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a251d><colcolor=#ffd700> 고대 | 반랑 (문랑) | ||
어우락 (구낙) | ||||
남비엣 (남월) 찌에우 왕조 | ||||
한나라 - 한 구군 | 참파 | |||
남비엣 (남월) 쯩 자매의 난 | ||||
한나라 - 교주 | ||||
자오찌 (교지) 사씨 정권 | ||||
중국 남조 - 교주 | ||||
반쑤언(만춘) 전 리 왕조 | ||||
중국 남조 - 교주 | ||||
중근세 | 안남 응오 왕조 | |||
십이 사군 시대 | ||||
다이꼬비엣 (대구월) 딘 왕조 | 전 레 왕조 | ||||
다이비엣 (대월) 리 왕조 | 쩐 왕조 | ||||
다이응우 (대우) 호 왕조 | ||||
명나라 - 교지 | 다이비엣 (대월) 후 쩐 왕조 | |||
다이비엣 (대월) 후 레 왕조 | ||||
막 왕조 | 후 레 왕조 | |||
후 레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 다이남 (대남) 찐씨 정권 | 꽝남 (광남) 응우옌씨 정권 | }}} | |
떠이선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 귀인 정권 | 부춘 정권 | }}} | |
근대 | 다이남 (대남) 응우옌 왕조 | |||
안남 응우옌 왕조 | 프랑스 - 코친차이나 | |||
프랑스 - 인도차이나 연방 | ||||
일본 제국 - 베트남 제국 | ||||
현대 | 베트남 민주 공화국 | 프랑스 - 코친차이나 자치공화국 | ||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 ||||
베트남국 | ||||
베트남 공화국 | ||||
남베트남 공화국 |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황조강토 [ruby(皇, ruby=Hoàng)][ruby(朝, ruby=triều)][ruby(疆, ruby=Cương)][ruby(土, ruby=thổ)] Domaine de la Couronne | ||
| | |
황제기 | 국장 | |
[ruby(民, ruby=Dân)][ruby(爲, ruby=vi)][ruby(貴, ruby=quý)] 민위귀[1] | ||
상징 | ||
국가 | 청년행진곡 | |
지도 | ||
1949 ~ 1955 | ||
성립 이전 | 공화정 전환 이후 | |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 베트남 공화국 | |
지리정보 | ||
위치 | 동남아시아 | |
수도 | 달랏 | |
정치 | ||
정치체제 | 자치정부 산하의 군주제 |
1. 개요
황조강토는 베트남국의 일종의 왕실령이다. 이 지역은 베트남족이 다수를 차지하지 못한 채 응우옌 왕조에 복종하던 소수민족 지역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대한 프랑스의 이익과 원주민 통치자의 영향력을 보존하면서 베트남족의 이민을 이 지역에서 제한하기 위해 1950년 4월 15일 달랏을 수도로 설립되었다. 이 지역에서 보대제는 베트남국 국장이자 황제 칭호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영역은 북부에서 11개 성, 중부 고원 지대에서 5개 성을 차지했다. 하지만 실권은 프랑스인 안남총독이 갖고 있었다.그렇지만 1954년 제네바 합의 이후 북부 베트남에 있던 황조강토 11개 성이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넘어갔고, 5개 성만 남은 남부 베트남의 황조강토 역시 1955년 3월 11일, 응오딘지엠 총리에 의해 폐지당해 존속 기간이 4년 11개월에 불과했다. 그 이후 응오딘지엠은 중부 고원 지대에 대해 베트남족의 권리를 제한하는 기존 조치들을 모두 폐지해 베트남족의 이주를 촉진시켰다.
2. 같이 보기
바오다이 황제응우옌 왕조
응오딘지엠
베트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