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대 경상남도의회 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3px" | 창원 1 | 창원 2 | 창원 3 | 창원 4 | 창원 5 |
서민호 | 백태현 | 박해영 | 박준 | 이찬호 | |
창원 6 | 창원 7 | 창원 8 | 창원 9 | 창원 10 | |
이재두 | 박남용 | 강용범 | 정규헌 | 정쌍학 | |
창원 11 | 창원 12 | 창원 13 | 창원 14 | 창원 15 | |
진상락 | 공석 | 조영명 | 박동철 | 김순택 | |
창원 16 | 진주 1 | 진주 2 | 진주 3 | 진주 4 | |
이치우 | 정재욱 | 박성도 | 조현신 | 유계현 | |
진주 5 | 통영 1 | 통영 2 | 사천 1 | 사천 2 | |
김진부 | 강성중 | 김태규 | 임철규 | 김현철 | |
김해 1 | 김해 2 | 김해 3 | 김해 4 | 김해 5 | |
최학범 | 서희봉 | 최동원 | 권요찬 | 주봉한 | |
김해 6 | 김해 7 | 김해 8 | 밀양 1 | 밀양 2 | |
박병영 | 이시영 | 손덕상 | 장병국 | 조인종 | |
거제 1 | 거제 2 | 거제 3 | 양산 1 | 양산 2 | |
정수만 | 전기풍 | 윤준영 | 이용식 | 이영수 | |
양산 3 | 양산 4 | 양산 5 | 양산 6 | 의령 | |
최영호 | 권혁준 | 박인 | 허용복 | 권원만 | |
함안 1 | 함안 2 | 창녕 1 | 창녕 2 | 고성 1 | |
조영제 | 조인제 | 이경재 | 우기수 | 백수명 | |
고성 2 | 남해 | 하동 | 산청 | 함양 | |
허동원 | 류경완 | 김구연 | 신종철 | 김재웅 | |
거창 1 | 거창 2 | 합천 | 비례 | 비례 | |
박주언 | 김일수 | 장진영 | 박진현 | 노치환 | |
비례 | 비례 | 비례 | 비례 | ||
전현숙 | 이춘덕 | 한상현 | 유형준 | ||
* 창녕 1 성낙인 사퇴 (2023.1.8.) * 창원 15 박춘덕 사퇴 (2024.1.2.) * 밀양 2 예상원 사퇴 (2024.2.8.) * 창원 12 이장우 당선무효 (2025.1.9.) | |||||
◀ 제11대 | }}} }}}}}} |
경상남도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15a38><tablebgcolor=#f15a38> | 함안군 제2선거구 칠원읍,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산인면 咸安郡 第二選擧區 Haman District 2 | }}} | |||
<colbgcolor=#f15a38><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6,759명 (2022년)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남도 | |||||
관할 구역 |
| |||||
도의원 | | 조인제 (초선)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칠원읍을 위시로 한 함안군의 동부 지역을 관할한다.부울경의 군 지역 답게 국민의힘 지지세가 우세하다. 다만 내서읍과 인접하여 아파트 단지가 지어지는 칠원읍의 존재와 창원시와 인접해있는 관계로 인근의 의령군, 창녕군과 같은 곳보단 보수세가 약한 편이며, 대략 마산 지역 정도의 보수세를 지닌다. 옆 지역구보다 원래 보수세가 강력했으나 칠원읍의 개발 이후에는 정치 지형이 거의 일치한다.
2. 역대 선거 결과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함안군 제1선거구 | ||||
제5대 | 배재열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1] |
제6대 | 황종석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제7대 | 이방호 |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8대 |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9대 | 이성용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10대 | [[새누리당|]]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11대 | 빈지태 |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2][3] |
제12대 | 조인제 | | 2022년 7월 1일 ~ 현재 |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칠원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종석(黃宗錫) | 6,946 | 2위 |
[[민주자유당|]] | 39.74% | 낙선 | |
2 | 배재열(裵在烈) | 7,103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0.63% | 당선 | |
3 | 조규용(曺奎庸) | 3,42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6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1,815 | 투표율 84.17% |
투표 수 | 18,362 | ||
무효표 수 | 884 |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칠원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황종석(黃宗錫) | -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 무투표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칠원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방호(李芳浩) | 8,587 | 1위 |
| 55.74% | 당선 | |
3 | 황철락(黃喆洛) | 6,816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4.2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728 | 투표율 70.71% |
투표 수 | 16,071 | ||
무효표 수 | 668 |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칠원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이방호(李芳浩) | 7,237 | 1위 |
| 47.60% | 당선 | |
4 | 빈지태(賓址泰) | 2,861 | 3위 |
[[민주노동당|]] | 18.81% | 낙선 | |
6 | 이성용(李性龍) | 5,105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3.5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154 | 투표율 70.38% |
투표 수 | 15,592 | ||
무효표 수 | 389 |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칠원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용(李性龍) | 8,325 | 1위 |
| 44.34% | 당선 | |
7 | 권병철(權炳哲) | 8,00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2.64% | 낙선 | |
8 | 조이안(趙怡安) | 2,44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0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7,380 | 투표율 70.80% |
투표 수 | 19,386 | ||
무효표 수 | 611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칠원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용(李性龍) | 12,633 | 1위 |
[[새누리당|]] | 67.74% | 당선 | |
2 | 안성오(安晟吾) | 6,015 | 2위 |
[[새정치민주연합|]] | 32.2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8,597 | 투표율 67.08% |
투표 수 | 19,184 | ||
무효표 수 | 536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칠원읍,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빈지태(賓址泰) | 7,801 | 1위 |
| 38.64% | 당선 | |
2 | 조인제(趙仁濟) | 6,762 | 2위 |
[[자유한국당|]] | 33.49% | 낙선 | |
6 | 이성용(李性龍) | 3,91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40% | 낙선 | |
7 | 김송숙(金松淑) | 1,705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4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8,946 | 투표율 71.65% |
투표 수 | 20,741 | ||
무효표 수 | 555 |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이 하늘을 찌르고 있었고, 자유한국당에서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성용 후보가 20% 가량의 표를 잠식했기 때문에 빈지태 후보가 40% 가까운 득표율을 얻으며 승리했다.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함안군 제2선거구 칠원읍, 대산면, 칠서면, 칠북면, 산인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빈지태(賓址泰) | 5,462 | 2위 |
| 34.91% | 낙선 | |
2 | 조인제(趙仁濟) | 10,181 | 1위 |
| 65.0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7,366 | 투표율 58.77% |
투표 수 | 16,084 | ||
무효표 수 | 441 |
국민의힘에서는 저번에 출마했다 낙선한 조인제 함안양로원 원장을 단수공천하며 재도전에 나선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1:1 구도의 매치업이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조인제 후보의 30%p차의 낙승으로 끝이 났다. 하지만 빈지태 후보도 꽤나 선전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칠원읍에서는 64.5% : 35.5%로 꽤 선전하였으며, 빈지태 후보의 고향인 대산면에서는 58.8% : 41.2%로 빈지태 후보가 40%를 넘게 얻기도 했다. 그리고 칠서면에서 65.9% : 34.1%, 산인면에서는 67.5% : 32.5%로 빈지태 후보가 30%를 넘게 받았다. 하지만 칠북면에서는 77.8%를 조인제 후보에게 몰아주었고, 선전하긴 하였어도 모든 지역에서 조인제 후보가 넉넉한 리드를 하면서 복수에 성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