麟 기린 린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鹿, 1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3획 | ||||
미배정 | 2급 | ||||||
- | |||||||
일본어 음독 | リン | ||||||
일본어 훈독 | きりん | ||||||
- | |||||||
표준 중국어 | lí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麟은 '기린 린'이라는 한자로, '기린(麒麟)'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9E9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PFDQ(戈心火木手)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鹿(사슴 록)과 음을 나타내는 粦(도깨비불 린)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약자로 獜으로 쓰기도 한다. 獜은 원래 鏻과 같이 건장하다는 뜻 또는 산해경에 나오는 개를 닮고 호랑이 발톱과 인갑을 두른 상상의 동물을 뜻하지만 麟의 약자로도 썼다. 이처럼 사슴록변 대신에 개견변을 쓰는 관행 때문에 개사슴록변이라는 명칭도 생겨났다.
본래 기린은 수컷을 기(麒), 암컷을 린(麟)이라고 칭하지만, 암컷 기린을 의미하는 린(麟) 자를 남성의 이름에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3. 자형
갑골문 |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 기린지 텐지로(麒麟寺 天示郎)
- 김룡린(金龍麟)
- 김법린(金法麟)
- 김인후(金麟厚)
- 노백린(盧伯麟)
- 마린(馬麟): 수호전의 등장인물
- 목인덕(穆麟德): 성씨인 묄렌도르프(Möllendorff)의 음역
- 무토 오린(武藤 小麟)
- 묵린(墨麟)
- 민인생(閔麟生)[1]
- 백인제(白麟濟)
- 모용린(慕容麟)
- 시마 키린(島 麒麟)
- 오카베 린(岡部 麟)
- 오토모 소린(大友 宗麟)
- 요도가와 린타로(淀川 麟太郎)
- 우갑린(禹甲麟)
- 이옥린(李玉麟): 중종과 왕비 문정왕후의 차녀.
- 이채린(李彩麟): 2NE1 CL의 본명.
- 정인지(鄭麟趾)
- 전혜린(田惠麟): 작가
4.4. 지명
4.5. 창작물
- 린(KOF)(麟)
4.6. 기타
- 기린 맥주(麒麟麦酒)
5. 유의자
- 麒(기린 기)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𪍴[⿰麥粦](둥근떡 련)
- 噒(말바르게못할 련)
- 憐(불쌍히여길 련)
- 嫾(여자의자 련)
- 膦(힘없을 련)
- 嶙(가파를 린)
- 鏻(굳셀 린)
- 橉(나무이름 린)
- 瞵(눈빛 린)
- 燐(도깨비불 린)
- 潾(맑을 린)
- 䫰(머리숱적을 린)
- 𤗷[⿰片粦](모서리 린)
- 磷(물흐르는모양 린)
- 䗲(반딧불이 린)
- 疄(밭두둑 린)
- 僯(부끄러울 린)
- 撛(붙들 린)
- 鱗(비늘 린)
- 暽(사람이름 린)
- 轔(수레소리 린)
- 驎(얼룩말 린)
- 璘(옥빛 린)
- 隣(이웃 린)
- 繗(이을 린)
- 𧲂[⿰豕粦](짐승이름 린)
- 蹸(짓밟을 린)[2]
- 獜(튼튼할/괴이한짐승 린)
- 𦨆[⿰⿳北穴瓦粦](가죽바지 준)
- 𥼭[⿰米粦](린)
- 䚬(린)
- 𩞻[⿰𩙿粦](린)
- 𢕸[⿰彳粦]
- 𡑝[⿰土粦]
- 𫬪[⿰吝粦]
- 𥛷[⿰示粦]
- 𥣿[⿰⿱禾⿻丨二粦]
- 𦗲[⿰耳粦]
- 𮇾[⿰夋粦]
- 𮓯[⿰虎粦]
- 𧸍[⿰貝粦]
- 𨊌[⿰身粦]
- 𧰢[⿰豊粦]
- 𬹸[⿰齒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