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07:05:34

헬로히어로/더미 데이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헬로히어로|헬로히어로]]

1. 개요2. 헬로히어로
2.1. 캐릭터
2.1.1. "Tonggasi"2.1.2. 산적 시리즈2.1.3. "GuanYu"2.1.4. "Moai"2.1.5. "FXHarold"2.1.6. 고스트 제시카, 고스트 미야
2.2. 월드보스2.3. 기타
3. 헬로히어로 에픽배틀
3.1. 캐릭터
3.1.1. 복귀 예정이었던 전작 캐릭터3.1.2. 크루시안/크라시우스/크라피아3.1.3. 크록3.1.4. 태공3.1.5. 준마3.1.6. 체크메이트3.1.7. 로미 & 로디3.1.8. 로보캣3.1.9. 메카-M3.1.10. 미라3.1.11. 검투사 막시무스3.1.12. 부기맨3.1.13. 아드리안, 슈3.1.14. "Eggcasule"3.1.15. "Roger"
3.2. 코스튬3.3. 스테이지3.4. 기타3.5. 여담
4. 헬로히어로 올스타즈5. 헬로히어로 라이온하트

1. 개요

헬로히어로 시리즈의 더미 데이터를 정리한 문서.

2. 헬로히어로

2.1. 캐릭터


파일:G1UWFpm.png
헬로히어로의 등장인물 및 지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아르몬
파일:UI_Character_Harold00.png 파일:UI_Character_Sailor00.png
아르몬 수호대 아르몬 지원군
파일:UI_Character_Songi01.png 파일:UI_Character_Sancho01.png 파일:UI_Character_Bebe02.png 파일:UI_Character_Shark00.png
붉은 버섯 숲 모래 폭풍의 사막 달콤한 과자농장 성난 심해협곡
파일:UI_Character_Ragdoll03.png 파일:UI_Character_Trump06.png 파일:UI_Character_AKturret00.png 파일:UI_Character_Asmodeus00.png
잊혀진 장난감 마을 이상한 가시고원 버려진 전진 기지 케로닉 주둔지
쿠쿠비타
파일:UI_Character_Pumpkinlantern00.png 파일:UI_Character_Samzang00.png 파일:UI_Character_Muscleman00.png 파일:UI_Character_IceQueen02.png
오싹한 호박마을 머나먼 동쪽 대륙 히어로 시티 여왕의 땅
}}} ||

2.1.1. "Tonggasi"

파일:스크린샷 2024-11-24 121757.png

복어처럼 생긴 캐릭터. 파일 명칭을 직역하면 대략 "통가시"가 되는데 통 처럼 생긴 모양에 가시가 달려 있는 건 맞다...

파일:통가시 홈.jpg
2013년 여름 업데이트에서 처음 목격되었는데, 당시에도 유저들은 이 녀석의 정체를 궁금해 했으나 마지막까지 등장하지 못한 사실상 헬로히어로 시리즈에서 가장 오래된 미스터리인 셈이다.

2.1.2. 산적 시리즈

파일:UI_Character_Pigbully00.png 파일:UI_Character_Pigbully01.png 파일:UI_Character_Pigbully02.png
파일:산적.png
돼지처럼 생긴 산적들로 리소스 파일 명칭은 "Pigbully". 헬로히어로 더미 데이터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모델과 이름이 둘 다 존재하는데 게임 텍스트에는 "산적 돌쇠", "산적 꺽쇠", "산적 꺽정"이라고 불린다. 셋 중 누가 누구인지는 불명.

파일:산적 로딩.png
이쪽도 통가시처럼 공식 이미지에서 선행 등장했으나 끝내 수록되지 못했다.

파일:스크린샷 2019-04-27 17.34.28.png
그러다가 갑자기 올스타즈에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때는 "산적 산아"라고 불렸다. 참고로 소프트 런칭 당시에는 이 녀석을 출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잊은 건지(...) 원조 헬로히어로 캐릭터로 분류되었으나 헬로히어로에서 등장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 지적되자 올스타즈 캐릭터로 분류가 바뀌었다.

