며 이후 열릴 선발전 통과자들은 각 팀의 5지명으로 뽑히게 된다. 또한 6지명(후보선수) 슬롯은 외국인 선수만 대상으로 한정했다. 선수 선발 일정은 10월 22일 까지 보호 선수 지정, 10월 24일 1차 선수 선발식(1~4지명 선발), 11월 5~6일, 19~21일까지 선발전 후 11월 22일에 선발전 통과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5지명 2차 선발식을 끝으로 8개 팀의 선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대진 순번은 10월 24일 1차 선발식에서 추첨으로 정했다.

4.1. 선수 선발식 결과


||<-8><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fff,#1f202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545045>
||<width=40%><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 bordercolor=#fff,#1f2023><rowbgcolor=#fff,#1f2023>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width=60%>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선수 지명 결과
||
||
<rowcolor=#fff> 팀명[5] 보호
여부
1지명
(주장)
2지명 3지명 4지명 5지명 외국인 선수
(6지명)
GS칼텍스 [6] 신진서 김진휘 최재영 금지우 류민형 류위항[7]
정관장 [8] 변상일 김정현 홍성지 박상진 한태희 -
마한의 심장 영암 안성준 설현준 박영훈 심재익 조한승 쉬하오훙
고려아연 [9] 신민준 이창석 문민종 한상조 김채영 랴오위안허
원익 박정환 이지현 이원영 김은지 권효진 진위청
수려한 합천 × 김명훈 한우진 박하민 안정기 최승철 판인
영림프라임창호 N 강동윤 박민규 송지훈 강승민 박진영 당이페이
한옥마을 전주 N 원성진 한승주 나현 박종훈 백홍석 -
보라색으로 칠해진 칸은 보호 선수
○ : 전체 보호, △ : 일부 보호, × : 전체 재건, N = 신생팀

4.2. 대진 순번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45045><tablebgcolor=#fff,#1f2023><bgcolor=#545045>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대진 순번 ||
1 2 3 4
파일:23-24원익.png 파일:24-25영림.png 파일:24-25정관장.png 파일:24-25GS칼텍스.png
원익 영림프라임창호 정관장 GS칼텍스
5 6 7 8
파일:23-24합천.png 파일:23-24영암.png 파일:24-25전주.png 파일:23-24고려아연.png
수려한 합천 마한의 심장 영암 한옥마을 전주 고려아연

5. 시작하기 전에

5.1. 리그 진행 방식

5.2. 바둑리그 선발전 (5지명)




6. 대회 진행

6.1. 전체 경기 일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한국바둑리그
2024-25 시즌 경기 일람
}}}
1~7라운드 8~14라운드 포스트시즌

6.2. 정규리그

6.2.1. 정규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정규리그 순위
}}}
<rowcolor=white> 순위 경기 승률 승 - 패 개인승패차
(개인승 - 개인패)
비고
1 영림프라임창호 14 .643 9 - 5 +14 (34-20) [1]
2 원익 14 .571 8 - 6 +7 (31-24)
3 수려한 합천 14 .571 8 - 6 +4 (30-26)
4 마한의 심장 영암 14 .571 8 - 6 -2 (27-29)
5 GS칼텍스 14 .500 7 - 7 +3 (31-28) [2]
6 정관장 14 .500 7 - 7 -2 (26-28) [3]
7 고려아연 14 .357 5 - 9 -14 (21-35) [4]
8 한옥마을 전주 14 .286 4 - 10 -10 (23-33)
: 챔피언결정전 진출, : PO 진출, : 준PO 진출, : 포스트시즌 진출실패

[1] 2006년 'Kixx' 이후 18시즌 만에 신생팀 정규시즌 1위 달성[2] 13R 탈락[3] 14R 탈락[4] 12R 탈락

6.2.2. 전반기 전적표

VS <rowcolor=#fff> 원익 영림 정관장 GS칼텍스 합천 영암 전주 고려아연
<colcolor=#fff> 원익 - 3:2 1:3 3:0 2:3 3:1 3:0 3:0
영림 2:3 - 3:1 2:3 3:0 1:3 3:1 2:3
정관장 3:1 1:3 - 3:2 3:1 3:0 1:3 3:2
GS칼텍스 0:3 3:2 2:3 - 3:1 2:3 3:1 3:0
합천 3:2 0:3 1:3 1:3 - 3:1 3:0 3:1
영암 1:3 3:1 0:3 3:2 1:3 - 3:2 3:0
전주 0:3 1:3 3:1 1:3 0:3 2:3 - 2:3
고려아연 0:3 3:2 2:3 0:3 1:3 0:3 3:2 -

