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5 20:14:40

프레데리크 뢰노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50017><tablebgcolor=#d50017>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 ||
1 뢰노우 · 3 마르크그라프 · 4 레이트 · 5 [[다닐료 두키|두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 6 켐라인 · 7 버크 · 8 [[라니 케디라|케디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9 부르주 · 10 안자 · 11 정우영 · 12 슈타인 · 13 셰퍼 · 14 크버펠트 · 15 로테 · 17 프로이
18 유라노비치 · 19 하버러 · 21 스카르케 · 23 일리치 · 24 스코우 · 25 클라우스 · 27 류비치치
28 [[크리스토퍼 트리멜|트리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 30 보그다노프 · 31 라프 · 33 크랄 · 34 은소키 · 39 · 41 오그베무디아
파일:UEFA GER.png 슈테펜 바움가르트 {{{#!folding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프레데리크 뢰노우 25-26.webp
<colbgcolor=#d50017><colcolor=#fff> 1. FC 우니온 베를린 No. 1
프레데리크 뢰노우
Frederik Rønnow
본명 프레데리크 리스 뢰노우
Frederik Riis Rønnow
출생 1992년 8월 4일 ([age(1992-08-04)]세)
덴마크 중앙윌란 지역 호르센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덴마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덴마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0cm / 체중 80kg
포지션 골키퍼
소속 <colbgcolor=#d50017><colcolor=#ffffff> 유스 스텐스발 IK
AC 호르센스
선수 AC 호르센스 (2010~2015)
에스비에르 fB (2013~2014 / 임대)
브뢴뷔 IF (2015~2018)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18~2021)
FC 샬케 04 (2020~2021 / 임대)
1. FC 우니온 베를린 (2021~ )
국가대표 10경기 (덴마크 / 2016~ )
1. 개요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2.2.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2.1. 2018-19 시즌2.2.2. 2019-20 시즌2.2.3. 2020-21 시즌
2.3. 1. FC 우니온 베를린
2.3.1. 2021-22 시즌2.3.2. 2022-23 시즌2.3.3. 2023-24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덴마크 국적의 1. FC 우니온 베를린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골키퍼.

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

16살에 AC 호르센스에 입단하여 2011년 9월 7일, 홀스테브로와의 대니쉬 컵 경기를 통해 프로에 데뷔했다. 이후 2012-13 시즌부터 주전 골키퍼로 자리잡아 좋은 활약을 선보이며 구단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었으나 팀은 2부리그로 강등된다. 그렇게 다음 시즌은 에스비에르 fB로 임대되면서 1부리그에서 더 뛸 수 있었고, 임대 복귀한 2014-15 시즌에는 2부리그에서 리그 12경기를 뛰고 2015년 7월에 브뢴뷔 IF와 4년 계약을 체결했다.

그는 브뢴뷔에 오자마자 빠르게 주전으로 발돋움하면서 세 시즌 동안 브뢴뷔의 넘버원으로 골문을 든든히 지켰다.

2.2.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2.1. 2018-19 시즌

2018년 4월 루카시 흐라데츠키를 대체하기 위해 영입되었다. 흐라데츠키가 브뢴뷔 IF에서 뛰다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로 이적한 것처럼, 뢰노우도 똑같은 행보를 보이는 점이 흥미롭다. 하지만 8월 말 독일 국가대표 케빈 트라프가 임대 영입되면서 백업으로 밀려난 상태이다.

2.2.2. 2019-20 시즌

파일:1670762931-frederik-roennow-eintracht-frankfurt-gegen-bayer-leverkusen-beste-spiel-seiner-karriere-gemacht-2COgXbXTYEe9.jpg

2019-20 시즌에는 주전으로 나설 것으로 보였으나, UEFA 유로파 리그 2차 예선 FC 플로라 탈린과의 경기를 앞두고 어깨 부상을 입었다. 게다가 프랑크푸르트는 트라프를 완전 영입하였고 뢰노우는 다시 백업으로 밀려날 것으로 보인다. 등번호 1번도 내주었다.

하지만 6라운드 이후 트라프가 부상으로 전반기를 날리게 됨으로써 출전 기회가 찾아왔다.

분데스리가 8라운드 바이어 04 레버쿠젠과의 경기에서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MOM에 선정되었다!

