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80015, #da001a 20%, #da001a 80%, #b80015);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동서대분열 이전 추촌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예루살렘 주교 | 제2대 예루살렘 주교 | 제3대 예루살렘 주교 | 제4대 예루살렘 주교 | 제5대 예루살렘 주교 | |||||
시메온 | 유스토 1세 | 자캐오 | 토비아 | |||||||
<rowcolor=#b80015,#b80015> 제6대 예루살렘 주교 | 제7대 예루살렘 주교 | 제8대 예루살렘 주교 | 제9대 예루살렘 주교 | 제10대 예루살렘 주교 | ||||||
베냐민 | 요한 1세 | 마티아 | 필립보 | 세네카 | ||||||
<rowcolor=#b80015,#b80015> 제11대 예루살렘 주교 | 제12대 예루살렘 주교 | 제13대 예루살렘 주교 | 제14대 예루살렘 주교 | 제15대 예루살렘 주교 | ||||||
유스토 2세 | 레위 | 에프렘 | 요셉 | 유다 | ||||||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 제15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 제19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 제22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 제16대 예루살렘 주교 | ||||||
마르코 | 나르치소 | 알렉산데르 | 자무다 | 마카리오 | ||||||
<rowcolor=#b80015,#b80015> 제17대 예루살렘 주교 | 제18대 예루살렘 주교 | 제19대 예루살렘 주교 | 제20대 예루살렘 주교 | 초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 ||||||
막시모 | 요한 2세 | 프라울리오 | 유베날리오 | |||||||
<rowcolor=#b80015,#b80015> 제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4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 ||||||||
엘리야 | 모데스토 | 소프로니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초기 라틴 총대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b80015,#b80015> 초대 | 제2대 | 임시직 | 제3대 | 복위 | ||
다고베르토 다 피사 | ||||||||||
<rowcolor=#b80015,#b80015> 제4대 | 재임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아르눌 드 쇼크 | ||||||||||
<rowcolor=#b80015,#b80015> 제8대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아모리 드 네슬레 | 에라클레스 도베르뉴 | 미셸 드 코르베유 | 아이마로 모나코 데이 코르비치 | |||||||
<rowcolor=#b80015,#b80015>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소프레도 에리코 가에타니 | 알베르토 다 베르첼리 | 라울 드 메렝쿠르 | 제라르 드 로잔 | 로베르 드 낭트 | ||||||
<rowcolor=#b80015,#b80015>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제22대 | ||||||
기욤 다쟁 | 톰마소 아니 다 코센차 | 조반니 다 베르첼리 | 엘리 드 페리게 | |||||||
<rowcolor=#b80015,#b80015>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니콜라 드 아나프 | 란돌포 | 앤서니 벡 | 피에르 플레느카사뉴 | 피에르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로마 주재 명의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b80015,#b80015>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레몽 베캥 | 피에르 드 팔뤼드 | 에리 드 나비날 | 피에르 드 카사 | 에마누엘레 드 나비날 | ||||||
<rowcolor=#b80015,#b80015>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제37대 | ||||||
기욤 아미치 | 필리프 드 카바솔르 | 굴리엘모 밀리티스 | 기예르메 오디베르 드 라 가르드 | 필리프 달랑송 드 발루아 | ||||||
