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21:44:51

펜듈럼(유희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유희왕 OCG의 소환 방식}}}에 대한 내용은 [[펜듈럼 소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펜듈럼 소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펜듈럼 소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유희왕 OCG의 소환 방식: }}}[[펜듈럼 소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펜듈럼 소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펜듈럼 소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유희왕의 소환법별 서포트 카드군
융합 / 퓨전 싱크로 / 싱크론 엑시즈 펜듈럼 링크
펜듈럼
<colbgcolor=#464646> 한국어판 명칭 펜듈럼
일본어판 명칭 ペンデュラム
영어판 명칭 Pendulum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빛 / 어둠 / 땅 마법사족 / 드래곤족 펜듈럼
마법 / 함정

1. 개요2. 일반 몬스터 (펜듈럼)3. 효과 몬스터 (펜듈럼)4. 의식 몬스터5. 마법 카드
5.1. 일반 마법
5.1.1. 펜듈럼 콜5.1.2. 어메이징 펜듈럼5.1.3. 펜듈럼 엑시즈5.1.4. 펜듈럼 퓨전5.1.5. 펜듈럼 어라이즈5.1.6. 펜듈럼 스톰5.1.7. 펜듈럼 패러독스5.1.8. 펜듈럼 홀트5.1.9. 펜듈럼 시프트5.1.10. 펜듈럼 트레져5.1.11. EXP5.1.12. 펜듈럼 펜던트
5.2. 속공 마법
5.2.1. 펜듈럼 턴5.2.2. 펜듈럼 모라토리엄
5.3. 지속 마법5.4. 필드 마법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펜듈럼 에리어6.1.2. 펜듈럼 백6.1.3. 펜듈럼 리본6.1.4. 펜듈럼 앙코르6.1.5. 펜듈럼 스케일
6.2. 지속 함정
6.2.1. 시공의 펜듈럼그래프6.2.2. 펜듈럼 스위치6.2.3. 펜듈럼 디멘션
6.3. 카운터 함정
6.3.1. 펜듈럼 홀
7. 서포트 카드
7.1.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8. 서포트 범위 외의 카드9. OCG화 되지 않은 카드
9.1. 펜듈럼 클라이맥스9.2. 매지컬 펜듈럼 박스9.3. 펜듈럼 일루전9.4. 펜듈럼 카드 버스트9.5. EM 펜듈럼 컨덕터9.6. EM 펜듈럼 아트 & 클린9.7. 펜듈럼 부스트9.8. 샤프 펜듈럼 스트라이크

1. 개요

유희왕의 카드군.

일반 마법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에 의해 지정되었다.

해당 카드는 "펜듈럼" 펜듈럼 몬스터 1장 또는 "펜듈럼"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서치하는 카드이므로, 몬스터 카드의 경우 메인 덱의 펜듈럼 몬스터만이 서포트 혜택을 볼 수 있다.

하위 카드군으로 펜듈럼그래프펜듈럼 드래곤이 존재한다.

2. 일반 몬스터 (펜듈럼)

2.1. 레벨 4

2.1.1. 룡검사 마스터P

2.1.2. 용마왕 벡터P

2.2. 레벨 7

2.2.1. 오드아이즈 아크펜듈럼 드래곤

3. 효과 몬스터 (펜듈럼)

3.1. 레벨 1

3.1.1. 펜듈럼라문

3.1.2. 펜듈럼무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41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펜듈럼무쵸,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ーチョ, 영어판명칭=Pendulumucho,
속성=땅, 종족=비행야수족,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P스케일=0,
P효과1=①: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1번만\, 자신 묘지의 몬스터 또는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몬스터 중에서 "펜듈럼무쵸" 이외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펜듈럼 몬스터를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는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무쵸" 이외의 앞면 표시 레벨 1 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맥시멈 크라이시스에 수록된 패왕문 제로와 같은 팩에서 데뷔한 최초의 0 스케일 카드. 효과는 요약하자면 펜듈럼금화고양이다.

몬스터 효과로는 엑스트라 덱에서 레벨 1 펜듈럼 몬스터를 건져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필드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제외되므로 엑시즈 소환으로 잇거나, 다른 무쵸의 펜듈럼 효과로 엑스트라 덱에 놓아 재활용하면 좋다. 하지만 이카드는 디메리트 없는 0스케일이라 펜듈럼 덱이라면 부담없이 스케일 땜빵용으로 채용할만 하다.

발동한 턴에 묘지/제외된 펜듈럼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돌려보내는 펜듈럼 효과도 꽤나 유용하다. 1레벨의 펜듈럼 몬스터는 그다지 흔하지 않아서, 이 효과가 사실상 주력이 될 것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펜듈럼(ペンデュラム) + 베사메 무쵸(ムーチョ). 일본어로 새 조(鳥)를 쵸우(ちょう)라고 음독하기 때문에 펜듈럼+조라는 말장난을 노리고 이 카드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맥시멈 크라이시스MACR-KR033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MAXIMUM CRISISMACR-JP033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Maximum CrisisMACR-EM033슈퍼 레어미국해외 최초수록

3.2. 레벨 3

3.2.1. 펜듈럼 위치

3.3. 레벨 4

3.3.1. EM 펜듈럼 매지션

3.3.2. 홍채의 마술사

룰상 펜듈럼 드래곤 카드.

3.3.3. 룡검사 라스터P

3.3.4. 용마왕 렉터P

3.4. 레벨 7

3.4.1.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4. 의식 몬스터

4.1. 레벨 7

4.1.1.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5. 마법 카드

5.1. 일반 마법

5.1.1. 펜듈럼 콜

5.1.2. 어메이징 펜듈럼

5.1.3. 펜듈럼 엑시즈

5.1.4. 펜듈럼 퓨전

5.1.5. 펜듈럼 어라이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5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펜듈럼 어라이즈,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アライズ,
영어판명칭=Pendulum Rising,
효과외1="펜듈럼 어라이즈"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원래 레벨과 같은 레벨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같은 레벨의 펜듈럼 몬스터로 바꾸는 카드.

