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파푸아뉴기니 | |||
발생 시각 (UTC+10)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 |
2024년 11월 15일 15시 28분 29초 | Mw 6.6 | 파푸아뉴기니 코코포 동남동쪽 123km 해역 | Ⅵ |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국외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rowcolor=#fff> 대한민국에 영향을 준 주요 국외지진 | ||||||
<rowcolor=#000> 명칭 | 규모 | 국내 최대진도 | 국내 쓰나미 | ||||
1548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 M 7.0 | ? | - | ||||
1668년 탄청 대지진 | M 8.5 | ? | - | ||||
1700년 대마도 지진 | M 7.0 | ? | - | ||||
1707년 호에이 대지진 | M 8.9 | - | 관측 | ||||
1741년 간포 쓰나미 | - | - | 4m 추정 | ||||
1940년 홋카이도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 | M 7.7 | - | 1.2m | ||||
1940년 일본 시마네현 오키섬 해역 지진 | M 6.6 | Ⅴ | |||||
1964년 일본 니가타 해역 지진 | M 7.5 | - | 39cm | ||||
1975년 중국 하이청 지진 | M 7.0 | Ⅵ | |||||
1983년 일본 아키타 해역 지진 | M 7.7 | - | 4.2m | ||||
1983년 일본 오이타 지진 | M 6.6 | Ⅳ | |||||
1993년 일본 홋카이도 해역 지진 | M 7.8 | - | 2.76m | ||||
1996년 중국 상하이 해역 지진 | M 5.6 | Ⅴ | |||||
1999년 중국 지린성 왕칭현 지진 (심발지진) | M 7.1 | Ⅲ | |||||
1999년 중국 랴오닝성 선양 지진 | M 5.0 | Ⅲ | |||||
2000년 일본 돗토리 지진 | M 7.3 | Ⅳ | |||||
2001년 일본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 M 6.7 | Ⅳ | |||||
2005년 일본 후쿠오카현 서부 해역 지진 | M 7.0 | Ⅳ | |||||
2014년 일본 이요나다 지진 | M 6.2 | Ⅲ | |||||
2015년 일본 가고시마 해역 지진 | M 7.1 | Ⅲ | |||||
2016년 일본 구마모토 지진 | M 7.3 | Ⅲ | |||||
2022년 일본 휴가나다 지진 | M 6.7 | Ⅲ | |||||
2024년 일본 노토반도 지진 | M 7.6 | - | 85cm | ||||
2024년 일본 분고수도 지진 | M 6.6 | Ⅲ | |||||
2024년 일본 쓰시마 지진 | M 4.1 | Ⅱ | |||||
2024년 산둥반도 해역 지진 | M 4.5 | Ⅱ | |||||
2024년 휴가나다 지진 | M 7.1 | Ⅲ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역사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rowcolor=#fff> 역사지진 (1904년 이전, 규모와 최대진도는 추정값) | |||
<rowcolor=#000> 명칭 | 규모(추정) | 최대 진도 | |||||
27년 서울 지진 | M 6.3 | Ⅷ | |||||
89년 서울 지진 | M 6.8 | Ⅸ | |||||
100년 경주 지진 | M 6.7 | Ⅸ | |||||
304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M 6.8 | Ⅸ | ||||||
458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502년 평양 지진 | M 6.8 | Ⅸ | |||||
510년 경주 지진 | M 6.8 | Ⅸ | |||||
664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768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779년 경주 지진 | M 6.3~7.0 | Ⅸ | |||||
1036년 경주 지진 | M 6.3 | Ⅷ | |||||
1260년 개성 지진 | M 6.3 | Ⅷ | |||||
1385년 개성 지진 | M 6.3 | Ⅷ | |||||
1455년 순천 지진 | M 6.8 | Ⅸ | |||||
1518년 서울 지진 | M 6.8 | Ⅸ | |||||
1546년 평산 지진 | M 6.2 | Ⅷ | |||||
1594년 홍성 지진 | M 6.3 | Ⅷ | |||||
1597년 백두산 지진 | M 7.7~8.0 | Ⅶ | |||||
Ⅷ | |||||||
Ⅶ | |||||||
