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 캐릭터 |
1. 프로필
<colbgcolor=#FF3300,#000><colcolor=#fff> 프리차 プリチャ | Preecha |
<colbgcolor=#FF3300,#000><colcolor=#fff> 격투 스타일 | 아류 + 무에타이 |
생일 | 1985년 8월 3일 |
혈액형 | A형 |
소중한 것 | 연구용 자료 |
성우 | 안자이 치카 (일본어 더빙) 미아 페이지 (영어 더빙) |
테마곡 | Pree-chan Equation(아랑 CotW) |
2. 개요
'기'라는 수수께끼의 원리를 쫓는 과학자. 무에타이 챔피언 '죠 히가시'의 수제자로, 실력은 뛰어나나 승리에 집착하지 않는다. 신기한 기술의 이치를 밝히겠다는 일념으로, 아픈 건 질색이지만 연구를 위해 계속 싸우고 있다.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 캐릭터 소개(한국어)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 캐릭터 소개(한국어)
아랑전설 시티 오브 더 울브스의 등장인물로 죠 히가시의 수제자로 소개되었다.[1]
과학자가 본업이고 격투기는 죠의 제자가 된 후 배우기 시작한 것이다. 엔딩에 따르면 죠의 제자가 된 것은 그리 길지 않았다는 듯. 그래서 타락한 락과 싸운 것에 엄청 긴장했다고 한다. 프리차를 축하하러 온 죠가 프리차의 징징거리는 모습을 보고 놀란 것을 보면 평소엔 이런 모습을 잘 안 보여준 듯. 이 모습을 보고 휴식을 취하겠다는 프리차에게 죠가 앞으로도 그만한 각오가 필요한데 이번에 그렇게 힘들었다면 격투기를 그만할 것인가 조심스럽게 물어보지만 프리차는 절대 안 그만둔다면서 무서웠지만 그래도 나에겐 이루고 싶은 꿈이 있다고 말한다. 스크류 어퍼의 원리나 열풍권의 원리를 이해하지 못 하겠다며 무서운 감정보다 호기심이 더 강하니 앞으로도 죠를 따르겠다고 말한다.
김동환의 아케이드 모드에서 최종 보스로 등장하는데 김동환이 발로 번개를 일으키는 것에 상당한 흥미를 느끼고 있다. 김동환이 가볍게 데이트 신청하냐고 물어보나 프리차는 김동환의 가벼운 태도 안에 예리한 감각을 가진 것에 흥미를 느끼면서 김동환이 이기면 데이트를 받아주겠다고 하면서 김동환과 제대로 대결한다. 엔딩에서 김동환은 프리차가 자신을 진심으로 싸우게 한 것에 재미를 느끼고 프리차는 김동환이 강하지만 폼 잡는 것이 쓸데없는 틈을 만들고 있다고 조언하고 김동환은 이를 받아들이지만 마냥 진지하게 끝내는 건 별로라고 하는데 이에 프리차는 대련은 서로의 역량을 가늠하고 부족한 것을 찾아내 발전하는 것이므로 승패에 일희일비할 정도로 김동환이 약한 건 아니라고 평가한다. 이후, 프리차는 약속대로 자신의 번호를 김동환에게 줘 데이트를 받아들이고 다음에는 안 질 거라며 다시 만나기로 약속한다. 사실 이것은 김동환의 약점을 알려주기 위한 김갑환의 계획이었고 김갑환은 김동환의 약점을 알려준 프리차와 죠에게 감사히 여긴다.
3. 기술
3.1. 기본잡기
3.2. 필살기
- 프리차 콤비네이션
- 스크류 레그
발길질로 회오리 장풍을 날리는 기술. 스승이 사용하는 허리케인 어퍼와 비슷하지만, 상대를 향해 날아가는 일반적인 장풍이었던 허리케인 어퍼와는 달리 발 끝에서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 바닥에 닿은 후에는 잠시 동안 그 자리에서 판정을 유지하며 남아 있다 사라지는 독특한 장풍이다.