효과만 보면 펜듈럼 덱에서 엑스트라 덱의 펜듈럼 자원을 쌓으면서 같은 이름의 펜듈럼 몬스터를 가져오는 활용이 가능해보이지만, 필드의 몬스터를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야 하기 때문에 필드에서 묘지로 안 가고 엑스트라 덱으로 가버리는 펜듈럼 몬스터로는 이 카드의 코스트를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 카드는 순수 펜듈럼 소환 덱에서는 사실상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이용하는 상황 외에는 활용할 수 없고, 비펜듈럼과 펜듈럼의 혼성 덱에서나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덱에서는 패 2장을 소모하는 한정적 리크루트 효과가 되며, 코스트로 소환 유발 효과를 지니는 몬스터와 조합한다면 충분히 이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환주 덱에서라면 레벨 4 환주를 릴리스하고 초동인 르프랭을 가져와 전개를 시작할 수도 있다.

일러스트에서는 부스터 팩 최초의 펜듈럼 몬스터 중 하나인 섬광의 기사가 자루 끝에 펜듈럼이 달린 검을 하늘에서 하사받고 있다. 펜듈럼 몬스터로서 각성하는 장면인 듯.
수록 시리즈
2015-05-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OS-KR064 | 크로스오버 소울즈
2015-09-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9-KR028 | 스트럭처 덱마스터 오브 펜듈럼
2015-02-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OS-JP064 | CROSSOVER SOULS
201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9-JP028 | STRUCTURE DECKマスター・オブ・ペンデュラム
2015-05-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OS-EN064 | Crossed Souls
2015-12-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P-EN028 | Master of Pendulum Structure Deck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029 | 2016 Mega-Tins Mega Pack

5.1.6. 펜듈럼 스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73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펜듈럼 스톰,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ストーム, 영어판 명칭=Pendulum Storm,
효과1=①: 서로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펜듈럼 존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이후 상대의 마법 / 함정 1장을 날려먹을 수 있는 카드로, 상대 펜듈럼 카드 2장과 마법 / 함정 1장으로 최대 1:3의 교환을 할 수 있는 카드이다.

그러나 같은 팩에서 나온 트윈트위스터에 비하면 일반 마법이라는 단점에 펜듈럼 존에 펜듈럼 몬스터가 없으면 쓸 수 없는 점도 있고 자신의 팬듈럼 카드 파괴용으로는 이미 흔들리는 눈빛이라는 서치까지 포함하는 훌륭한 카드가 있다. 여러모로 채용률이 떨어지는 카드. 그런데 흔들리는 눈빛이 제한을 먹고 이 카드의 기용률이 슬금슬금 올라가고 있다. 2016년 4월 24일 열린 해치 CS에서 이 카드를 사이드에 2장 넣은 DD 덱이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원작에서는 사카키 유우야가 사용했던 카드. 원작도 OCG와 큰 차이는 없지만 서로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파괴하는 게 코스트였으며, 마법 / 함정 파괴는 대상 지정이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BOSH-KR057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BREAKERS OF SHADOW BOSH-JP057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Breakers of Shadow BOSH-EN057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5.1.7. 펜듈럼 패러독스

파일:ペンデュラム・パラドッ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펜듈럼 패러독스,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パラドックス, 영어판 명칭=Pendulum Paradox,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펜듈럼 스케일이 같고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을 골라 패에 넣는다.)]

같은 스케일로 이름이 다른 펜듈럼 몬스터란 조건이 붙지만 이 1장으로 2장을 샐비지할 수 있으니 그 정도 제약은 굉장히 싼 편. 룰 개정으로 엑스트라 덱에서 대량 전개가 힘들어진 펜듈럼 몬스터를 패로 회수해, 패에서라도 대량 전개가 가능하게 해준다.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로 서치가 가능한 점도 플러스 요소.

가장 궁합이 좋은 건 역시 전부 스케일이 4로 통일된 매직비스트. 실제로 같은 팩에 나온 걸 보면 의도적이다.

또한 세피라 트라 그라마톤을 빼곤 전부 1 or 7인 세피라 역시 유용하게 쓸 수 있으며 룰 개정으로 효율이 떨어진 그라마톤의 추가 펜듈럼 소환 효과에도 도움이 된다. 세피라웬디의 효과까지 쓴다면 최소 3장 이상 추가 펜듈럼 소환이 가능.

대부분 1 or 8인 마술사 덱에서도 강력한 어드밴티지 복구 요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 시공의 펜듈럼그래프, 어메이징 펜듈럼 등으로 어드밴티지 복구가 쉬운 마술사의 전개력에 더욱 날개를 달아준다. 최상의 조합은 같은 스케일 8인 조현의 마술사EM 도크로배트 조커로 둘 다 패에 있어야만 제 능력을 발휘하는 카드들이기도 하며 둘의 서치 / 특수 소환 효과까지 중첩되면 실질적인 어드밴티지가 1 : 4교환이란 엄청난 효율을 자랑한다. 그 외에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있는 사천룡 마술사들을 샐비지해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이나 크로노그래프 매지션의 효과로 패왕룡 즈아크를 부르는 데에 쓸 수도 있다.

클리포트 또한 스케일이 1 or 9로만 구성됐기에 사용 가능하며[1] 이그나이트, 메탈포제, 아모르파지 등 펜듈럼 스케일이 2종류 이하인 각종 펜듈럼 소환 덱에서 활약할 수 있다.

2022년 3월에 등장한 밸리언츠는 메인덱 펜듈럼 몬스터의 스케일이 전부 1이라서 사실상 아무 몬스터나 2장 회수해 오는 효과가 된다.

