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4 03:10:55

크리스토퍼 트리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50017><tablebgcolor=#d50017>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 ||
1 뢰노우 · 3 마르크그라프 · 4 레이트 · 5 [[다닐료 두키|두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 6 켐라인 · 7 버크 · 8 [[라니 케디라|케디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9 부르주 · 10 안자 · 11 정우영 · 12 슈타인 · 13 셰퍼 · 14 크버펠트 · 15 로테 · 17 프로이
18 유라노비치 · 19 하버러 · 21 스카르케 · 23 일리치 · 24 스코우 · 25 클라우스 · 27 류비치치
28 [[크리스토퍼 트리멜|트리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 30 보그다노프 · 31 라프 · 33 크랄 · 34 은소키 · 39 · 41 오그베무디아
파일:UEFA GER.png 슈테펜 바움가르트 {{{#!folding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크리스토퍼 트리멜의 역임 직책
{{{#!folding ▼
1. FC 우니온 베를린 주장
펠릭스 크로스
(2016~2018)
크리스토퍼 트리멜
(2018~ )
현직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2025-26 시즌 구단별 주장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엠레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다비트
라움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로베르트
안드리히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질반
비드머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클라인딘스트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마누엘
노이어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마르코
프리들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막시밀리안
아르놀트

파일:VfL 볼프스부르크 로고.svg
아타칸
카라조르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제프리
하우엘레이우

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크리스토퍼
트리멜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잭슨
어바인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마르빈
슈베베

파일:1. FC 쾰른 로고.svg
크리스티안
귄터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로빈
코흐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파트리크
마인카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유수프
포울센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올리버
바우만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2. 분데스리가 구단별 주장 ▶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리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

}}} ||
파일:크리스토퍼 트리멜 25-26.webp
<colbgcolor=#d50017><colcolor=#fff> 1. FC 우니온 베를린 No. 28
크리스토퍼 트리멜
Christopher Trimmel
출생 1987년 2월 24일 ([age(1987-02-24)]세)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주 오베르풀렌도르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9cm / 체중 86kg
포지션 라이트백[1], 윙백, 스토퍼
소속 <colbgcolor=#d50017><colcolor=#ffffff> 유스 UFC 마너즈도르프(1994~2006)
ASK 호리트숀 (2006~2007)
선수 SK 호리트숀 (2007~2008)
SK 라피트 빈 (2008~2014)
1. FC 우니온 베를린 (2014~ )
국가대표 25경기 1골 (오스트리아 / 2009~ )

1. 개요2. 클럽 경력
2.1. 1. FC 우니온 베를린
2.1.1. 2019-20 시즌2.1.2. 2020-21 시즌2.1.3. 2021-22 시즌2.1.4. 2022-23 시즌2.1.5. 2023-24 시즌2.1.6. 2024-25 시즌
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오스트리아1. FC 우니온 베를린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수비수.

2. 클럽 경력

2007년 오스트리아 리그의 ASK 호리트숀에서 프로 데뷔했고 2008년 SK 라피트 빈으로 이적했다.

2.1. 1. FC 우니온 베를린

파일:39MU_332ZN5_lo.jpg

2014년 1. FC 우니온 베를린으로 이적했다. 계약기간은 2019년까지. 이적후 팀의 주장을 맡게된다. 2018-19시즌 주장으로서 팀의 역사상 첫 분데스리가 승격을 함께했다.

2.1.1. 2019-20 시즌

파일:regular-16-9 (7) rimmel;.jpg

2019-20 시즌 분데스리가 첫시즌 팀의 잔류를 순조롭게 돕고있다. 팀도 좋은모습을 보이고있고 트리멜 자신도 좋은모습을 보이고 있다. 트리멜의 크로스로 시작되는 세트피스는 가히 수준급.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2021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리그가 중단된 가운데, 후스코어드 닷컴이 선정한 분데스리가 베스트 11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2.1.2. 2020-21 시즌

2020-21 시즌도 역시 주전으로 뛰는중. 4라운드 FC 샬케 04마르빈 프리드리히의 선제골을 정확한 크로스로 어시스트했다.