2.1.3. "GuanYu"

파일:UI_Character_GuanYu00.png 파일:UI_Character_GuanYu01.png
파일:관우1.png 파일:관우2.png
관우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파일:관우3.png
모델에서 텍스처를 제거한 모습. 빛을 비정상적으로 반사하는 것이 보인다.

모델 퀄리티가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부실한 상태다. 다만 헬로히어로는 셰이더가 단순한 편이라 게임 내에서는 별 문제가 없었을 것으로 보이며 아이콘도 하자 없이 포함되어 있다.

2.1.4. "Moai"

파일:UI_Character_Moai00.png
파일:모아이1.png
모아이 모양 캐릭터로, 머리 조형은 해병의 머리를 그대로 사용했다.

2.1.5. "FXHarold"

헤롤드와 동일하게 생겼으나 은둔자 샤켄/파우스트/리스틱이나 닌자 케이아스 등의 캐릭터들에게 적용되었던 이펙트 텍스쳐가 리소스 파일에서 함께 묶여있다. 헤롤드의 강화 형태 초안으로 추정되나, 총사령관 헤롤드가 그 포지션을 대신했다.

2.1.6. 고스트 제시카, 고스트 미야

이쪽은 모델이 없고 게임 텍스트 내에 이름만 들어가있다. 할로윈 이벤트 영웅으로 기획되었으나 불발된 것으로 보이는데, 아무래도 문제는 제시카가 한 마리 더 생기는 것이었던 걸로 보인다. 안 그래도 제시카를 한 번에 2명이나 사용할 수 있어서 아레나의 밸런스가 붕괴된 상황이었는데 하나 더 추가할 수는 없다고 판단한 걸로 추정된다.[1]

2.2. 월드보스

파일:UI_Character_Geniek00.png 파일:UI_Character_Geniek01.png 파일:UI_Character_Geniek02.png
파일:지니월보.png
파일:genieboss.png
보스 스테이지에 세워진 지니 월드보스[비공식]

램프의 지니에게 보디빌더 컨셉을 부여한 월드보스 디자인이 무려 4개나 더미 데이터에 들어가 있다. 하나는 단지 기존의 지니에게 아령을 주고 끝냈으나, 나머지는 아예 모델을 근육질로 바꿔놓은 형태다.

사막 모티브가 부여된 월드보스 스테이지도 존재하는데 정황상 이 보스의 스테이지로 보인다. 그런데 이 스테이지의 명칭은 "Raid04"이고, 마더치킨의 스테이지 명칭은 "Raid05"이다. 즉, 마더치킨보다 먼저 기획된 걸로 추정되는데, 얘를 만들다가 폐기하고 마더치킨을 제작해서 볼드퍼스와 마더치킨 출시 사이에 긴 공백 기간이 생긴 걸 수도 있다.

일반 램프의 지니가 디즈니판 지니를 연상시킨다면, 지니 월드보스 중 붉은 색 지니는 자파의 지니 형태를 인식하고 만든 것으로 보인다.

2.3. 기타

파일:critdown.png파일:unused-shield.png

상태이상 파일에서 사용되지 않은 크리티컬 감소로 추정되는 아이콘과 방패가 뚫리는 아이콘이 들어가 있다.

게임 텍스트에서 스테이지 중 "어둠 관문", "혹한 관문"이 존재하는데 쿠쿠비타 관문이 사라지는 대신 일반 난이도에서 어둠, 혹한 난이도로 진입할때 사용되려던 스테이지로 추정된다. 그 외에 악몽 난이도 이후 "지옥", "신화" 난이도의 흔적도 있는데 이들도 악몽 난이도처럼 일반, 어둠, 혹한이 따로 존재했다.
S_BG_Title.wav 한국판 버전 S_BG_Title.wav 글로벌판 버전
"S_BG_Title.wav"라는 음악 파일이 존재하는데 메인 테마곡의 잔잔한 버전이다. 정황상 게임을 시작할때 쓰이려던 BGM으로 추정된다. 글로벌판에도 동일한 명칭의 파일이 들어가 있는데 이쪽은 글로벌판 테마곡의 잔잔한 버전.
파일:9성.png 파일:UI_Armor42_8.png 파일:UI_Armor42_9.png
9성 엠블럼 8성 아이템 예시 9성 아이템 예시
캐릭터는 최대 7성까지 있었고, 레벨업에서 지급되는 8성 아이템도 확인되었으나, 게임 내에서 등장하지 않은 9성 엠블럼도 존재한다. 또한 사용되지 않은 다양한 아이템의 이름과 아이콘도 있다.
파일:2013-05-07 19.15.46.png 파일:cut_d.png
파일:2013-05-07 19.15.56.png 파일:cut_e.png
원본 리메이크
기존 엔딩 일러스트의 리메이크가 더미 데이터에 들어가 있는데, 게임 내에서는 사용되지 않았고 소피아의 일러스트는 일부 이벤트에서 사용되었다.