패러독스(パラドクス)와 패러독스(パラドクス) 드래곤의 표기가 다르지만, 정발하면서 그대로 나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극한의 힘 EXFO-KR061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EXTREME FORCE EXFO-JP061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Extreme Force EXFO-EN061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2018 Mega-Tin Mega Pack MP18-EN209 시크릿 레어 미국

5.1.8. 펜듈럼 홀트

파일:ペンデュラム・ホル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펜듈럼 홀트,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ホルト,
영어판 명칭=Pendulum Halt,
효과1=①: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가 3종류 이상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덱에서 카드를 패에 넣을 수는 없다.)]
하늘의 선물,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Sp-엔젤 배턴, 엑시즈 트레저에 이은 주인공 전용 드로우 카드. 유희왕 ARC-V/코믹스 16화에서 사카키 유우야가 처음 사용했으며 22화에도 사용했다. 처음 등장할 땐 아무 제약이 없었으나 22화에선 발동 후 펜듈럼 소환할 수 없는 제약이 추가되었는데, OCG에선 사라졌다. 왜 그제서야 추가되었는지 의문.

OCG화 되면서 조건이 3장이 아닌 3종류가 됐으며 발동 후엔 턴 종료시까지 덱에서 카드를 패에 넣을 수 없도록 너프되었다. 따라서 이 카드는 실질적으로 1턴에 1장만 발동할 수 있다.

10기 이후의 펜듈럼 덱은 룰 개정과 링크 소환의 존재로 인해 펜듈럼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에 3종류 이상 보내기 위해서는 밑작업이 굉장히 많이 필요하며,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는 타이밍을 만족한 경우라면 이런 카드 없이도 빌드를 세울 수 있는 상황임이 자명하기에 실전성은 전무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프리미엄 팩 Vol.13 PP13-KR006 슈퍼 레어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PREMIUM PACK 20 PP20-JP006 노멀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Dark Neostorm DANE-EN097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5.1.9. 펜듈럼 시프트

파일:ペンデュラム・シフ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펜듈럼 시프트,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シフト,
영어판 명칭=Pendulum Transfer,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펜듈럼 몬스터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유희왕 ARC-V 코믹스 13화에서 유고가 사용한 카드. 패싱글라이더와 도미노 버터플라이를 펜듈럼 존에 놓아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의 소환 조건을 충족시켰다. 싱크로 소재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 것으로 보아 이 둘은 펜듈럼 몬스터가 아니었던 것 같으나 이 카드가 단순히 펜듈럼 존을 옮기는 것 말고도 듀얼 외적으로 펜듈럼의 성질을 부여한 듯.

효과는 펜듈럼 스위치의 열화판 일반 마법으로,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를 2장까지 펜듈럼 존에 세팅하는 효과가 있다. 상황에 따라 소환된 몬스터를 펜듈럼 존으로 옮겨 펜듈럼 효과를 쓰거나 스케일을 세팅하는 용으로 사용 가능하나, 스위치와 달리 펜듈럼 존의 카드를 몬스터 존으로 불러내는 효과는 없으며, 단발성이고 일반 마법이라 속공성이 떨어지기에 그리 유용한 카드는 아니다.

EM 도크로배트 조커의 서치 효과를 쓴 후 이 카드로 펜듈럼 존에 세팅해 스케일을 확보하는 용으로 쓰는 게 그나마 나은 방법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PREMIUM PACK 2020 20PP-JP015 노멀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5.1.10. 펜듈럼 트레져

파일:ペンデュラム・トレジャー(DAMA).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펜듈럼 트레져,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トレジャー, 영어판 명칭=Pendulum Treasur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는다.)]

펜듈럼판 어리석은 매장. 펜듈럼 몬스터 위주로 돌아가는 덱이면 분명 강력한 효과긴 한데, 간단한 소환조건으로 나와서 이 효과에 여러 추가효과까지 쓰고 다른 상급 몬스터 소환의 발판도 되어줄 수 있는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이 있다는 것이 문제. 펜듈럼의 신이라는 별명까지 있을 정도로 강력한 카드라 웬만한 펜듈럼 덱에는 다 들어가서 이 카드까지 쓸 필요가 없다. 굳이 찾아보자면 딱 한 종류의 펜듈럼 몬스터만 핵심으로 쓰는 네무렐리아 정도. 언젠가 엘렉트럼이 금지가 되면 이 카드도 빛을 볼지도 모른다.

일러스트는 모래 속에 파묻힌 징 드래곤에게 다우징을 하는 중이다. 징 드래곤도 펜듈럼 몬스터라 이 카드의 효과로 엑스트라 덱으로 보낼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DAWN OF MAJESTY DAMA-JP068 일본 세계 최초 수록

5.1.11. EXP

파일:EX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ruby>EXP<rp>(</rp><rt>엑스트라 펜듈럼</rt><rp>)</rp></ruby>,
일어판 명칭=<ruby>EXP<rp>(</rp><rt>エクストラ・ペンデュラム</rt><rp>)</rp></ruby>,
영어판 명칭=Extra Pendulum,
효과1=①: 이 턴에\, 자신은 통상의 펜듈럼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
통상 펜듈럼 소환에 추가로 엑스트라 덱의 펜듈럼 소환을 실행시켜주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이중소환의 펜듈럼 소환 버전이라 할 수 있다.

펜듈럼 소환 횟수를 늘려주는 카드 자체가 얼마 없는 가운데, 엑스트라 덱 한정이라도 소환권을 늘려준다는 점에서 펜듈럼을 활용하는 덱의 전개력을 향상시켜준다. 영혼의 펜듈럼의 ④의 효과와 비교하자면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 한정되어 있긴 해도 별다른 밑준비가 필요없다는 점에서 사용감은 더 편하다. 일반 펜듈럼 소환으로 패에서 전개한 몬스터를 소재삼아 링크 소환을 한 뒤, 소재가 되어 엑스트라 덱에 보내진 펜듈럼 몬스터를 전개하는 것이 기본 용도가 될 것이다.