1613년 서울 지진 | M 5.7 | Ⅷ | |||||
1632년 개성 지진 | M 6.3 | Ⅷ | |||||
1643년 부산 지진 | M 6.3 | Ⅷ | |||||
1643년 합천 지진 | M 6.8 | Ⅸ | |||||
1643년 울산 대지진 | M 6.5~7.4 | Ⅹ | |||||
1670년 순창 지진 | M 6.3 | Ⅷ | |||||
1681년 양양 대지진 | M 6.1~6.7 | Ⅷ | |||||
M 7.5 | Ⅸ | ||||||
1700년 사천 지진 | M 6.3 | Ⅷ | |||||
1702년 전주 지진 | M 6.3 | Ⅷ | |||||
1714년 개성 지진 | M 6.8 | Ⅸ | |||||
1727년 함흥 지진 | M 6.8 | Ⅸ | |||||
1810년 부령 지진 | M 6.8 | Ⅸ | |||||
1899년 대한제국 지진 | M 6.3 | Ⅷ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초기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5px" | <rowcolor=#fff> 초기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 |||
<rowcolor=#000> 명칭 | 규모 | 최대 진도 | |||||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 M 6.1 | Ⅴ | |||||
1921년 경주 지진 | M 4.2 | Ⅶ | |||||
1925년 홍성 지진 | M 4.4 | Ⅵ | |||||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 M 5.0 | Ⅴ | |||||
1928년 지리산 지진 | M 4.3 | Ⅵ | |||||
1935년 의성 지진 | M 5.0 | Ⅴ | |||||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 M 5.4 | - | |||||
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 | M 6.0 | Ⅷ | |||||
1938년 지리산 지진 | M 4.8 | Ⅶ | |||||
1939년 대전 지진 | M 5.0 | Ⅴ | |||||
1939년 청주 지진 | M 5.3 | Ⅵ | |||||
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 | M 6.6 | Ⅶ | |||||
1947년 인천 해역 지진 | - | Ⅴ | |||||
1952년 평양 지진 | M 6.4 | Ⅵ | |||||
1952년 은천 지진 | M 5.6 | Ⅵ | |||||
1956년 대한민국 지진 | - | Ⅵ | |||||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 M 6.8 | Ⅲ | |||||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 M 5.8~6.3 | Ⅴ | |||||
M 5.8~6.3 | |||||||
1969년 남해 지진 | M 5.0 | Ⅳ | |||||
1970년 대한민국 남부 지진 | M 4.9 | Ⅵ | |||||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 M 7.7 | Ⅴ | |||||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 M 7.1 | Ⅴ | |||||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 M 5.4 | Ⅴ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2%; min-height:2em" {{{#!folding [ 기상청 계기지진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rowcolor=#fff>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 |||
<rowcolor=#000> 명칭 | 규모 | 최대 진도 | |||||
1978년 속리산 지진 | ML5.2 Mw4.6 | Ⅵ | |||||
1978년 홍성 지진 | ML5.0 | Ⅶ | |||||
1980년 의주 지진 | ML5.3 Mw5.1 | Ⅶ | |||||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 ML4.8 Mw5.2 | Ⅵ | |||||
1982년 사리원 지진 | ML4.5 Mw5.3 | Ⅶ | |||||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 ML4.7 | Ⅵ | |||||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 ML4.6 | Ⅴ | |||||