11라운드 SC 프라이부르크전에선 루카스 횔러의 슛을 감각적인 다이빙으로 막아냈다.

14라운드가 끝난 기준 Kicker 골키퍼 평점 1위에 올라있다. 케빈 트라프가 복귀해도 주전이 누가 될 지 알 수 없게 되었다.

15라운드 FC 샬케 04 전에서 여러 차례 슈퍼 세이브를 펼치면서 키커 평점 2.5점으로 팀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차지했다. [1] 그러나 경기가 끝나고 힘줄이 끊어지는 부상을 당해 약 1달정도 결장할 것으로 보인다.

후반기 첫 경기인 호펜하임 원정 경기를 앞두고 부상에서 회복되어 명단에 들었지만, 트라프 역시 같이 부상에서 회복해 복귀하면서 다시 주전 자리를 내주었다.

그 뒤로 계속 교체 명단에만 들고 출전하지는 못하다가 37라운드 쾰른 원정 경기에 선발 출전했다.

2.2.3. 2020-21 시즌

2.2.3.1. FC 샬케 04
파일:EjKgOTrWAAI0gLY.jpg

FC 샬케 04마르쿠스 슈베르트와 스왑딜 링크가 나고 있다. 그리고 맞임대 형식으로 임대가 확정되었다. 기간은 1년. 양 쪽 모두 완전 영입 옵션이 존재한다.

3라운드 RB 라이프치히전에서 후반전 시작과 함께 부상당한 랄프 페어만을 대신해 교체로 출전하였다. 뢰노우는 정말 좋은 활약을 보였다. 오른쪽 아래에 있는 코너에 맞춘 프리킥을 막는 슈퍼세이브를 했었고 이후에 마르셀 할스텐베르크가 찬 페널티킥을 완전히 읽어내긴 했지만 아쉽게도 막지는 못했다.

4라운드 1. FC 우니온 베를린전은 정말 질경기를 무승부로 막아냈다는 평을 들을 정도로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이후로도 준수한 모습으로 든든하게 후방을 지키는중이다. 샬케로서는 지난시즌 갑작스러운 알렉산더 뉘벨의 바이언 이적선언 이후 정말 오랜만에 No.1다운 골리를 찾게된 셈.

10라운드 바이어 04 레버쿠젠전을 앞두고 부상을 당해 당분간 출전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부상당해있던 동안 랄프 페어만이 좋은 폼을 보여주었고, 복귀후에도 벤치에 앉아있다 갈비뼈 부상으로 아웃되었다.

22라운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랄프 페어만이 부상을 당했으나 본인 역시 부상이었기에 써드골리 미하엘 랑거가 대신 투입되었다.

23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전 역시 랑거가 투입되었으나 5대1 대패를 당했고, 24라운드 1. FSV 마인츠 05전 복귀했다.

28라운드부터 다시 페어만이 복귀하자 벤치로 돌아갔다.

2.3. 1. FC 우니온 베를린

FC 샬케 04에서의 임대가 끝나고 원소속팀인 프랑크푸르트로 복귀했지만 얼마안가 1. FC 우니온 베를린과 계약했다.

2.3.1. 2021-22 시즌

파일:20220918-165439-4-3771x2514ma.jpg

팀에는 7월 30일부터 합류하였으며, 팀에 합류하고 안드레아스 루테가 부상을 당하자 주전 자리를 차지하며 우니온 베를린의 6위 수성에 크게 기여했다.

2.3.2. 2022-23 시즌

루테가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으로 이적하며 등번호를 1번으로 교체했다.

5월 7일 기준 리그에서 26경기 10클린시트를 기록중이다.

2.3.3. 2023-24 시즌

마인츠와의 개막전부터 PK 2선방이라는 미친 활약을 보였고, 팀도 케빈 베렌스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4:1 대승을 거뒀다.

팀은 엄청난 부진을 달리고 있지만 혼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하고 있다.

1월 28일, 우니온 베를린과 재계약을 체결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각 급의 연령대 대표팀을 두루 거쳐왔으며, 덴마크 U-21 소속이던 시절에는 주전으로 활약했었다. 2016년 3월 9일, A매치 2연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소집된 뒤 데뷔했다.