일단 엔디미온과 궁합이 좋다고 할 수 있겠다. 주로 옆에 킹자칼을 세워둔 상태에서 펜듈럼 몬스터들을 전개하여 엘렉트럼으로 잇고, 아스트로그래프 콤보를 활용하는 식으로 빌드를 세우게 되는데, 이 카드로 마력 카운터가 하나 부족할 경우도 해결할 수 있으며 퍼미션 효과를 지닌 펜듈럼 몬스터들을 다시 불러낼 수 있다. 펜듈럼 소환 후 링크 소환한 비욘드 더 펜듈럼으로 서치 효과를 발동했을 때의 페널티 해소용으로도 물론 사용 가능.

일러스트는 유희왕 ARC-V에서 사카키 유우야오벨리스크 포스와의 듀얼 중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을 작중 최초로 불러내는 장면에서 따온 것. 해당 카드가 애니 & OCG 최초로 듀얼 개시 시 엑스트라 덱에 들어가는 펜듈럼 몬스터인 점에서 카드명을 따왔다. 다만 해당 듀얼에선 딱히 엑스트라 덱 펜듈럼 소환을 한 적이 없는데다 효과도 그리 관련있는 편은 아니고 이 카드로 기껏 불러내봤자 효과는 못 쓰니 오버로드앱솔루트, 혹은 패왕열룡으로 바꿔먹을 게 아니면 의미가 없다.

공식에선 나름의 펜듈럼 소환의 새로운 단계로 어필을 하고 싶었는지, 디멘션 포스의 홍보 방송에서 오노 켄쇼가 유야, 유리 1인 2역 듀얼을 할 때 피니시 카드로 등장했다. 유리의 필드를 돌파시키고 공격만이 남자 초융합으로 유야의 몬스터를 소멸시켜 역전의 수를 완전히 봉쇄하는 듯 했으나. 이 카드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소환하여 역전했다. 원작에서 리디큘 월드로 다른 사천룡이 봉인된 와중 유일하게 공격을 선언했던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IMENSION FORCE DIFO-JP052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디멘션 포스 DIFO-KR052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5.1.12. 펜듈럼 펜던트

파일:ペンデュラム・ペンダン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펜듈럼 펜던트,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ペンダント,
영어판 명칭=Pendulum Pendan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펜듈럼 몬스터 5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이나 상대의 펜듈럼 존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1개 내린다(최소 0 까지).)]
TCG판 Cyberstorm Access에 수록된 마법.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 5장을 제외하고 덱 또는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펜듈럼 존에 놓는 효과와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이나 상대의 펜듈럼 스케일을 1개 내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①의 효과인 조건없이 아무 펜듈럼 몬스터나 덱,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존에 놓아주는 효과는 유용하나 그걸 위해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를 5장이나 제외해야해서 코스트가 너무 크다. 펜듈럼 소환이 힘든 상황에서 엑스트라 덱에 쌓인 몬스터들을 제거하고 상황을 타개하는 용도로 쓰려해도 정작 엑스트라 덱에서 전개해야 할 몬스터들이 싸그리 제외되어 버리니 이것도 의미가 없는 상황. 거기다 보통 엑스트라 덱에 5장이나 펜듈럼 몬스터가 쌓이는 건 듀얼 후반부일텐데 이 카드의 효과는 선턴에 초동을 잡는 효과라 수지타산이 안 맞는다.

②의 효과 또한 스케일 0을 원한다면 사운드 워리어 기타리스 등의 디메리트 없는 스케일 0을 투입하면 되니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여러모로 아쉬운 카드.

이 카드의 최대 의의는 그동안 엑스트라 덱으로 들어가면 다시 꺼낼 수단이 없었던 패왕룡 즈아크를 펜듈럼 존에 놓을 수단이 생겼다는 것. 즈아크의 펜듈럼 효과는 꽤 강력하기에 여유가 된다면 발동해볼만 하긴 하지만 그래도 역시 5장 코스트가 커서 예능의 영역이다.

5.2. 속공 마법

5.2.1. 펜듈럼 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33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펜듈럼 턴,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ターン, 영어판 명칭=Pendulum Shift,
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의 펜듈럼 존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1~10의 펜듈럼 스케일을 선언하고 발동한다. 이 턴\, 그 카드는 선언한 펜듈럼 스케일이 된다.)]

일러스트는 후코의 마포석이 작동을 시작하는 장면. 마포석의 유래가 푸코 진자였음을 감안한다면 이 마포석이 푸코 진자의 운동처럼 천천히 회전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효과도 그에서 따왔음을 추측할 수 있다.

펜듈럼 스케일을 1에서 10까지 중 원하는 스케일로 변경하는 효과. 큰 사용법은 2가지로, 자신의 펜듈럼 스케일을 넓히거나 상대의 펜듈럼 스케일을 좁히는 방법이 있다. 다만 애초에 이 카드가 서치가 안 되는 속공 마법카드이다보니 이거 하나만 믿고 덱을 구성할 때 원래 스케일로는 나올 수 없는 카드를 집어넣는 것은 덱 말림만 초래할 뿐이며, 펜듈럼 소환은 최초의 어드밴티지 소모가 상당한데 거기서 카드 1장을 더 사용하는 것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상대방에 대한 안티 펜듈럼 카드로 사용할 때에도 싸이크론이 더 범용성있긴 한데, 그 쪽은 다른 펜듈럼 몬스터를 패에 들고 있다면 사실상 유야무야되는 것이니 일장일단.

가장 큰 수혜를 받은 카드는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지금껏 수많은 카드를 서치할 수 있었지만 스케일이 8 이상인 카드는 2014년 11월 13일 기준 2에 불과한데다가 그마저도 전용덱을 짜지 않으면 발휘하기 어려운 카드였기에 오드아이즈는 단순히 서치 한 번 하고 버려지는 것이 일상이었는데 이 카드를 통해 스케일을 8 이상으로 바꿔준다면 단 1턴뿐만이라지만 엑스트라 덱에서 7레벨 어태커를 쏟아낼 수 있다. 이렇게 소환된 카드가 파괴되더리도 어차피 원래대로면 아예 쓰지도 못할 카드를 상대의 카드와 교환하는 셈이니 사실상 이득이다. 오드아이즈는 어차피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카드다보니 필요할 때 한 번 쯤 하는 생각으로 가볍게 넣을 수도 있다.