ML4.5 | |||||||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 ML4.9 Mw5.6 | Ⅴ | |||||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 ML4.2 | Ⅴ | |||||
1996년 동해 해역 지진 | ML4.2 | Ⅵ | |||||
1996년 영월 지진 | ML4.5 Mw5.2 | Ⅶ | |||||
1997년 경주 지진 | ML4.2 Mw4.8 | Ⅵ | |||||
2003년 홍도 해역 지진 | ML4.9 Mw4.8 | Ⅳ | |||||
2003년 백령도 해역 지진 | ML5.0 Mw4.6 | Ⅳ | |||||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 ML5.2 Mw5.3 | Ⅴ | |||||
2007년 평창 지진 | ML4.8 Mw4.7 | Ⅴ | |||||
2013년 흑산도 해역 지진 | ML4.9 Mw4.7 | Ⅳ | |||||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 ML4.9 Mw4.8 | Ⅳ | |||||
2014년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 | ML5.1 Mw4.8 | Ⅳ | |||||
2016년 울산 해역 지진 | ML5.0 Mw4.7 | Ⅳ | |||||
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 ML5.1 Mw5.1 | Ⅴ | |||||
ML5.8 Mw5.5 | Ⅶ | ||||||
2017년 포항 지진 | ML5.4 Mw5.5 | Ⅶ | |||||
2018년 포항 지진 | ML4.6 Mw4.7 | Ⅴ | |||||
2019년 동해 해역 지진 | ML4.3 Mw4.0 | Ⅳ | |||||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 ML4.9 Mw4.8 | Ⅴ | |||||
2022년 괴산 지진 | ML4.1 Mw4.0 | Ⅴ | |||||
2023년 강화 지진 | ML3.7 Mw3.5 | Ⅳ | |||||
2023년 동해 해역 지진 | ML4.5 Mw3.8 | Ⅲ | |||||
2023년 장수 지진 | ML3.5 Mw3.5 | Ⅴ | |||||
2023년 어랑 해역 지진 (심발지진)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음 | Mw 4.7 | Ⅱ | |||||
2023년 경주 지진 | ML4.0 Mw3.6 | Ⅴ | |||||
2024년 부안 지진 | ML4.8 Mw4.2 | Ⅴ | |||||
ML은 기상청 발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히터 규모이며, Mw는 단층의 크기와 변위를 분석하여 실제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와 연관성이 높으며 기상청에서 상세분석 결과를 통해 추가 발표하고 있는 모멘트 규모이다. | }}}}}}}}}}}} |
1899년 대한제국 지진 | |
발생 (UTC+9) | 1899년 1월 15일 오후 8~9시 |
진앙 (추정) | 한반도 또는 한반도 인근 해역 추정 |
규모 (추정) | ML 6.3[1] |
최대 진도 (추정) | Ⅷ |
재산피해 | 가옥이 무너짐 |
인명피해 | 부상자 다수 발생 |
[clearfix]
1. 개요
1899년 1월 15일 한반도 또는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진이다.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발표한 한반도 역사지진기록에는 없지만 당시 발행된 신문에 강한 지진이 발생했던 기록이 남아있다.가옥이 일부 붕괴되었다는 기록을 토대로 추정한 최대진도는 기상청 역사지진 진도 기준에 따라 수정 메르칼리 진도 기준 Ⅷ이다. 최대진도를 관측한 지역은 서울과 목포로, 하나의 지진이 발생하여 두 장소에서 강한 진동을 감지한 것인지, 아니면 두 개의 별개의 지진이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참고로 기상청 역사지진 기준 진도 Ⅷ은 다음과 같다.#
- 가옥(인가)의 벽체 추락, 일부 붕괴
- 성첩의 균열, 추락, 일부 무너짐
- 담과 벽이 흔들려 무너짐
- 봉화대 부분 파손
- 집이 모두 흔들리고 여러 가옥들이 훼손됨
- 암석이 무너져 내림 (바위가 떨어져 압사하기도 함)
- 나무가 부러져 쓰러짐
- 산봉우리가 흔들리고 일부 무너짐
- 건천에서 탁한 물이 나옴
- 우물물이 말라 버림
지진의 규모 역시 연구된 바가 없어 불분명하다.
2. 기록
(京師地震)再昨日下午九時에 地氣大震하야 房屋이 搖動하야 居人이 安席치 못하고 江氷大坼하야 行人이 通路치 못하엿더라
(경사지진)재작일하오구시에 지기대진하야 방옥이 요동하야 거인이 안석치 못하고 강빙대탁하야 행인이 통로치 못하엿더라
현대어 해석: (서울 지진) 그저께 오후 9시에 땅이 크게 진동하여 집이 흔들리고 집안에 있는 사람이 편히 앉아있지 못하고 강[2]의 얼음이 크게 갈라져, 강을 건너지 못하게 되었다.