이후, 여러 국제 메이저대회에 참가하며 카스퍼 슈마이켈의 서브 키퍼로 지내고 있다. 훗날 슈마이켈이 은퇴할 시 마스 헤르만센과 함께 차기 넘버원으로 꼽히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선방 시 공을 바라보는 집중력이 상당히 좋아서, 공을 끝까지 보고 안정적인 선방을 구사하는 골키퍼. 골키퍼로서 집중력이 좋다 보니, 세트피스 같은 혼전 상황에서의 볼 처리 능력이 뛰어나고 페널티 킥 선방에 있어서도 두각을 드러낸다. 그 중에서도 페널티 킥은 우니온 베를린 이적 전까진 16개의 페널티 킥 중 1개밖에 선방하지 못했지만, 우니온 이적 후 발생한 18개의 페널티 킥 중 6개를 선방할 만큼 페널티 킥 상황에서의 판단력이 개선되었다.

골키퍼로서 집중력이 높고 판단력이 좋은데, 이 덕분에 박스 안팎에서 위치를 잡는 움직임이 뛰어나며, 골키퍼로서 갖춰야 할 반사신경과 리치도 좋은 편이다. 또한, 우니온 베를린의 팀 특성 때문에 롱킥을 이용한 빌드업을 자주 전개하는 데, 롱킥 성공률이 좋은 편이다.[2]

다만, 골키퍼로서 발재간이 좋은 볼 플레잉 키퍼는 아니며, 스위핑에 능하지만 확실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볼 처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발 부상을 비롯한 잔부상 이력이 있다는 점에서 관리가 필요하다.

5. 여담

6. 같이 보기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1. FC 우니온 베를린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FC 우니온 베를린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프레데리크 뢰노우 25-26.webp
파일:안드리크 마르크그라프 25-26.webp
파일:디오구 레이트 25-26.webp
파일:다닐료 두키 25-26.webp
파일:알료샤 켐라인 25-26.webp
1 3 4 5 6
프레데리크 뢰노우
Frederik Rønnow

파일:덴마크 국기.svg | GK
1992.08.04
2021~2026
안드리크 마르크그라프
Andrik Markgraf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6.05.07
2025~
디오구 레이트
Diogo Leite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9.01.23
2022~2026
다닐료 두키
Danilho Doekhi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8.06.30
2022~2026
알료샤 켐라인
Aljoscha Kemlein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4.08.02
2023~
파일:올리버 버크 25-26.webp
파일:라니 케디라 25-26.webp
파일:리반 부르주 25-26.webp
파일:일리야스 안자 25-26.webp
파일: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 25-26.webp
7 8(VC) 9 10 11
올리버 버크
Oliver Burke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FW
1997.04.07
2025~2029
라니 케디라
Rani Khedira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4.01.27
2021~2026
리반 부르주
Livan Burcu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FW
2004.08.28
2024~
일리야스 안자
Ilyas Ansah

파일:독일 국기.svg | FW
2004.11.08
2025~
정우영
Wooyeong Je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9.09.20
2024~
파일:언드라시 셰퍼 25-26.webp
파일:레오폴트 크버펠트 25-26.webp
파일:톰 로테 25-26.webp
파일:다비트 프로이 25-26.webp
파일:요시프 유라노비치 25-26.webp
13 14 15 17 18
언드라시 셰퍼
András Schäfer

파일:헝가리 국기.svg | MF
1999.04.13
2022~2027
레오폴트 크버펠트
Leopold Querfeld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DF
2003.12.20
2024~
톰 로테
Tom Rothe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4.10.29
2024~
다비트 프로이
David Preu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4.10.26
2024~
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DF
1995.08.16
2023~2027
파일:야니크 하버러 25-26.webp
파일:팀 스카르케 25-26.webp
파일:안드레이 일리치 25-26.webp
파일:로베르트 스코우 25-26.webp
파일:카를 클라우스 25-26.webp
19 21 23 24 25
야니크 하버러
Janik Haberer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4.04.02
2022~
팀 스카르케
Tim Skarke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6.09.07
2022~2027
안드레이 일리치
Andrej Il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FW
2000.04.03
2024~2027
로베르트 스코우
Robert Skov