한편으로 정작 현재 펜듈럼으로 유명한 카드군들은 이 카드를 쓰기 애매한 카드군들이 많다. 클리포트야 어차피 스케일이 1~9인데다가 죄다 상급이라 오히려 이 카드가 안티 카드로 적용하는 판이며, 요선수는 펜듈럼을 안 쓰는 건 둘째치더라도 자체적으로 펜듈럼 스케일을 11까지 올릴 수 있다. 그래도 DD에서 사위왕을 케플러 - 갈릴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은 낫긴 한데, 이건 사위왕을 쓴다는 전제 하에 가능하다는 것이니... 펜듈럼 백, 펜듈럼 모라토리엄과 같이 펜듈럼 소환이 더욱 보편화될수로 그 진가를 발휘할 카드가 될 것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SECE-JP065 노말 일본 세계 최초 수록

5.2.2. 펜듈럼 모라토리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0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펜듈럼 모라토리엄, 일어판 명칭=ペンデュラム・モラトリアム, 영어판 명칭=Pendulum Impenetrable,
효과1=①: 이 턴에\, 자신 / 상대 펜듈럼 존의 카드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펜듈럼 존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상대가 발동한 효과는 무효화된다.)]

넥스트 챌린저스 한국 월드 프리미어 5호.

프리 체인으로 발동해서 펜듈럼 존의 카드를 상대가 효과로 파괴 & 대상 지정으로 효과가 발동하는 것을 막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클리포트 툴의 서치 효과를 막을 방법이 상대턴 대상 비지정 제외 / 덱 바운스, 이 카드에 체인, 효과를 무효화 등으로 확 줄어들어버린다.

일러스트의 펜듈럼 추가 시간을 읽는 마술사별을 읽는 마술사의 장식과 닮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넥스트 챌린저스 NECH-KR085 레어 한국 세계 최초수록
EXTRA PACK 2015 EP15-JP065 레어 일본 일본 최초수록
World Superstars WSUP-EN050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5.3. 지속 마법

5.3.1. 성상의 펜듈럼그래프

5.3.2. 펜듈럼 에볼루션

5.3.3. 영혼의 펜듈럼

파일:card10013799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영혼의 펜듈럼,
일어판 명칭=<ruby>魂<rp>(</rp><rt>たましい</rt><rp>)</rp></ruby>のペンデュラム,
영어판 명칭=Soul Pendulum,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의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각각\, 1개 올리거나 내린다(최소 1 까지).,
효과2=②: 자신의 펜듈럼 몬스터가 펜듈럼 소환될 때마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3=③: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카운터의 수 × 300 올린다.,
효과4=④: 이 카드의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은 통상의 펜듈럼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펜듈럼 존의 펜듈럼 몬스터 2장의 스케일을 각각 1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독특한 효과. 이를 중점으로 사용해야 한다.

펜듈럼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때마다 ②의 효과로 카운터를 놓고 ③의 효과에 따라 펜듈럼 몬스터의 공격력을 이 카드의 카운터의 수 × 300 올린다. 카운터가 남아날 일도 별로 없고 타점도 겨우 300씩 증가라서 애매한 편. 참고로 자신 필드만이 아닌 그냥 필드라고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 펜듈럼 몬스터들도 공격력이 증가한다.

④의 효과는 이 카드의 카운터 3개로 펜듈럼 소환을 1번만 더 할 수 있는 효과. 3번 이상 펜듈럼 소환을 하면 펜듈럼 소환을 한 번 더 하게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세피라 트라 그라마톤에 비하면 훨씬 낫지만, 엑스트라 펜듈럼을 동원해도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펜듈럼 소환은 한 턴에 한 번만 가능해서 3턴은 기다려야 하다 보니 애매한 효과다.

사카키 유우야펜듈럼 소환을 할 때 사용하던 대사인 "영혼의 펜듈럼"에서 따왔다. 이에 따라 일러스트에서도 별을 읽는 마술사시간을 읽는 마술사, 그리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이 나타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20TH-JPB27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크로니클 바인더 CHBI-KRB27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5.4. 필드 마법

5.4.1. 드래고닉P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펜듈럼 에리어

파일:ペンデュラム・エリ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펜듈럼 에리어,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エリア, 영어판명칭=Pendulum Area,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펜듈럼 몬스터뿐일 경우\,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 2장을 파괴하고\, 이 턴에 서로 펜듈럼 소환 이외의 특수 소환을 할 수 없다.)]

펜듈럼 덱에서 펜듈럼 소환 이외의 특수 소환을 막는 데 쓰면 좋은 카드. 단, 필드에 펜듈럼 몬스터만 존재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서 순수 펜듈럼 덱이 아니면 사용하기 곤란할 듯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IMENSION OF CHAOS DOCS-JP077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디멘션 오브 카오스 DOCS-KR077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Dimension of Chaos DOCS-EN077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6.1.2. 펜듈럼 백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784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펜듈럼 백,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バック,
영어판명칭=Pendulum Back,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2장 존재할 경우\, 그 펜듈럼 스케일로 펜듈럼 소환 가능한 레벨을 가진\, 자신 묘지의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일러스트에는 최초로 공개된 펜듈럼 몬스터들인 시간을 읽는 마술사별을 읽는 마술사가 마법진에서 몬스터 2마리를 끌어올리고 있다.

펜듈럼 공용 샐비지라는 굉장히 강력한 성능을 지닌 카드. 다만 함정 카드이기 때문에 쓰려면 세트하는 1(2)턴을 감수해야만 한다. 앞으로 펜듈럼 몬스터의 지원에 따라 성능이 점점 더 올라갈 듯한 카드.