<rowcolor=#b80015,#b80015>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굴리엘모 다 우르비노 | 슈테판 즈 오스트로바 | 페르난두스 | 우고 로베르티 | 프란시스코 클레멘테 페레스 카페라 | ||||||
<rowcolor=#b80015,#b80015> 제43대 | 제44대 | 교구장 서리 | 교구장 서리 | 제45대 | ||||||
레오나르도 델피노 | 비아조 몰리노 | 크리스토포로 가라토니 | 조반니 베사리오네 | 로렌초 잔니 | ||||||
<rowcolor=#b80015,#b80015>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
루이 드 아리퀴리아 | 바르톨로메오 델라 로베레 | 조반니 안토니오 산조르조 | 베르나르디노 로페스 데 카르바할 이 산데 | 로드리고 데 카르바할 | ||||||
<rowcolor=#b80015,#b80015>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 크리스토포로 스피리티 | 안토니오 엘리오 | 시피오네 곤차가 | |||||||
<rowcolor=#b80015,#b80015>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제60대 | ||||||
파비오 비온디 다 몬탈토 | 프란체스코 첸니니 데 살라만드리 | 디오페보 파르네세 | 알폰소 만사네도 데 키뇨네스 | 도메니코 데 마리니 | ||||||
<rowcolor=#b80015,#b80015> 제61대 | 제62대 | 제63대 | 제64대 | 제65대 | ||||||
조반니 바티스타 콜론나 | 테그리무스 테그리미 | 아이기디우스 우르시누스 데 비베레 | 카밀로 마시모 | 에지디오 콜론나 | ||||||
<rowcolor=#b80015,#b80015> 제66대 | 제67대 | 제68대 | 제69대 | 제70대 | ||||||
반디노 판차티키 | 니콜로 피에트로 바르젤리니 | 프란체스코 마르텔리 | 무치오 가에타 | 빈첸초 루도비코 고티 | ||||||
<rowcolor=#b80015,#b80015> 제71대 | 제72대 | 제73대 | 제74대 | 제75대 | ||||||
폼페오 알드로반디 | 톰마소 체르비니 | 톰마소 몬카다 라 록카 | 조르조 마리아 라스카리스 | 미켈레 디 피에트로 | ||||||
<rowcolor=#b80015,#b80015> 제76대 | 제77대 | |||||||||
프란체스코 마리아 펜치 | 파올로 아우구스토 포스콜로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예루살렘 복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b80015,#b80015> 제78대 | 제79대 | 제80대 | 제81대 | 제82대 | |||
조세프 발레르가 | 조반니 빈첸초 브라코 | 루이지 피아비 | 필리포 카마세이 | 루이지 바를라시나 | ||||||
<rowcolor=#b80015,#b80015> 제83대 | 제84대 | 제85대 | 제86대 | 제87대 | ||||||
알베르토 고리 | 자코모 주세페 벨트리티 | 미셸 사바흐 | 푸아드 트왈 | }}}}}}}}}}}}}}} |
<colbgcolor=#ffbd0a><colcolor=#fffdf7> 제10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 피에르바티스타 피차발라 Pierbattista Pizzaballa | |
O.F.M. | |
사제급 추기경 | |
| |
출생 | 1965년 4월 21일 ([age(1965-04-21)]세) |
이탈리아 베르가모 | |
국적 |
|
(복수국적) |
사제 수품 | 1990년 9월 15일 |
재임기간 |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 |
2020년 10월 24일 ~ 현직 | |
학력 | 교황청립 성 안토니오 대학교 (신학 / 학사) 프란치스칸 성경 연구소[1] (성경신학 / 석사) |
| |
SUFFICIT TIBI GRATIA MEA 내 은총이 너에게 넉넉하다[2] |
1. 개요
이탈리아 출신의 가톨릭 추기경, 제10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2. 생애
1965년 이탈리아 베르가모의 작은 마을에서 삼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9살 때부터 사제가 되고 싶다는 성소를 느껴, 1976년 프란치스코회의 소신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1984년 라 베르나[3]에서 수련 수사가 되었고, 1985년 첫서원을 했다. 이후 1989년 볼로냐에서 종신서원을 했으며, 1990년 사제품을 받았다.1993년 예루살렘에 위치한 프란치스칸 성경 연구소에서 성경신학을 공부한 후, 그곳에서 고전 히브리어와 유대교를 가르쳤다. 조교수로 부임한 후 5년 만에 히브리어로 된 로마 미사 경본의 편집에 참여하고 다양한 전례문을 번역했다.