6.2.3. 후반기 전적표

VS <rowcolor=#fff> 원익 영림 정관장 GS칼텍스 합천 영암 전주 고려아연
<colcolor=#fff> 원익 - 1:3 3:0 3:1 1:3 2:3 3:2 0:3
영림 3:1 - 3:0 0:3 3:0 3:1 3:0 3:1
정관장 0:3 0:3 - 1:3 1:3 3:0 1:3 3:1
GS칼텍스 1:3 3:0 3:1 - 3:2 2:3 1:3 2:3
합천 3:1 0:3 3:1 2:3 - 2:3 3:1 3:1
영암 3:2 1:3 0:3 3:2 3:2 - 0:3 3:0
전주 2:3 0:3 3:1 3:1 1:3 3:0 - 2:3
고려아연 3:0 1:3 1:3 3:2 1:3 0:3 3:2 -

6.3. 포스트시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760><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kb바둑리그타이틀.png파일:kb바둑리그타이틀white.png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포스트시즌 대진표
}}}
<rowcolor=#fff> 준플레이오프
2번기, 3위팀 1승 AD
플레이오프
3번기
챔피언결정전
3번기
파일:24-25영림.png 영림프라임창호
9승 5패, +14
<colbgcolor=#BCBFCD,#505050>
1위
챔피언결정전
5/3 ~ 5
파일:24-25영림.png 2 : 0 파일:23-24영암.png
1차전 3:0
영림

2차전 3:0
영림
파일:23-24원익.png 원익
8승 6패, +7
2위
플레이오프
4/24, 5/1 ~ 2
파일:23-24원익.png 1 : 2 파일:23-24영암.png
1차전 3:2
영암

2차전 3:2
원익

3차전 3:2
영암
파일:23-24합천.png 수려한 합천
8승 6패, +4
3위
준플레이오프
4/22 ~ 23
파일:23-24합천.png 1 : 2 파일:23-24영암.png
1차전 3:1
영암

2차전 3:2
영암
파일:23-24영암.png 마한의 심장 영암
8승 6패, -2
4위


7. 대회 결과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우승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24-25영림.png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창단 첫 해 우승, 정규리그&PS 통합 우승)
}}}
---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시상식

7.1. 개인상

<rowcolor=#fff> 시상 부문 상금 수상자 시즌 성적
<colbgcolor=#545045><colcolor=#fff> MVP[25] ₩10,000,000 강동윤
(영림프라임창호)
정규시즌 : 11승 3패
PS : 1승
신인왕[26] ₩3,000,000 진위청
(원익)
6경기
4승 2패
다승왕[27] ₩5,000,000 강동윤
(영림프라임창호)
시즌 11승 3패
감독상 ₩30,000,000[28] 박정상 감독
(영림프라임창호)
시즌 우승

7.2. 최종 순위

<colcolor=#fff> 순위
상금
우승 파일:24-25영림.png 인천 영림프라임창호 ₩250,000,000
준우승 파일:23-24영암.png 영암 마한의 심장 영암 ₩100,000,000
3위 파일:23-24원익.png 성남 원익 ₩60,000,000
4위 파일:23-24합천.png 합천 수려한 합천 ₩30,000,000
포스트시즌 탈락팀
5위 파일:24-25GS칼텍스.png 여수 GS칼텍스 -
6위 파일:24-25정관장.png 대전 정관장
7위 파일:23-24고려아연.png 울산 고려아연
8위 파일:24-25전주.png 전주 한옥마을 전주