스케일 0짜리와 스케일 13짜리(패왕문 인피니티)를 펜듈럼 세팅해놓고 이 카드를 발동하면 그 어떤 제약도 없이 메인 덱에 들어가는 효과 몬스터 2장을 샐비지하는 강력한 효과가 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DUEA-KR078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 SD29-KR036 노멀 한국
THE DUELIST ADVENT DUEA-JP078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 MASTER OF PENDULUM SD29-JP036 노멀 일본
Duelist Alliance DUEA-JP078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 Master of Pendulum SDMP-EN036 노멀 미국

6.1.3. 펜듈럼 리본

파일:ペンデュラム・リボ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펜듈럼 리본,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リボーン,
영어판명칭=Pendulum Reborn,
효과1=①: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 또는 자신 묘지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죽은 자의 소생(탄압판), 죽은 자의 환생, 엑시즈 리본에 이어 이번에도 이런 비스무리한 일러스트가 그러져있는데, 펜듈럼을 상징하는 파란색과 빨간색 고리가 달려 있는 펜듈럼 몬스터 전용 소생 카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케일 9 이상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엑스트라 덱으로 보내진 레벨 8 이상의 펜듈럼 몬스터를 제일 간편하게 소생시킬 수 있는 수단[2]이다. 마요선수 대인화시, 싱크로 / 펜듈럼 몬스터 역시 부활시킬 수 있다. 그러나 패왕룡 즈아크,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같이 소환 제약이 있는 펜듈럼 몬스터는 이 카드의 효과로 부활할 수 없다는 것을 유의할 것. 하지만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이나 패왕룡 즈아크와 같은 융합 / 펜듈럼 몬스터인 DDD 초사위왕 퍼플리쉬 헬 아마게돈은 물론, 즈아크의 리메이크 카드인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역시 이 카드로 부활 가능하다는 것은 위안인 점.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BOSH-KR077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BREAKERS OF SHADOW BOSH-JP077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ARTER DECK 2016 ST16-JP040 노멀 일본
Breakers of Shadow BOSH-EN077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Starter Deck: Yuya YS16-EN040 노멀 미국

6.1.4. 펜듈럼 앙코르

파일:ペンデュラム・アンコ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펜듈럼 앙코르,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アンコール,
영어판명칭=Pendulum Encor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메인 페이즈에\,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펜듈럼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며\, 자신의 카드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고\, 엔드 페이즈에 주인의 덱으로 되돌아간다.)]
상대 턴에 펜듈럼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함정 카드로, 긴급동조, 원더 엑시즈의 펜듈럼 버전으로, 패 코스트가 있고 펜듈럼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으며, 엔드 페이즈에 덱으로 되돌아간다는 약간의 제약이 있다. 일러스트에 나온 것은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Blazing Vortex BLVO-EN091 노멀 미국 세계 최초 수록
WORLD PREMIERE PACK 2021 WPP2-JP058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6.1.5. 펜듈럼 스케일

파일:ペンデュラム・スケ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펜듈럼 스케일,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スケール,
영어판명칭=Pendulum Scal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2장 존재할 경우\, 그 펜듈럼 스케일의 차의 수치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2=●0: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2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효과3=●1~3: 덱에서 레벨 2~4 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4=●4~6: 덱에서 레벨 5~7 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5=●7 이상: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2장까지 고르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그 후\, 패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펜듈럼 존에 놓인 몬스터 2장의 스케일의 차이의 수치에 따라 효과를 적용하는 함정 카드.

0이면 필드의 마법/함정 카드 2장을 파괴한다. 1:2 교환이므로 어드밴티지로는 이득이긴 하나, 같은 스케일의 펜듈럼 몬스터를 2장 세팅해두어야 한다는 조건이 문제. 의도적으로 같은 스케일을 세팅해서 활용하는 덱은 없다고 보아도 좋고, 일반적인 펜듈럼 덱에서도 어지간히 특이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볼 일이 없다. 사용한다면 일부러 같은 스케일을 세팅한 후 2장 파괴 효과를 적용하고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등의 카드로 스케일을 교체하는 등 다른 카드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도레미코드 덱은 도레미코드 하르모니아의 효과로 스케일 조정이 간편하므로, 같은 스케일을 세팅하고서도 펜듈럼 소환과 이 카드의 파괴 효과의 병용이 가능하다.

1~3이면 레벨 2~4의 펜듈럼 몬스터를, 4~6이면 레벨 5~7의 펜듈럼 몬스터를 덱에서 패에 넣을 수 있다.

7 이상이면 펜듈럼 존의 카드 2장까지를 패로 되돌리고 패에서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서치나 특수 소환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는 있으나 단점이 너무 많아 실전성은 떨어지는 카드다. 함정 카드라 바로 발동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치명적이고, 효과 선택을 스케일에 의존하는 점, 스케일을 준비하지 못하면 썩는 패가 되는 점 등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도 많다. 그나마 이 카드와 궁합이 좋은 테마는 도레미코드로, 펜듈럼 스케일의 폭이 넓고 스케일 조정이 쉽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적용하기 쉽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IMENSION FORCE DIFO-JP069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디멘션 포스 DIFO-KR069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2. 지속 함정

6.2.1. 시공의 펜듈럼그래프

6.2.2. 펜듈럼 스위치

파일:펜듈럼 스위치.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펜듈럼 스위치,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スイッチ, 영어판명칭=Pendulum Switc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몬스터 존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펜듈럼 몬스터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디멘션 스위치의 펜듈럼 몬스터 버전. 엑스트라 팩 2017에 발매되었다.

함정 카드이기 때문에 상대 턴에도 사용해 몬스터 상태의 펜듈럼 몬스터, 혹은 펜듈럼 존에 놓여진 펜듈럼 몬스터를 피난시켜 제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몬스터 상태가 되므로 몬스터 존에서 파괴되었을 때 발동하는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또는 아예 펜듈럼 효과를 발동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 몬스터 효과를 사용함은 물론, 전투 요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링크 소환과 함께 도입된 신 마스터 룰의 경우는 아예 엑스트라 몬스터 존을 재이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펜듈럼 몬스터는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놓여지지만, 그 몬스터를 펜듈럼 존으로 옮겼다가 다시금 펜듈럼 존에서 특수 소환하면 엑스트라 몬스터 존이 아닌 메인 몬스터 존에 놓이게 되므로 사실상 엑스트라 몬스터 존을 비우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 펜듈럼 몬스터들은 몬스터 존에서 파괴될 경우 펜듈럼 존에 놓이는 효과를 탑재하는 경우가 많은데, 펜듈럼 스위치를 이용해 그 카드들을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펜듈럼 소환할 때까지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도 메인 몬스터 존에 다시금 소환할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장점이다.