3. 헬로히어로 에픽배틀

진화의 시작 업데이트 이후 사실상 중요 업데이트는 모두 끝난 헬로히어로와는 달리, 에픽배틀은 아직 스토리가 진행 중이었던 상태에서 업데이트가 끊겼다. 그래서인지 전작에 비해 더미 데이터가 많은 편인데, 제작을 계속하기에는 흥행이 저조해서 그런지 중간에 중단시키고 이판사판으로 여캐 위주로 개발 중이던 캐릭터를 개별적으로 몇명만 출시하고 끝나버렸다[3].

3.1. 캐릭터


파일:Titleillust_Logo01_A.png
헬로히어로 에픽배틀의 등장인물 및 지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아르몬
파일:UI_Character_LeoNormal001.png 파일:UI_Character_Mushroom001.png 파일:UI_Character_Bebe001.png 파일:UI_Character_Capek001.png
지역 없음 바람부는 버섯 마을 달콤한 과자 농장 비밀스런 기계 왕국
파일:UI_Character_GunLanceKnight001.png 파일:UI_Character_Anubis001.png 파일:UI_Character_Dustin001.png 파일:UI_Character_SchakenRistick001.png
아르몬시티 지하 감옥 황금빛 모래 사원 숨겨진 바이킹 섬 포보스 군대 전초기지
토러스 트리톤 기타
파일:UI_Character_Rabbitwrestler001.png 파일:UI_Character_Merman001.png 파일:UI_Character_Dorosi001.png 파일:UI_Character_Roger001.png
신비한 장난감 도시 깊은 바다 협곡 NPC 더미 데이터
← 헬로히어로 지역 목록
}}} ||

3.1.1. 복귀 예정이었던 전작 캐릭터

3.1.2. 크루시안/크라시우스/크라피아

파일:HH2_Character_0147.png 파일:HH2_Character_0152.png
파일:크루시안.png 파일:크라시우스.png
파워 슈트를 착용하고 있는 물고기 캐릭터들. 이름의 어원인 "크루시안"은 붕어의 영어 명칭에서 따왔다. 전작의 요미들도 리소스 파일에서 "Crucian"이라고 불렸는데 연관되어 있는지는 불명.[4]

게임 텍스트에서는 크루시안, 크라시우스, 크라피아로 바리에이션이 3가지지만, 일러스트와 모델은 둘 뿐이다.

에픽배틀에는 타이틀 화면에서만 모습을 비추고 끝내 나오지 못했으나 스카이워크가 제작한 외전작인 라이온하트에서 잡몹으로 등장했다.

3.1.3. 크록

파일:HH2_Character_0146.png
파일:크록1.png
해적 악어 캐릭터. 한 손에 갈고리를 끼고 있고, 목에는 시계를 차고 있는 걸 보아 모티브는 후크 선장과 그가 두려워 하는 악어로 보인다.

3.1.4. 태공

파일:태공.png
낚시를 하는 로봇으로, 흔히 보이는 낚시 놀이 장난감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어떻게 보면 장난감 테마의 토러스와 바다 테마의 트리톤의 연결고리인 셈이다.

더미 데이터 캐릭터들 중 완성된 코스튬도 다양하고 몸에 달리는 액세서리 코스튬도 준비되어 있는 등 개발이 꽤 많이 되어있는 캐릭터다.