파일:덴마크 국기.svg | MF
1996.05.20
2024~
카를 클라우스
Carl Klaus

파일:독일 국기.svg | GK
1994.01.16
2024~
파일:마린 류비치치 25-26.webp
파일:크리스토퍼 트리멜 25-26.webp
파일:드미트로 보그다노프 25-26.webp
파일:마테오 라프 25-26.webp
파일:알렉스 크랄 25-26.webp
27 28(C) 30 31 33
마린 류비치치
Marin Ljubič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FW
2002.02.08
2025~
크리스토퍼 트리멜
Christopher Trimmel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DF
1987.02.24
2014~2026
드미트로 보그다노프
Dmytro Bogdanov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2007.03.06
2025~2029
마테오 라프
Matheo Raab

파일:독일 국기.svg | GK
1998.12.18
2025~
알렉스 크랄
Alex Král

파일:체코 국기.svg | MF
1998.05.19
2023~
파일:스탠리 은소키 25-26.webp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파일:올루와슨 오그베무디아 25-26.webp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34 39 41
스탠리 은소키
Stanley Nsoki
[1]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9.04.09
2025~2026
데리크 쾬
Derrick Köhn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9.02.04
2025~2029
올루와슨 오그베무디아
Oluwaseun Ogbemudia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6.07.18
2024~2026

1. FC 우니온 베를린 2025-26 시즌 임대 선수
<rowcolor=#373a3c>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9 FW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크리스 베디아 Chris Bedia BSC 영 보이즈
20 M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라슬로 베네시 László Bénes 카이세리스포르
<colbgcolor=#d50017> 구단 정보
감독: 슈테펜 바움가르트 / 홈구장: 슈타디온 안 데어 알텐 푀르스테라이
출처: 1. FC 우니온 베를린 공식 웹사이트,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2일