다만 소환 제약이 있는 초천신룡 오드아이즈 레볼루션 드래곤,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패왕룡 즈아크 같은 몬스터는 몬스터 존에서 펜듈럼 존으로 이동할 순 있어도, 거꾸로 펜듈럼 존에서 몬스터 존으로 불러올 수는 없다. 마찬가지로 소생 제한 룰도 지켜야 한다. 데블 프랑켄으로 불러낸 파티시엘 쿠베르를 몬스터 존에서 펜듈럼 존으로 이동할 순 있어도, 거꾸로 펜듈럼 존에서 몬스터 존으로 불러올 수는 없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MAXIMUM CRISIS MACR-ENSP1 울트라 레어 미국 세계 최초 수록
EXTRA PACK 2017 EP17-JP051 노멀 일본 일본 최초 수록
엑스트라 팩 2017 EP17-KR051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6.2.3. 펜듈럼 디멘션

파일:ペンデュラム・ディメンショ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펜듈럼 디멘션,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ディメンション, 영어판명칭=Pendulum Dimension,
효과1=①: 이 카드가 이미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이 펜듈럼 몬스터를 소재로서 이하의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의 "펜듈럼 디멘션"의 효과로 같은 효과를 적용할 수 없다.,
효과2=●융합: 덱에서 원래의 레벨이 그 융합 몬스터와 같은 몬스터 1장을 효과를 무효로 하고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3=●싱크로: 덱에서 "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4=●엑시즈: 덱에서 그 엑시즈 몬스터의 랭크의 수치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튜너 1장을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펜듈럼을 이용한 융합, 싱크로, 엑시즈를 보조해주는 카드. 각 효과는 소환법별로 1턴에 1번씩만 사용 가능하다.

융합 소환 성공시엔 덱에서 그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몬스터를 불러와 엑시즈 소환을 보조해주며, 싱크로 소환 성공시엔 융합을 서치해 융합 소환으로 이을수 있게 해주고, 엑시즈 소환 성공시엔 덱에서 그 랭크 수치 이하의 레벨을 가진 튜너를 서치하거나 특소해 싱크로 소환을 보조해준다. 엑시즈 소환의 경우 보통 랭크 4를 주로 하게 되는데, 유령토끼하루 우라라 같은 패 트랩으로 쓰이는 튜너들이 레벨이 3 이하라, 패 트랩을 서치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일러스트에 나온 건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진화체인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 /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패왕흑룡 소환 후 보조를 받아서 패왕백룡→패왕자룡으로 소환을 이어가라는 뜻으로 보이지만, 막상 패왕백룡과 패왕자룡은 온갖 페널티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소환 소재 때문에 이 카드로도 꺼내놓기가 더럽게 힘들고[3], 패왕흑룡은 굳이 이 카드 없이도 효과 조건을 충당하면서 더 간단하게 소환할 수 있는데다 이 카드로 보조를 받아 소환하면 오버로드로 덮어씌우지 않는 이상 바닐라에 불과해 의미가 없다.

일단 세피라의 신탁처럼 소재로서 '~ 소환'이 아닌 소재로서 특수 소환을 요구하기 때문에,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 같은 타협 소환이 가능한 융합 몬스터의 소환에 대해서도 발동이 가능하고, 소재가 레벨을 가진 몬스터여야 한다는 언급은 없기 때문에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오버로드네가로기어 아제우스같은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하는 몬스터에 대해서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는 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DP23-KR049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DP23-JP049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LED6-EN049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6.3. 카운터 함정

6.3.1. 펜듈럼 홀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94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펜듈럼 홀,
일어판명칭=ペンデュラム・ホール,
영어판명칭=Pendulum Hole,
효과1=①: 자신 / 상대가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시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펜듈럼 소환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더 다크 일루전에서 발매된 펜듈럼 저격 카드. 이때까지는 대부분 스케일을 저격하는데 비해 펜듈럼 소환 자체를 무효로 하는 카운터 함정으로 나왔다.

펜듈럼 소환하는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돌려보낸다는 점에서 나쁜 카드는 아니지만, 이 카드가 발표되었을 때 듀얼리스트의 반응은 왜 이제 나왔냐. 이걸 써야할 펜듈럼을 다 죽여놓고 뭐하는 지거리냐 식의 반응이 나왔다. 애초에 플레시아의 충혹마로 활용하지 못하게 카운터 함정으로 나온 것도 있고, 결정적으로 신의 통고가 무제한이다. 코스트가 없지만 펜듈럼 소환만 무효화하는 이 카드는 LP 지불이 있어도 몬스터 효과와 특수 소환을 둘 다 견제할 수 있는 신의 통고와는 비할 바가 못 된다. 거기에다 펜듈럼은 서치 카드가 많지만 특성상 묘지를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덱으로 되돌리는 것보다 파괴가 오히려 좋을 때가 많다. 이 카드가 쓰이려면 신의 통고가 제재를 받고 펜듈럼이 다시 티어로 뛰어올라야 가능할 것이다.