8. 여담


[1] 2010~2012 '인천 넷마블' 감독, 2019-20 '서울 사이버오로' 감독, 2021 여자바둑리그 '순천만 국가정원' 감독[2] GS칼텍스의 정유공장이 위치해있다.[3] 1지명은 드래프트 순서, 2~3지명은 그의 역순, 4~5지명은 8팀 전부 다시 추첨하여 4지명은 드래프트 순서, 2차 선발식에서 선발되는 5지명은 그의 역순으로 지명[4] 드래프트 순서는 먼저 신생팀인 한옥마을 전주영림프라임창호 그리고 보호지명을 포기한 수려한 합천이 먼저 순서 추첨을 하고 나온 순서대로 드래프트 순서를 선택했다. 나머지 5팀은 추첨을 통해 자동 지정했는데 이번 시즌은 대어급이라 할 수 있는 선수들이 대부분 보호 지명으로 묶인터라 전주, 영림, 합천 모두 2~3지명을 빨리 픽할 수 있는 드래프트 뒷쪽 순서를 선택했다.[5] 팀 배치는 1~3지명 드래프트 순번 순[6] 신진서 보호 연한 마지막 시즌[7] 12월 13일 발표.[8] 변상일, 홍성지, 김정현 보호 연한 마지막 시즌[9] 신민준 보호 연한 마지막 시즌[10] 군 복무중인 관계로 이번 시즌에 불참했다.[11] 물가정보팀이 그대로 있었다면 3년 보호연한 해제 대상 선수였다.[12] 지난 시즌 후보 선수로 출전하여 5승 7패를 기록해 후보 선수로써는 많은 경기에 출전하여 사실상 4지명의 역할을 했다. 2024년 제29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13] 지난 시즌엔 홍성지가 2지명, 김정현이 3지명이었다.[14] 영암의 한해원 감독은 1차 선수선발식 후 인터뷰에서 '원래는 저희 팀도 전원보호를 할 생각이 있었는데, 작년 저희 팀 선수 중 한 명이 이번에 국가대표 코치가 되면서 지금의 선수진을 구성하게 됐다' 라고 언급했다.(국가대표 코칭 스테프는 시합 출전과 방송활동을 하지 않는다.) 이후 한게임 바둑뉴스 기사를 통해 해당 선수는 23-24시즌 영암의 3지명이자 올 시즌 시작 전까지 바둑리그 통산 최다승 기록의 주인공이었던 최철한 九단인 것으로 알려졌다.[15] 프로 입단 전 한국에서 몇 년간 바둑 유학 생활도 했다고 한다.[16] 작년 시즌의 고려아연도 랴오위안허의 영입을 리그 개막 미디어데이에서 발표했었고, 원익은 작년 외국인 선수로 보유했던 구쯔하오의 영입을 정규시즌 시작 바로 전날에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던 바 있다.[17] 이 대국 규정이 어느 정도로 빠르냐면, 지난 두 시즌동안 진행됐던 에이스 결정전과 비교해 봤을 때, 기본시간 1분은 같지만, 에이스 결정전과는 다르게 착수 시 추가시간이 20초가 아닌 10초인 점에서 빠르다.[18] 실제로 지난 4월부터 진행됐던 여자 국대와 청소년 국대의 연승전이었던 '초속기 내가 국대다'가 이번 시즌과 동일한 룰인 1+10 피셔룰로 열렸는데 계가까지 가는 경우에는 1시간 내외에서 바둑이 끝이 났었다.[19] 에결이 없어짐에 따라 최대 5명이 모두 한 판씩 대국하게 됐다. 그리고 중복출전은 결원이 발생시(세계대회, 갑조리그 등으로 출전이 어려운 경우)에 한해서만 경기당 1인 1회로 허용하는 것으로 바뀌었다.[20] '개인 승수 - 개인 패수'로 계산한다. e스포츠 리그에서 순위 결정 시 타이브레이커로 사용 중인 '세트 득실차(승리 세트수 - 패배 세트수)'와 동일하다.[21] 5지명까지 보호 지명을 행사한 고려아연을 제외한 7팀이 지명한다.[22] 박진솔, 송규상, 조한승, 안국현이 랭킹 시드로 2차 선발전부터 참가한다.[23] 정식 바둑리거로서는 'SK 엔크린' 시절이었던 2018시즌 이후 6시즌 만의 복귀다.[24] 박진영은 정식 바둑리거로서는 데뷔 시즌이다.[25] 챔피언 결정전 출전팀 선수중 최소 10대국이상 참여한 선수중 정규시즌 및 포스트 시즌 합산승률 60%이상인 선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와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정[26] 참가 1년차 선수중 최소 6대국 이상 참여한 선수중 정규시즌 승률 30%이상인 선수를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와 기자단 투표를 통해 선정, 단 단독 후보가 대국,승률 기준에 미달시 기자단 투표로 선정 여부를 결정[27] 정규 시즌 승리수가 가장 많은 기사를 선발, 같은 승수인 기사가 여러명 일 경우 상금을 똑같이 나눠받는다.[28] 감독상금은 우승팀 감독에게 3천만원, 준우승 감독은 2천만원, 3위 1천3백만원, 4위는 1천만원을 받는다.[29] 2차전에서 영암의 주장 안성준과 대국에서 승리했다.[30] 남은시간 PiP 화면 위에 띄운 자막이 심박수다.[31] 지난 시즌에는 원익[34], 정관장, 수려한 합천, 한국물가정보가 유니폼을 제작하여 착용했다.[32] 지난 시즌에는 바둑메카 의정부, 마한의 심장 영암, KIXX(GS칼텍스), 고려아연이 단체복으로 맞춰서 유니폼을 대체했다.[33] 왼쪽 가슴에 바둑리그 로고, 오른쪽 가슴과 양팔에 팀 로고가 새겨져있다. 가운데에도 역시 팀 스폰 로고가 새겨져있다. 뒤에는 감독과 선수단 각자의 이름을 새겨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