[1] TSG 1899 호펜하임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3223d><tablebgcolor=#d3223d> 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3223d,#dd2b4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ddd
<rowcolor=#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카스페르 슈마이켈
(Kasper Schmeichel)
1986년 11월 5일 ([age(1986-11-05)]세) 116 0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셀틱 FC
16 마스 헤르만센
(Mads Hermansen)
2000년 7월 11일 ([age(2000-07-11)]세) 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2 필립 요르겐센
(Filip Jörgensen)
2002년 4월 16일 ([age(2002-04-16)]세) 1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첼시 FC
DF 2 요아킴 안데르센
(Joachim Andersen)
1996년 5월 31일 ([age(1996-05-31)]세) 45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풀럼 FC
3 야니크 베스테르고르
(Jannik Vestergaard)
1992년 8월 3일 ([age(1992-08-03)]세) 55 3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레스터 시티 FC
4 루카스 호이스베르
(Lucas Høgsberg)
2006년 6월 23일 ([age(2006-06-23)]세) 2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5 요아킴 멜레
(Joakim Mæhle)
1997년 5월 20일 ([age(1997-05-20)]세) 54 11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VfL 볼프스부르크
6 안드레아스 크리스텐센
(Andreas Christensen)
1996년 4월 10일 ([age(1996-04-10)]세) 75 4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 FC 바르셀로나
13 라스무스 크리스텐센
(Rasmus Kristensen)
1997년 7월 11일 ([age(1997-07-11)]세) 30 2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7 파트리크 도르구
(Patrick Dorgu)
2004년 10월 28일 ([age(2004-10-28)]세) 8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안톤 고에이
(Anton Gaaei)
2002년 11월 19일 ([age(2002-11-19)]세) 1 0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AFC 아약스
MF 7 맷 오라일리
(Matt O'Riley)
2000년 11월 21일 ([age(2000-11-21)]세) 5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0 알베르트 그뢴베크
(Albert Grønbæk)
2001년 5월 23일 ([age(2001-05-23)]세) 8 1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제노아 CFC
14 미켈 담스고르
(Mikkel Damsgaard)
2000년 7월 3일 ([age(2000-07-03)]세) 34 5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브렌트포드 FC
15 빅토르 프로홀트
(Victor Froholdt)
2006년 2월 25일 ([age(2006-02-25)]세) 4 0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FC 포르투
21 모르텐 히울만
(Morten Hjulmand)
1999년 6월 25일 ([age(1999-06-25)]세) 17 1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스포르팅 CP
23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파일:주장 아이콘.svg
(Pierre-Emile Højbjerg)
1995년 8월 5일 ([age(1995-08-05)]세) 90 11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FW 8 윌리엄 오술라
(William Osula)
2003년 8월 4일 ([age(2003-08-04)]세) 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9 라스무스 회이룬
(Rasmus Højlund)
2003년 2월 4일 ([age(2003-02-04)]세) 28 9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SSC 나폴리
11 안드레아스 스코우 올센
(Andreas Skov Olsen)
1999년 12월 29일 ([age(1999-12-29)]세) 40 8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VfL 볼프스부르크
12 카스페르 돌베르
(Kasper Dolberg)
1997년 10월 6일 ([age(1997-10-06)]세) 56 12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AFC 아약스
19 안데르스 드레이어
(Andreas Dreyer)
1998년 5월 2일 ([age(1998-05-02)]세) 6 1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샌디에이고 FC
20 미카 비어레스
(Mika Biereth)
2003년 2월 8일 ([age(2003-02-08)]세) 6 1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AS 모나코
- 빅토르 옌센
(Victor Jensen)
2000년 2월 8일 ([age(2000-02-08)]세) 0 0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FC 위트레흐트
- 야콥 브룬 라르센
(Jacob Bruun Larsen)
1998년 9월 19일 ([age(1998-09-19)]세) 8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번리 FC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5일(금)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2025년 9월 8일(월) 원정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FFF 90%),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0%, transparent 20%)"
파일:험멜 로고(세로형).svg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Denmark national football team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UEFA 유로 2020 - 최종 명단)}}}
1 슈마이켈 · 2 안데르센 · 3 베스테르고르 · 4 키예르
5 멜레 · 6 크리스텐센 · 7 스코우 · 8 딜레이니 · 9 브레이스웨이트
10 에릭센 · 11 스코우 올센 · 12 돌베르 · 13 잔카 · 14 담스고르
15 뇌르고르 · 16 뢰슬 · 17 스트뤼거 라르센 · 18 바스
19 · 20 포울센 · 21 코르넬리우스 · 22 뢰노우
23 호이비에르 · 24 옌센 · 25 크리스티안센 · 26 보일레센
파일:UEFA EURO DEN.png 카스페르 히울만
파일:UEFA EURO DEN.png 모르텐 위고르스트
{{{#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E0722 10%, transparent 10%, transparent 90%, #9E0722 90%), linear-gradient(to bottom, #9E0722 20%, transparent 20%)"
파일:험멜 로고(세로형).svg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 HOME).svg
Denmark national football team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2022 카타르 월드컵 - 최종 명단)}}}
1 슈마이켈 · 2 안데르센 · 3 넬손 · 4 키예르 ⓒ · 5 멜레 · 6 A. 크리스텐센 · 7 옌센 · 8 딜레이니 · 9 브레이스웨이트
10 에릭센 · 11 스코우 올센 · 12 돌베르 · 13 R. 크리스텐센 · 14 담스고르 · 15 뇌르고르 · 16 O. 크리스텐센 · 17 스트뤼거 라르센
18 바스 · 19 · 20 포울센 · 21 코르넬리우스 · 22 뢰노우 · 23 호이비에르 · 24 스코우 · 25 린스트룀 · 26
파일:UEFA EURO DEN.png 카스페르 히울만
파일:UEFA EURO DEN.png 모르텐 위고르스트 · 파일:UEFA EURO DEN.png 크리스티안 폴센
{{{#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8em"

1 슈마이켈 · 2 안데르센 · 3 베스테르고르 · 4 키예르 · 5 멜레 · 6 A. 크리스텐센 · 7 옌센 · 8 딜레이니 · 9 호일룬 · 10 에릭센
11 스코우 올센 · 12 돌베르 · 13 장카 · 14 담스고르 · 15 뇌르고르 · 16 헤르만센 · 17 크리스티안센 · 18
19 · 20 포울센 · 21 히울만 · 22 뢰노우 · 23 호이비에르 · 24 드레이어 · 25 R. 크리스텐센 · 26 라르센
파일:UEFA EURO DEN.png 카스페르 히울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DEN.png 모르텐 위고르스트 · 파일:UEFA EURO DEN.png 크리스티안 폴센



[1] 키커 평점은 점수가 낮을수록 높은 평가를 받는다. 1점이 최고, 5점이 최저[2] 22-23시즌 롱 킥 성공률이 80.7%로, 분데스리가 내에서도 상위권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