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6:29:50

히페리온(위성)

하이페리온(위성)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태양계
Solar Syste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letter-spacing: -0.8px"
항성
행성
<nopad> 지구형 행성
<nopad> 목성형 행성 [A]
항성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소행성체 왜행성 [B]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소행성대 1 세레스 · 2 팔라스 · 4 베스타 외 다수
켄타우로스족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카이퍼대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134340 명왕성 (카론 등 5개)
하우메아족 136108 하우메아 (히이아카 · 나마카)
큐비원족 136472 마케마케 (S/2015 (136472) 1)
산란 분포대 136199 에리스 (디스노미아)
세드나족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성간 천체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오르트 구름
구조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각주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토성의 위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font-size:.9em; letter-spacing:-.2px"
<colbgcolor=#f3deb3><colcolor=#000> D 고리
C 고리
내위성 B고리 S/2009 S 1
카시니 간극
A고리 엥케 간극
킬러 간극 다프니스
로슈 간극 아틀라스 · 프로메테우스
F고리
판도라 · 에피메테우스 · 야누스
G고리 아이가이온
E고리 미마스*
알키오니데스 메토네 · 안테 · 팔레네
엔셀라두스*
테티스* 트로이 위성 텔레스토L4 · 칼립소L5
디오네* 헬레네L4 · 폴리데우케스L5
레아* · 타이탄* · 히페리온 · 이아페투스*
불규칙 위성 <colbgcolor=#f3deb3><colcolor=#000> 이누이트군
(순행 1)
키비우크군 S/2019 S 1 · 키비우크 · S/2005 S 4 · S/2020 S 1 · 이지라크
파알리아크군 파알리아크
샤르나크군 S/2004 S 31 · 타르케크 · S/2019 S 14 · 샤르나크 · S/2020 S 3 · S/2020 S 5
갈릭군
(순행 2)
알비오릭스 · 베비온 · S/2007 S 8 · LX · 에리아푸스 · 타르보스 · S/2020 S 4
노르스군
(역행)
포에베군 포에베 · S/2006 S 20 · S/2006 S 9
스카티 · S/2007 S 5 · S/2007 S 7 · S/2007 S 2 · S/2004 S 37 · S/2004 S 47 · S/2004 S 40 · S/2019 S 2 · S/2019 S 3 · S/2020 S 7 · 스콜 · S/2020 S 2 · S/2019 S 4 · S/2004 S 41 · S/2004 S 42 · 히로킨 · 그레이프 · S/2004 S 13 · S/2007 S 6 · 문딜파리 · S/2006 S 1 · S/2004 S 43 · S/2006 S 10 · S/2019 S 5 · 그리드르 · 베르겔미르 · 야른삭사 · 나르비 · 수툰그르(수퉁) · S/2007 S 3 · S/2004 S 44 · S/2004 S 45 · 하티 · S/2004 S 17 · S/2006 S 11 · S/2004 S 12 · 에그테르 · S/2006 S 13 · S/2007 S 9 · S/2019 S 7 · S/2019 S 8 · 파르바우티 · 트리므르 · 베스틀라 · S/2019 S 9 · S/2004 S 46 · 앙그르보다 · S/2019 S 11 · 아에기르 · 벨리 · S/2019 S 10 · S/2019 S 12 · 게르드 · S/2019 S 13 · S/2006 S 14 · 군로드 · S/2019 S 15 · S/2020 S 6 · S/2004 S 7 · S/2006 S 3 · S/2005 S 5 · 스크리미르 · S/2006 S 16 · S/2006 S 15 · S/2004 S 28 · S/2020 S 8 · 알바디 · 카리 · S/2004 S 48 · 게이로드 · 펜리르 · S/2004 S 50 · S/2006 S 17 · S/2004 S 49 · S/2019 S 17 · 수르투르(수르트) · S/2006 S 18 · 로게 · 이미르 · S/2019 S 19 · S/2004 S 21 · S/2019 S 18 · S/2004 S 39 · S/2019 S 16 · S/2004 S 53 · S/2004 S 36 · 티아지 · S/2019 S 20 · S/2006 S 19 · LXIV · 포르뇨트 · S/2004 S 51 · S/2020 S 10 · S/2020 S 9 · LVIII · S/2019 S 21 · S/2004 S 52
미분류
(순행)
S/2006 S 12 · S/2019 S 6 · S/2004 S 24
※ 위성들은 토성에서부터의 거리 순으로 정렬
※ *: 대형 위성
※ 모든 내위성 및 대형 위성은 순방향 공전
 
}}}}}}}}} ||
히페리온
영어: Hyperion
중국어: 土卫七
에스페란토: Hiperiono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Hyperion_false_color.jpg
모천체토성
구분외위성
크기360.2km × 266km × 205.4km
평균 지름270±8km
질량(5.6199±0.05)×1018 kg
평균 거리1,481,009 km
이심률0.1230061
궤도 경사각0.43°
밀도0.544±0.050 g/cm3
반사율0.3
공전 주기21.276일
자전 주기불규칙적
자전축 기울기불규칙적
발견 날짜1848년 9월 16일

1. 개요2. 특징
2.1. 매우 낮은 밀도2.2. 매우 불규칙한 자전
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토성위성 중 하나. 최초로 발견된 둥글지 않은 위성이다.[1] 반지름은 103~180km로 매우 불규칙하고, 공전 궤도는 토성 궤도 반지름의 24배이며, 공전주기는 21.3일이다.