12라운드 VfB 슈투트가르트전에도 정확한 크로스로 프리드리히의 선제골을 도왔다. 이로써 6도움을 기록중이며 이는 현재까지 팀의 이번시즌 도움기록 1위이다.

시즌 총 리가에서 31경기에 출전해 1골 10도움을 기록했다.

2.1.3. 2021-22 시즌

파일:size=708x398trimmel.png

역시 주전으로 출전했다. 하지만 나이의 여파인지 풀주전으로는 뛰지 못하고 중간중간에 쉬기도 했다. 그럼에도 역시 우니온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우니온이 구단 역사상 최초로 UEFA 유로파 리그에 출전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시즌 총 리가 25경기에 출전해 2도움을 기록했다.

2.1.4. 2022-23 시즌

2023년 1월 8일, 2024년 6월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2.1.5. 2023-24 시즌

2024년 5월 16일, 2025년 6월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2.1.6. 2024-25 시즌

2025년 4월 18일, 우니온 베를린과 재계약을 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TrimmelOEFBRuecken_790fa_f_1280x720.jpg

2009년 8월 5일,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이후 카메룬과의 친선전에서 데뷔했고, 4경기에 출전했다.

약 9년간 소집되지 못하다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2019년 다시 성인 대표팀에 승선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좋은 킥 능력을 갖춘 풀백이며, 이를 바탕으로 팀 내 프리킥이나 코너킥 같은 세트피스 전담 키커를 맡고 있는데, 이는 우니온 베를린이 좋은 세트피스 공격능력인데, 이 세트피스 공격의 시발점이 바로 트리멜인 것. 또한 롱패스 능력도 좋아서 센터백으로도 출전 가능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크게 방향 전환 패스를 보내줄 수 있다.

하지만, 풀백치고 키가 큰 편이고 나이가 들면서 주력이 많이 느려지면서, 뒷공간을 자주 내주는 편이다.

5. 여담

6. 같이 보기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2025-26 시즌 구단별 주장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엠레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다비트
라움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로베르트
안드리히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질반
비드머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클라인딘스트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마누엘
노이어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마르코
프리들

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막시밀리안
아르놀트

파일:VfL 볼프스부르크 로고.svg
아타칸
카라조르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제프리
하우엘레이우

파일:FC 아우크스부르크 로고.svg
크리스토퍼
트리멜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잭슨
어바인

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마르빈
슈베베

파일:1. FC 쾰른 로고.svg
크리스티안
귄터

파일:SC 프라이부르크 로고.svg
로빈
코흐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파트리크
마인카

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유수프
포울센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올리버
바우만

파일:TSG 1899 호펜하임 로고.svg
2. 분데스리가 구단별 주장 ▶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리그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독일 국기.svg 분데스리가파일:프랑스 국기.svg 리그 1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1. FC 우니온 베를린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FC 우니온 베를린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프레데리크 뢰노우 25-26.webp
파일:안드리크 마르크그라프 25-26.webp
파일:디오구 레이트 25-26.webp
파일:다닐료 두키 25-26.webp
파일:알료샤 켐라인 25-26.webp
1 3 4 5 6
프레데리크 뢰노우
Frederik Rønnow

파일:덴마크 국기.svg | GK
1992.08.04
2021~2026
안드리크 마르크그라프
Andrik Markgraf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6.05.07
2025~
디오구 레이트
Diogo Leite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9.01.23
2022~2026
다닐료 두키
Danilho Doekhi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1998.06.30
2022~2026
알료샤 켐라인
Aljoscha Kemlein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4.08.02
2023~
파일:올리버 버크 25-26.webp
파일:라니 케디라 25-26.webp
파일:리반 부르주 25-26.webp
파일:일리야스 안자 25-26.webp
파일:정우영(1999년생 축구선수) 25-26.webp
7 8(VC) 9 10 11
올리버 버크
Oliver Burke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FW
1997.04.07
2025~2029
라니 케디라
Rani Khedira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4.01.27
2021~2026
리반 부르주
Livan Burcu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FW
2004.08.28
2024~
일리야스 안자
Ilyas Ansah