3.1.5. 준마

파일:준마.png
나이트 시리즈의 4번째 캐릭터로 본작에서는 유마와 적토마를 대체할 예정이었다. 에픽배틀판 청마의 디자인을 유니콘의 형태로 리데코한 모습으로, 청마와는 달리 무장이 없다.

3.1.6. 체크메이트

파일:체크메이트1.png
청마 등이 체스 기물 중 나이트를 모티브로 한다면 이쪽은 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다. 부분적으로 나뉜 커다란 팔이 특징.

3.1.7. 로미 & 로디

파일:로미로디.png
물감을 사용하는 쌍둥이들로, 여자쪽이 로미, 남자쪽이 로디다. 모자에 "FINCON"이라고 큼지막하게 쓰여있기에 IP가 스카이워크에게 팔린 현 상황에서 공식적으로 등장하기는 힘들 듯 하다.

3.1.8. 로보캣

파일:로보캣 mk-i.png 파일:로보캣 mk-ii.png
로보캣 Mk-I 로보캣 Mk-II
로봇 고양이 캐릭터. 파란색이 Mk-I, 빨간색이 Mk-II다.

색상 이외에 두 로보캣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슴부분인데, Mk-I은 태권브이를 연상시키는 모양이고 Mk-II는 마징가 Z를 연상시킨다. 후자의 경우 리소스 파일 명칭도 "RobocatZet"(제트)다.

3.1.9. 메카-M

파일:메카-m.png
하나의 바퀴로 움직이는 로봇으로, 등에는 태엽이 달려 있고 몸에는 불꽃 문양이 새겨져 있다. 무장으로 스패너를 사용하고 있고 프랑켄, 슈타인 처럼 스패너로 나사를 치며 공격하지만, 저 둘과는 달리 공격 시 나사를 몸에서 직접 뽑아내며 공격 중에는 나사를 뺀 곳에 구멍이 뚫려 있다가 공격 모션이 끝나고 다시 생성된다.

3.1.10. 미라

파일:미라a.png
황금빛 모래 사원에 등장한 미라들과는 다른 모습의 미라 캐릭터. 지팡이를 들고 있으며 리소스 파일 명칭이 "MummyWizard" (미라 마법사)이기에 마법을 사용하는 캐릭터로 보인다.

3.1.11. 검투사 막시무스

파일:검투사 막시무스.png
검투사 캐릭터.

3.1.12. 부기맨

파일:부기맨.png
부기맨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로, 커다란 새총을 무기로 사용한다.

3.1.13. 아드리안, 슈

파일:아드리안1.png 파일:슈1.png
아드리안
에픽배틀에서 NPC로 등장했던 캐릭터들로, 플레이어블로 승급할 예정이었다. 아드리안은 상점이 개편되면서 사용되지 않고 있었지만 슈의 경우 아직 공방에서 등장하고 있었기에 어떻게 처리했을지는 불명.

3.1.14. "Eggcasule"

파일:eggcapsule.png
캡슐 토이 캐릭터로, 게임 텍스트에 이름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리소스 파일 명칭에 오타가 있는데, "Eggcasule"로 불리지만 원래라면 "Eggcapsule"이어야 한다.

캡슐 내부에는 라벨 프린터, 다리는 태엽 장난감, 무기는 뿅망치 등 의외로 많은 장난감들이 합쳐진 캐릭터다.

3.1.15. "Roger"

파일:UI_Character_Roger001.png
카이저 경관을 해적스러운 모습으로 리데코한 캐릭터. 더미 데이터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모델 없이 일러스트만 존재한다.

3.2. 코스튬

파일:혹한의 아바돈.png 파일:사령관 이브.png 파일:화랑 헤롤드.png
혹한의 아바돈 & 사냥꾼의 창 사령관 이브 & 단단한 가시 주먹 & 단단한 가시 목 보호대 화랑 헤롤드 & 화랑의 검과 방패 & 턱 보호대
파일:대장군 드레이크.png 파일:호랑이 사냥꾼 딜리스.png 파일:오렌지 축제 레오.png 파일:설원의 로이드.png
대장군 드레이크 & 대장군의 창과 방패 호랑이 사냥꾼 딜리스 & 사냥꾼의 활 & 호랑이 마스크 오렌지 축제 레오 & 오렌지 문양 대검 설원의 로이드 & 가시 대검