평균 지름 약 270km 정도의 조그만 위성으로, 전체적인 모양은 구형이 아니라 고구마나 돌멩이처럼 불규칙하며, 표면이 많은 크레이터들로 뒤덮여 있다. 과 먼지가 많이 섞인, 지저분한 (H2O)의 얼음[2]이 고르게 분포한다.

2. 특징

하이페리온은 다른 위성들에서는 보기 힘든 특징들을 많이 가지고 있어, 탐구 가치가 많은 위성이다.

2.1. 매우 낮은 밀도

암석과 얼음이 섞여 있는 불규칙 위성들 중에서도 제법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밀도가 0.54 g/cm3 정도로 매우 낮은데, 하이페리온의 암석에는 마치 현무암처럼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있어 빈 공간이 많다. 하이페리온의 경우, 이러한 빈 공간이 부피의 46%를 넘게 차지하기 때문에 밀도가 매우 낮다.

2.2. 매우 불규칙한 자전

태양계의 천체들 중에서 드물게 자전이 독보적으로 불규칙한데, 불규칙성이 너무 심해서 자전속도의 측정은 물론 어떻게 변할지 예측조차 하기 힘들다.[3] 자전속도 뿐만 아니라 자전축이 향하는 방향도 심하게 변하는데, 이렇게 심한 불규칙 자전을 보이는 다른 천체로는 명왕성의 4개의 소위성들이 있다.


토성을 기준으로 본 타이탄과 하이페리온의 3:4 궤도 공명 영상.


타이탄을 기준으로 본 3:4 궤도 공명 영상. 3시 방향의 주황색 점이 타이탄이다.

이는 토성의 최대 위성 타이탄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큰데, 타이탄은 질량이 매우 큰 위성인 만큼 토성계에서 다른 천체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매우 크다.

또한, 하이페리온과 타이탄이 가장 가까이 접근할 때의 거리는 약 40만 6,000km 정도로, 타이탄이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가깝게 접근하지만, 이심률과 후술한 궤도 공명 때문에 하이페리온이 토성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타이탄과 일직선상에 놓이지는 않는다.[4]

게다가 타이탄과 3:4 궤도공명을 이루기 때문에[5] 매우 큰 중력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여기에 하이페리온의 모양이 구형이 아닌 불규칙한 형태라는 점[6]까지, 4박자가 고루 맞물려서 하이페리온의 자전축이 예측하기 어려운 혼돈 운동을 하는 것이다.

3. 관련 문서



[1] 발견 연도가 1848년으로 또다른 비구형 위성인 화성의 위성 포보스데이모스의 발견 연도는 1877년이다.[2] 천문학에서 '얼음'이라는 단어는 비암석질이고 상온에서 액체나 기체로 존재하는 여러 물질들의 고체 상태를 모두 포괄하기 때문에 분자를 특별히 명시해줘야 한다. 예를 들어 매우 추운 행성의 고체 암모니아나 고체 메테인도 '얼음'이라고 부른다.[3] 지구수만 년에 걸쳐 회전축이 회전하기는 한다. 그러나 지구의 경우 회전축이 규칙적으로 변해서 수학적으로 쉽게 기술할 수 있는 wobble 운동에 가깝고, 자전축의 회전 주기도 수만 년으로 매우 긴 것에 비해, 하이페리온의 회전축의 변화는 심하게 불규칙하며, 변화 속도도 매우 빠르다. 타임랩스를 적용해서 관찰하면 한 축을 기준으로 거의 일정하게 회전하는 다른 천체들과는 달리 정말 극단적으로 제멋대로 돌아간다.[4] 만약 토성-타이탄-하이페리온 순으로 일직선상에 놓인다면 서로 간의 거리는 약 24만 km가 된다.[5] 타이탄이 4바퀴 공전할 동안 하이페리온이 3바퀴 공전한다는 뜻이다. 궤도 공명은 단순한 공전 횟수의 정수비일 뿐만 아니라, 천체들의 운동에 크게 기여한다.[6] 보다 정확히는 길쭉한 형태일수록 이러한 경향이 강하다. 길쭉한 형태이면 양 끝단에 걸리는 힘의 세기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