1899년 1월 17일 황성신문#
(경사지진)재작일하오구시에 지기대진하야 방옥이 요동하야 거인이 안석치 못하고 강빙대탁하야 행인이 통로치 못하엿더라
현대어 해석: (서울 지진) 그저께 오후 9시에 땅이 크게 진동하여 집이 흔들리고 집안에 있는 사람이 편히 앉아있지 못하고 강[2]의 얼음이 크게 갈라져, 강을 건너지 못하게 되었다.
1899년 1월 17일 황성신문#
(幸矣人命)京畿道楊根郡斗尾別隅에 一數間茅店이 有한대 日前 地震에 該店이 動覆한 中 幸히 其家夫婦가 穉兒를 率하고 隣家에 往하야 空家된 間인 故로 人命은 致傷치 아니하얏다더라
(행의인명)경기도양근군두미별우에 일수간모점이 유한대 일전 지진에 해점이 동복한 중 행히 기가부부가 치아를 솔하고 인가에 왕하야 공가된 간인 고로 인명은 치상치 아니하얏다더라
현대어 해석: 경기도 양근군 두미별우(현 경기도 양평군 두물머리)에 작은 주막이 있는데, 며칠 전 지진에 가게가 흔들려 무너졌으나 다행히 해당 집의 부부가 어린 아들과 함께 이웃집에 머물러 있어 빈집이었기 때문에 사람이 다치진 않았다.
1899년 1월 20일 황성신문#
(행의인명)경기도양근군두미별우에 일수간모점이 유한대 일전 지진에 해점이 동복한 중 행히 기가부부가 치아를 솔하고 인가에 왕하야 공가된 간인 고로 인명은 치상치 아니하얏다더라
현대어 해석: 경기도 양근군 두미별우(현 경기도 양평군 두물머리)에 작은 주막이 있는데, 며칠 전 지진에 가게가 흔들려 무너졌으나 다행히 해당 집의 부부가 어린 아들과 함께 이웃집에 머물러 있어 빈집이었기 때문에 사람이 다치진 않았다.
1899년 1월 20일 황성신문#
목포등디에 디진이 대단 하야 집들이 헐어져 인명이 덜어 샹 하엿다더라
현대어 해석: 목포 등지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 집들이 무너져 여러 사람들이 다쳤다.
1899년 1월 20일 매일신문#
현대어 해석: 목포 등지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 집들이 무너져 여러 사람들이 다쳤다.
1899년 1월 20일 매일신문#
3. 여담
이 지진이 발생하기 며칠 전인 1898년 12월 26일과 27일에도 지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일 디진) 재작일 밤 여덟 시에 지동이 되어 집이 움직이고 문작이 흔들려 방안에 있던 사람들이 놀래어 밖으로 나오기도 하고 혹 누가 밖에 와서 문을 흔들고 부르는 줄로 알고 헛 대답 한 사람도 있다 하고 혹 어디서 개 하 놓는가 의심 하여 매우 놀란 사람들도 많았었다 하더니 어제 오후 두 시 반에 재작일과 같이 또 지동이 되었다더라
1898년 12월 28일 독립신문#
1898년 12월 28일 독립신문#
4. 둘러보기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 ||||
1810년 부령 지진 | → | 1899년 대한제국 지진 | → |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
문서가 존재하는 19세기 지진 | |||
[[틀:지진/19세기 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19세기 → [[틀:지진/20세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868e96> 1810. 2. 19. | M 6.7 | 1810년 부령 지진 | |
1811. 12. 16. ~1812. 2. 7. | M 8.8 | 뉴마드리드 지진 | |
1833. 11. 25. | M 9.0 | 1833년 남아시아 대지진 | |
1891. 10. 28. | M 8.4 | 노비 지진 | |
1896. 6. 15. | M 8.5 | 1896년 산리쿠 해역 지진 | |
1897. 6. 12. | M 8.3 | 1897년 아삼 지진 | |
1899. 1. 15. | M 6.3 | 1899년 대한제국 지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