미출시 캐릭터들 몇명도 코스튬이 존재하지만 위 사진들은 게임에 수록된 캐릭터들의 코스튬 중 출시하지 못한 코스튬들이다. 리소스 파일에서 숫자가 60을 넘는 코스튬은 주로 유료 코스튬이었기에, 전부 유료 코스튬으로 계획되었던 걸로 추정된다.
파일:소냐 스카우터.png [[파일:오필리아 네일배트.pngwidth=100%]]
이름 미정의 스카우터를 착용한 격투가 소냐 "행운의 방망이"를 착용한 오필리아

그 외에 머리, 얼굴, 등에 착용되는 액세서리 코스튬들도 사용되지 않았던 것들이 존재한다.

3.3. 스테이지

파일:UI_Planet_Chess.png
파일:가시고원.png

사용되지 않은 "Planet_Chess" 행성의 스테이지가 있는데, 아무래도 이상한 가시고원을 모티브로 한 스테이지다.

3.4. 기타

레오: 어휴... 겨우 빠져나왔네..
에릭: 아아...진작에 알아챘어야 했는데... 왜 그때 몰랐을까...
레오: 스승님! 의문의 기사.. 아니 헤롤드라면 케로닉전쟁의 영웅인데 어떻게 포보스의 부하가 된 거죠?
에릭: 포보스 신의 정신지배 마법은 아주 강력하단다. 나도 경험해봐서 그 끔찍한 고통을 알고 있지..
레오: 네!? 안다고요? 스승님이 그렇게 말할 정도면 얼마나 고통스러울까요?
에릭: 레오야.. 정신지배의 무서움은 육체적 고통에만 있는 게 아니란다.지배를 받으면 옳고 그름의 판단을 못 할 뿐 모든 행동은 기억하는데..
에릭: 마법에서 풀려나는 순간! 악행이나 신념에 어긋난 행동을 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리게 된단다. 헤롤드처럼 선한 신념의 소유자는 몇 배나 더 고통스러웠을 거야..
레오: 그렇겠군요..
바이킹족장 류리크: 허허허 다들 여기 있었군!!
샤켄: 에릭님 수고하셨습니다.아르몬 행성을 또 구해주셨군요.
아이즈: 레오! 정말 대단해! 멋진걸.
니콜라스: 홍홍홍 마르코야 이제 나랑 가야지!?
레오/실비아/마르코: 우와! 고생했어 모두! 그리고 고마워!
에리얼: 자 잠시만.. 잠깐! 비켜줘!! 에고고고
에리얼: 레오. 여기 있었구나, '그리나 대륙'에 케로닉의 잔당이 나타나서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어.. 네 힘이 필요해
레오: 스승님. 어서 가요!
에릭: 미안하지만... 난 이곳에 조금 더 남아서 헤롤드의 생사를 확인겠다. 에리얼은 너와 친구들이 도와주거라.
레오: 정말 그래도 돼요? 우와!!!
에릭: 그래. 하지만 상대를 우습게 보고나 자만해선 안 된다! 알겠지!?
레오: 네!! 알았어요!! 가자 얘들아!!! 출발!!
아르몬 행성을 무사히 지켜냈어! 그동안 정말 고생 많았어!
하지만 모두 끝난 것이 아니야. 에리얼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그리나 대륙'에는 아직도 케로닉 군단이 모두를 괴롭히고 있어. 그러니 서둘러 '그리나 대륙'으로 가야 해.
근데… 한 가지 문제가 있어. 이번 하드늄 폭발로 인해 '그리나 대륙'으로 갈 수 있는 모든 경로가 시공의 균열로 막혀버렸어.
시공의 균열을 지나 '그리나 대륙'으로 가려면 지금으로써는 한 가지 방법 뿐이야.
'균열 안정기'를 가지고 일시적으로 시공의 균열을 멈추는 것.
그래서 우선 '균열 안정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토러스 행성의 기술력'과 '트리톤 행성에서만 나오는 특별한 물질'이 필요해.
이야기하다 보니 설명이 너무 길어졌네.. 우선 한시가 급하니 토러스 행성으로 떠나 도움을 요청해보자!
'토러스 행성''트리톤 행성'으로 이동하기 위해선 우선 모험하기를 완료한 후 행성 아이콘을 터치하여 이동할 수 있어.
그럼 지금 떠나볼까?