파일:독일 국기.svg | FW
2004.11.08
2025~
정우영
Wooyeong Je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9.09.20
2024~
파일:언드라시 셰퍼 25-26.webp
파일:레오폴트 크버펠트 25-26.webp
파일:톰 로테 25-26.webp
파일:다비트 프로이 25-26.webp
파일:요시프 유라노비치 25-26.webp
13 14 15 17 18
언드라시 셰퍼
András Schäfer

파일:헝가리 국기.svg | MF
1999.04.13
2022~2027
레오폴트 크버펠트
Leopold Querfeld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DF
2003.12.20
2024~
톰 로테
Tom Rothe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4.10.29
2024~
다비트 프로이
David Preu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4.10.26
2024~
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DF
1995.08.16
2023~2027
파일:야니크 하버러 25-26.webp
파일:팀 스카르케 25-26.webp
파일:안드레이 일리치 25-26.webp
파일:로베르트 스코우 25-26.webp
파일:카를 클라우스 25-26.webp
19 21 23 24 25
야니크 하버러
Janik Haberer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4.04.02
2022~
팀 스카르케
Tim Skarke

파일:독일 국기.svg | MF
1996.09.07
2022~2027
안드레이 일리치
Andrej Ilić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FW
2000.04.03
2024~2027
로베르트 스코우
Robert Skov

파일:덴마크 국기.svg | MF
1996.05.20
2024~
카를 클라우스
Carl Klaus

파일:독일 국기.svg | GK
1994.01.16
2024~
파일:마린 류비치치 25-26.webp
파일:크리스토퍼 트리멜 25-26.webp
파일:드미트로 보그다노프 25-26.webp
파일:마테오 라프 25-26.webp
파일:알렉스 크랄 25-26.webp
27 28(C) 30 31 33
마린 류비치치
Marin Ljubič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FW
2002.02.08
2025~
크리스토퍼 트리멜
Christopher Trimmel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DF
1987.02.24
2014~2026
드미트로 보그다노프
Dmytro Bogdanov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FW
2007.03.06
2025~2029
마테오 라프
Matheo Raab

파일:독일 국기.svg | GK
1998.12.18
2025~
알렉스 크랄
Alex Král

파일:체코 국기.svg | MF
1998.05.19
2023~
파일:스탠리 은소키 25-26.webp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파일:올루와슨 오그베무디아 25-26.webp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파일:1. FC 우니온 베를린 로고.svg
34 39 41
스탠리 은소키
Stanley Nsoki
[1]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9.04.09
2025~2026
데리크 쾬
Derrick Köhn

파일:독일 국기.svg | DF
1999.02.04
2025~2029
올루와슨 오그베무디아
Oluwaseun Ogbemudia

파일:독일 국기.svg | DF
2006.07.18
2024~2026

1. FC 우니온 베를린 2025-26 시즌 임대 선수
<rowcolor=#373a3c>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9 FW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크리스 베디아 Chris Bedia BSC 영 보이즈
20 M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라슬로 베네시 László Bénes 카이세리스포르
<colbgcolor=#d50017> 구단 정보
감독: 슈테펜 바움가르트 / 홈구장: 슈타디온 안 데어 알텐 푀르스테라이
출처: 1. FC 우니온 베를린 공식 웹사이트,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2일

[1] TSG 1899 호펜하임에서 임대

}}}}}}}}} ||



[1] 유스 시절과 데뷔 초에는 측면 미드필더로 활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