일러스트는 펜듈럼 소환되었을 익센트릭 데몬, 레스큐 래트, 괴짜 얼룩말, 징 드래곤이 펜듈럼 소환이 무효화되어 다시 빨려들어가는 모습.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더 다크 일루전 TDIL-JP079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스트럭처 덱 - 펜듈럼 에볼루션 SD31-JP035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7. 서포트 카드

7.1.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파일:デュエリスト・アドベン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듀얼리스트 어드벤트, 일어판 명칭=デュエリスト・アドベント, 영어판 명칭=Duelist Allian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나 상대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펜듈럼" 펜듈럼 몬스터 1장이나 "펜듈럼"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9기 첫 부스터 팩이자 펜듈럼 소환이 데뷔한 정규 부스터 팩인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에서 이름을 따온 카드로, 엑시즈 소환이 데뷔한 에서 이름을 딴 카드로 제너레이션 포스가 등장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필드에 서치하는 카드군에 해당하는 소환법의 카드가 있을 경우에 대상 카드군에 속한 카드를 서치하면서 자신이 그 카드군에 안 속하는 것까지 같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엑시즈에 이어 "펜듈럼"라는 이름이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이게 되었다. 몬스터건 마법이건 함정이건 상관없이 이름에 '펜듈럼'이 붙어있기만 하면 패로 가져올 수 있는 상당히 유용한 서치카드이다. 단, 제너레이션 포스랑은 달리 서치하는 몬스터는 "펜듈럼"이라고 이름 붙은 펜듈럼 몬스터 한정이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펜듈럼 몬스터의 특징에 따라 서치해와야 할 카드가 달라지는데, 공격력이 약하거나 기타의 이유로 파괴되기 쉬운 펜듈럼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에 있다면 펜듈럼 리본을, 마술사 덱을 사용한다면 펜듈럼 콜이나 어메이징 펜듈럼을 서치해오는 것이 유리하다. 그외에도 펜듈럼 존을 지키고 싶다면 펜듈럼 모라토리엄, 엑스트라 덱 자원을 벌고 싶으면 펜듈럼 트레져, 지금 당장 패가 필요하다 싶으면 펜듈럼 홀트, 엑스트라 덱에서의 펜듈럼 소환을 늘리고 싶다면 엑스트라 펜듈럼을 가져오는 것도 좋다.

단, 이쪽은 서로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있어야 발동할 수 있어서 펜듈럼 덱에서밖에 사용할 수 없다. 그래도 제너레이션 포스에 비해 발동 조건이 가볍기 때문에 상황을 별로 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맥시멈 크라이시스 MACR-KR063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크로니클 바인더 CHBI-KRB30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MAXIMUM CRISIS MACR-JP063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20TH-JPB30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Maximum Crisis MACR-EN063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Legendary Dragon Decks LEDD-ENC17 노멀 미국
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BLRR-EN097 울트라 레어 미국

8. 서포트 범위 외의 카드

9. OCG화 되지 않은 카드

9.1. 펜듈럼 클라이맥스

9.2. 매지컬 펜듈럼 박스

9.3. 펜듈럼 일루전

한글판 명칭 펜듈럼 일루전(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ペンデュラム・イリュージョン
영어판 명칭 Pendulum illusion(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지속 마법
①: (불명)
ARC-V 144화에서 유우야가 사용한 마법 카드.

9.4. 펜듈럼 카드 버스트

한글판 명칭 펜듈럼 카드 버스트(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ペンデュラム・カード・バースト
영어판 명칭 Pendulum Card Burst(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반 마법
①: (불명)
ARC-V 147화에서 유우야가 사용한 마법 카드. 필드의 펜듈럼 카드 2장을 파괴하고 2장 드로우하는 효과가 있다.

9.5. EM 펜듈럼 컨덕터

9.6. EM 펜듈럼 아트 & 클린

9.7. 펜듈럼 부스트

한글판 명칭 펜듈럼 부스트(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ペンデュラム・ブースト
영어판 명칭 Pendulum Boost(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반 마법
①: (불명)
최강 D 13화에서 사용한 카드.

9.8. 샤프 펜듈럼 스트라이크

한글판 명칭 샤프 펜듈럼 스트라이크(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シャープ・ペンデュラム・ストライク
영어판 명칭 Sharp Pendulum Strike(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반 함정
①: (불명)
유희왕 ARC-V/코믹스 31화에서 사카키 유우야가 사용한 카드.


[1] 스케일 지정 없이 3장까지 회수할 수 있는 전용 회수 카드인 "아포클리포트"가 있지만, 이쪽은 함정이라 타이밍이 느리단 약점이 있다.[2] 패왕문 인피니티가 스케일 13에 공용 가능하지만,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아야 펜듈럼 소환이 가능하다는 디메리트가 있고, 이 카드로 모든 펜듈럼 몬스터의 소생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3] 패왕백룡은 패왕흑룡의 랭크 7을 이어받으면 오드아이즈 싱크론 등을 소환할 수 있어서 튜너 마련은 어렵진 않으나 클리어윙 몬스터를 조달하기 난감한데다 튜너의 속성까지 어둠 속성으로 맞춰야 하고, 패왕자룡은 융합할 때 써먹을 융합 카드만 가져오는 특성상 이 카드로 보조를 받아 소환하려면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만으로 소환해야 하는데다 레벨이 10이나 돼서 후속 엑시즈 소환에 크게 방해가 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펜듈럼 어라이즈,version=98,
title2=펜듈럼 스톰,version2=20,
title3=펜듈럼 턴,version3=23,
title4=펜듈럼 모라토리엄,version4=26,
title5=펜듈럼 패러독스,version5=28,
title6=펜듈럼 홀트,version6=26,
title7=영혼의 펜듈럼,version7=30,
title8=펜듈럼 시프트,version8=8,
title9=펜듈럼 트레져,version9=17,
title10=EXP(유희왕),version10=43,
title11=펜듈럼 펜던트,version11=14,
title12=펜듈럼 홀,version12=17,
title13=펜듈럼 백,version13=17,
title14=펜듈럼 에리어,version14=15,
title15=펜듈럼 리본,version15=44,
title16=펜듈럼 스위치,version16=30,
title17=펜듈럼 디멘션,version17=11,
title18=펜듈럼 앙코르,version18=18,
title19=펜듈럼 스케일,version19=23,
title20=듀얼리스트 어드벤트,version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