- 사인 · 코사인, 탄젠트
타이거 킥의 프리차 버전
- 서큘러 스텝
파생기로 로우 앵글 킥, 패러볼라 니, 아크 엘보가 있다. 이중 아크 엘보는 바네사의 펀치 어퍼와 모션이 매우 유사하다.
3.3. 초필살기
- 스크류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 P=mc2
3.4. 히든 기어
- 프리차의 최종 정리
4. 성능
5. 기타
- 손동작과 지식에 관련된 대사에서 지식인 캐릭터인 걸 알 수 있다. 또한 이름인 프리차도 태국어로 지식, 지혜, 직감 등의 다양한 뜻을 가진 일반명사이다. 다만 이 이름이 태국에서 거의 100% 남자 이름으로 쓰이는 점, 태국이 성전환 수술로 유명하다는 점, 프리차 본인의 키가 매우 크다는 점 때문에 공개 초기부터 성전환, 여장남자일지도 모른다고 추측하는 사람도 있었다. 다만 SNK의 캐릭터 중에 화 자이처럼 이름으로 쓰지 않는 '심장'이라는 뜻의 일반명사를 쓰거나 앙헬처럼 똑같이 남자 이름이면서[2] 일반명사(천사라는 뜻)를 쓰는 여캐도 있으며 바네사처럼 키가 180cm를 넘는 여캐도 있기에 부정되었다. 결국 TGS 2024 때 이에 대한 의문을 표한 태국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프리차는 링 네임(스테이지 네임) 같은 것이다’라는 식으로 답변하여 설정을 메꾸었다. #
- 아랑MotW의 후속작으로 제작되다가 중단된 베이퍼웨어에서 등장했던 캐릭터 중 죠의 부상[3]으로 대신 대회에 출전하는 '콴 콘타'라는 캐릭터가 있었고, # 맥시멈 임팩트와 KOF XII 스토리를 작성했던 우레시노 아키히코는 이 캐릭터가 묻히는 것이 아쉬워 죠 스토리에서 여러차례 콴을 언급하고, 아예 KOF XII의 죠 히가시 백 스토리(파이터즈 프로필)에서 죠와 처음 만나 첫 제자[4]가 되는 묘사를 넣었으나, CotW에는 프리차가 대신 수제자라는 이름을 달고 출장하게 된다. 설정상 존재하기는 하지만 포지션이 겹친다는 점에서 묻힐 수밖에 없는 앨리스 크라이슬러와 앨리스 가넷 나카타 관계와 유사하다. 다만 제작진도 이를 인지했는지 EVO2024 개발자 세션에서 '콴과 프리차는 별개의 인물이며 둘은 친하다'라는 코멘트를 달았다.
- 격투 캐릭터 중에서 드물게 안경을 착용한다.
- 아랑전설에서는 이례적으로 등장한 키가 큰(175cm 내외 또는 이상) 여자 캐릭터이다. 인게임 상으로 테리, 마르코와 비교해도 키가 전혀 꿀리지 않는다.
[1] 원문은 一番弟子로, 가장 뛰어난 제자라는 뜻 외에 '첫번째 제자(가장 처음 제자가 된 사람)'라는 뜻도 있다. 프리차의 경우 둘 다일 수도 있으며, 현재로서는 어느쪽인지 확인이 어려운 상태. 영문 번역이 star pupil인 걸로 보아 한국어와 영문 모두 수제자라는 뜻으로 보고 번역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2] 원칙적으로 앙헬(Angel)의 여성형 이름으로는 앙헬라(Angela)라고 해야 한다.[3] 구체적으로는 오른팔과 양 다리 골절[4] 원문은 弟子第1号(제자 1호).[5] 테리는 두 사람과 달리 특별한 제자는 없다. 굳이 말하자면 테리의 기술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 락 하워드가 그나마 테리의 제자라 볼 수 있기는 하다.[6] 공교롭게도 프리차와 Cotw의 호쿠토마루의 성우는 진짜 사촌 관계다! 프리차 쪽이 동생이지만, 경력상으로는 프리차 쪽 성우인 안자이 치카가 호쿠토마루의 성우 에노키 쥰야보다는 선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