1999년 작은형제회 성지보호 관구[4]에 합류해 공식적으로 봉사를 시작했고, 히브리어를 사용하는 가톨릭 신자들의 사목을 담당했다. 2001년 예루살렘 성 시메온과 성 안나 수도원의 원장으로 임명되었고, 2004년에는 불과 39세의 나이에 제167대 성지 수석 관리인으로 임명되었다. 이 직책을 12년 동안 맡으며 봉사에 힘썼다.
2008년 교황청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의 유대교 관계 위원회 자문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10년 중동 주교 시노드에 참석했으며, 2014년에는 바티칸 정원에서 프란치스코 교황, 이스라엘 대통령 시몬 페레스, 팔레스타인 대통령 마흐무드 압바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가 참석한 회의를 주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
2016년 6월, 제9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 푸아드 트왈의 사임 요청을 프란치스코 교황이 수락했다. 교황은 그의 후임자를 임명하는 대신, 피자발라를 총대주교청 교구장 서리[5]로 임명하여 대주교의 품위를 부여하고 베르베의 명의주교로 임명했다. 피자발라는 2016년 7월 15일 주교직에 취임하여 같은 해 9월 15일 베르가모 대성당에서 주교 서품을 받았다.
2020년 10월 24일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제10대 예루살렘 라틴 총대주교로 임명되었고, 그로부터 3년 뒤인 2023년 9월 30일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6]
2025년 콘클라베에서 유력 후보 중 하나로 거론되었으나, 추기경으로 서임된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나이가 지나치게 젊었기 때문인지 선출되지 못하였다.
3. 성향
성체성사와 성모신심을 가톨릭 신앙의 핵심이라고 여기고, 전례 거행에 매우 세심한 태도를 보인다. 또한 온갖 사람들이 다 모이는 예루살렘의 특성 때문인지, 교회 안의 다양한 전례에 깊이 관여하고 있고 트리엔트 미사에도 특별히 배타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으며, 입 영성체의 전통을 굳이 손 영성체로 바꿀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7]성직주의에 대한 비판, 이민자,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에 있어서는 프란치스코 교황과 유사하기도 하다. 하지만 미묘한 차이점도 존재한다. 그는 교회가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기를 바라지만, 그것이 "교회가 모든 사람에게 속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또한 사회정의, 권리, 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결국 모든 것의 출발점은 신앙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성서신학을 공부하고 가르쳤던만큼, 성경의 중요성에 대해 매우 강조한다. 성경에 대한 해석이나 주석보다도 성경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만남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신앙생활의 중심은 말씀과의 관계라고 말한다. 또한 입으로만 거창하게 떠드는 복음이 아닌, 실천적 복음 중심의 영성을 지향한다.
현실감각이 뛰어나고 실용적인 리더로 평가 받는다. 사목 전반에 대한 개혁, 평신도 교육, 청년사목 등 다양한 영역에서 꾸준히 개입하는 편이며, 평신도가 각자의 신분에 따라 교회 안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교리 교육의 부실함에 꽤나 비판적인 편으로, 평신도 교리교사 양성에 더욱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이며 안타까워 한다. 하마스의 잔혹한 행위들과 이스라엘의 보복 정도를 모두 강력하게 비판하며, 하마스가 인질로 잡고 있는 이스라엘 어린이들과 자신을 교환할 수 있다면 기꺼이 그렇게 하겠다고 말한 바가 있고,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에 대해서도 큰 동정심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이 전쟁을 경험한 탓인지 종교 간의 대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회의적인 입장을 취한다.
4. 여담
- 모어인 이탈리아어 외에도 히브리어, 아랍어, 영어, 심지어 아람어도 구사할 줄 안다.
- 성(姓)이 의외로 주목을 받고 있다. Pizza는 당연히도 피자고, Balla는 이탈리아어로 댄스로, Pizzaballa를 의역하면 피자댄스가 된다. 이 때문에 만약 교황으로 당선된다면 교황명은 '요한'으로 하는 게 좋겠다는 개드립도 나온다. 다만,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한글로 '피차발라'라고 표기하는 것이 맞는데, 한국에서도 '피자'에 이끌려서인지 '피자발라'라고 표기한 곳이 많다. 이 문서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