의문의 기사 격파 이후 "그리나 대륙"을 향하기 위한 스토리 내용이 있었으나, 사용되지 않았다.

그 외에 일부 스토리 내용을 요약하는 장문과, 레오 일행이 여행하는 동안 잡몹 캐릭터들에게 일어난 이야기를 다루는 스토리의 흔적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적들을 모두 처치하기!" 혹은 "제한 시간 동안 적들의 공격에서 살아남기!" 등 미션 내용이 있는 걸 보아 스토리를 읽고 중간중간에 해당 캐릭터를 조종하며 미션을 클리어하는 컨텐츠였던 걸로 추정된다.

보석은 주로 탐험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보석은 당신의 영웅들의 필요 능력을 집중적으로 성장 시킬 수 있습니다.
보석은 무지개 빛을 내는 오팔과 고대 하드늄을 통해 변환 시킬 수 있습니다.
재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제므웰에게 말을 걸 경우
굉장히 바쁜 하루 입니다.
제가 조금 더 노력해야 되겠습니다.
제작 도중에 제므웰에게 말을 걸 경우
휴.. 보석의 성질을 바꿨 놨습니다.
주문하신 보석이 모두 완료 됐습니다.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므웰에게 말을 걸 경우

보석 제작 NPC인 "제므웰"의 이름과 대사가 더미 데이터에 남아있다. 게임에서는 보석은 공방에서 제작할 수 없었다.

3.5. 여담

"엑스티브 엔터테인먼트"라는 회사에서 에픽배틀이 아직 "헬로히어로 2"였을 당시에 로비, 전투 BGM을 제작했으나 게임 내에 수록되지 않았다.

파일:에픽배틀 홈화면.png

에픽배틀 4.0 홈 화면에서 레오와 트리비아와 함께 당시에는 정체불명의 캐릭터들이 있었다. 이들 중 크루시안, 로보캣 Mk-II, 혹한의 아바돈은 더미 데이터에서 확인되었으나, 나머지 한 명은 여전히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상태다.

4. 헬로히어로 올스타즈

헬로히어로 올스타즈의 경우, 인기가 저조했고 서비스 종료도 예고없이 일어났기에 게임 컨텐츠에 대한 제대로 된 자료가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리소스 파일을 전부 확인할 수는 있으나, 정작 그 파일들 중 어떤게 쓰인건지, 어떤게 쓰이지 않은건지 확인하기가 힘든 애매한 케이스다.

5. 헬로히어로 라이온하트

수록된 캐릭터들은 에픽배틀에서의 모든 코스튬이 파일 내에 존재한다. 유료 코스튬, 더미 데이터 코스튬도 포함. 정작 게임 내에서 각 캐릭터는 많아야 1-2가지 코스튬만 획득이 가능했다.
월드보스 던전이 개방되었습니다.
던전을 클리어하고 승급석과 랭킹보상을 획득하세요.

월드보스 콘텐츠를 위한 텍스트가 존재하고, 에픽배틀 버전 핀타우르스, 아그니드가 들어가 있으며 이들이 월드보스 역할을 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 문제의 광역기였던 얼음/검은 크리스탈이랑 같은 효과의 공격을 어둠의 전사 딜룬도 사용했으나 이쪽은 어둠 코인 60,000개로 구매해야 해서 특정 기간 내에는 조합이나 뽑기로 획득이 가능했을 고스트 제시카의 획득 난이도가 훨씬 숴웠을 것이다.[비공식] 게임 모델을 사용한 비공식 이미지[3] 그렇게 나온 캐릭터가 도로시, 미카엘라, 게일, 로지, 돈 조바라. 대부분 여캐인데 돈 조바라가 왜 껴있는지는 불명...[4] 요미들은 자기들이 타고 다니는 로켓을 개발할 정도의 기술력을 가진 종족이니 파워 슈트를 쓰는 크루시안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