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아프리카의 국가별 수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북아프리카 | ||
| | | |
| | | |
| | | |
| | | |
| |||
| |||
동아프리카 | |||
| | | |
아스마라 | | | |
| | | |
주바 | 아디스아바바 | | |
| | | |
| | 기테가 | |
| | | |
| | | |
| | | |
빅토리아 | 포트루이스 | 모로니 | |
| | ||
안타나나리보 | 하르게이사 | ||
서아프리카 | |||
| | | |
| 아부자 | 바마코 | |
| | | |
와가두구 | | | |
| | | |
다카르 | 비사우 | 코나크리 | |
| | | |
프리타운 | 몬로비아 | | |
| | | |
| 로메 | 포르토노보 | |
| |||
| |||
중앙아프리카 | |||
| | | |
야운데 | 은자메나 | 방기 | |
| | | |
| 말라보 | 리브르빌 | |
| | ||
브라자빌 | | ||
남아프리카 | |||
| | | |
| | | |
| | | |
루사카 | 행정 입법 블룸폰테인 사법 | | |
| | ||
로밤바 왕정·입법 행정 | | ||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 |||
}}}}}}}}} |
하라레 Harare |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16px -10px" | | | |
<rowcolor=#fff> 깃발 | 문장 | }}} | |
<colbgcolor=#d40000> 국가 | [[짐바브웨| ]][[틀:국기| ]][[틀:국기| ]] | ||
주 | 하라레 주 | ||
면적 | 940㎢ | ||
인구 | 2,123,132명 (2012년) | ||
3,120,927명(광역권) | |||
시장 | 제이콥 마푸메 |
|
하라레 시가지 |
|
짐바브웨 준비은행 타워 |
|
성모마리아대성당 |
[clearfix]
1. 개요
짐바브웨의 수도이자 최대도시. 과거 솔즈베리라고 불렸었다.2. 역사
1890년 영국군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설립 당시 이름은 솔즈베리(Salisbury)[1]였다. 이후 1935년에 시로 승격되었다.1923년 남로디지아 식민지의 수도가 된 이후 식민지시절과 로디지아 시절에 빠르게 성장하였다.
1982년 4월 18일 도시 이름이 근처의 지명에서 이름을 따와서 하라레(Harare)로 변경되었다. 이는 "잠을 자지 않는다" 란 추장의 별명에서 유래했다.
1986년 6차 비동맹 운동 정상회의가 개최되고 1991년 영연방회의가 이 도시에서 열려 하라레 선언이 발표되기도 했으나 이후 경제적으로 어려워지기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나 짐바브웨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서는[2] 상대적으로 도시가 성장하였다.
3. 기후
기후는 위도가 남위 18도인[3]지역 치고는 연평균 기온이 낮은 18˚C인데, 그 이유는 고도가 1,480m 정도로 높기 때문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Cwb(선선한 온대 하우 기후)를 나타내며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우기로 한국의 여름만큼 덥지는 않으며 4월은 건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이다. 5~8월은 서늘한 건기이자 겨울로 대한민국의 가을날씨 정도, 고지대인 관계로 일교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며 비는 거의 내리지 않는다. 9~10월은 덥지만 대한민국에 비해서 덥지는 않은 건기이다.4. 교육
1952년 설립된 짐바브웨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인 짐바브웨 대학교가 이곳에 위치한다.5. 여담
파탄국가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나름 현대적인 고층빌딩이 많이 들어서 있고[4][5] 공원도 있다. 나름 아이스크림가게 크리미 인(Creamy inn)이랑 피자가게 피자 인(Pizza inn), 치킨가게 치킨 인(Chicken inn)[6] 등 식당가도 괜찮다. 사실 영국 식민지 시절에 건설된 도시라서 그렇다. 다만 유럽풍 건물들은 독립영웅 출신인 로버트 무가베 시절 많이 철거당했다.[7] 하지만 여전히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하수도물을 길어다 마시는 사람들도 있다.[8] 대한민국 인천국제공항에서의 직항은 없으나, 에미레이트 항공을 통한 두바이 국제공항 경유 혹은 에티오피아 항공을 통한 볼레 국제공항 경유를 통해 하라레 국제공항으로 올 수 있다.[1] 영국의 44, 46, 49대 총리를 지낸 인물 솔즈베리 후작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2] 당장 짐바브웨 제2의 도시인 불라와요 같은 도시만 해도 거의 성장이 멈춘 상태이다.[3] 뭄바이와 비슷하다. 다만 여기는 북위 18도) 참고로 이곳의 연평균 기온은 27˚C이다.[4] 하라레에는 70m 이상 건물이 8개, 100m 이상 건물은 2개 있다. 짐바브웨의 최고층 빌딩은 1997년 건설된 신중앙은행 타워(120m, 28층). 제2의 도시인 불라와요에도 75m 건물과 110m 건물이 1개씩 있다.[5] 사실 평양만 봐도 알 수 있듯 국가의 경제력이 수도에 집중되기에 어떻게 보면 딱히 이상한 일도 아니다.[6] 저 Inn 자가 들어가는 식당들을 운영하는 곳이 짐바브웨에서 가장 큰 로컬 체인인 Inns Corp. 라서 그렇다.[7] 그래도 영국인 정착민들에 의해 건설된 것이라 백인들이 건설한 건물들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들 역시 꽤 된다.[8] 특히 도시 외곽의 경우가 그렇다. 그쪽은 지금도 상수도가 안 깔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