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5:41:44

팻 밀레티치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c0000> 파일:UFC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aa9872,#8c7a55> UFC 1 무제한급 UFC 2 무제한급 UFC 3 무제한급 UFC 4 무제한급 UFC 5 무제한급
호이스 그레이시
파일:브라질 국기.svg
스티브 제넘
파일:미국 국기.svg
호이스 그레이시
파일:브라질 국기.svg
댄 세번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UFC 6 무제한급 UFC 7 무제한급 TUU 무제한급 UFC 8 무제한급 UFC 10 무제한급
올렉 탁타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르코 후아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댄 세번
파일:미국 국기.svg
돈 프라이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콜먼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UFC 11 무제한급 TUU 2 무제한급 UFC 12 헤비급 UFC 12 라이트급 UFC 13 헤비급
마크 콜먼
파일:미국 국기.svg
돈 프라이
파일:미국 국기.svg
비토 벨포트
파일:브라질 국기.svg
제리 볼랜더
파일:미국 국기.svg
랜디 커투어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UFC 13 라이트급 UFC 14 헤비급 UFC 14 미들급 UFC 15 헤비급 UFC Japan 헤비급
가이 메츠거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커
파일:미국 국기.svg
케빈 잭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커
파일:미국 국기.svg
사쿠라바 카즈시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UFC 16 라이트급 UFC 17 미들급 UFC Japan 2 미들급 UFC 41 라이트급1 UFC 152 플라이급
팻 밀레티치
파일:미국 국기.svg
댄 헨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야마모토 켄이치
파일:일본 국기.svg
BJ 펜 & 우노 카오루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일본 국기.svg
드미트리우스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1 무승부로 인한 공동 우승.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c0000>
파일:UFC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aa9872,#8c7a55> 초대 2대 3대 4대1 5대
팻 밀레티치
(4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1998년 10월 16일~2001년 5월 4일)
카를로스 뉴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1년 5월 4일~2001년 11월 2일)
맷 휴즈
(5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01년 11월 2일~2004년 1월 31일)
B.J. 펜
파일:미국 국기.svg
(2004년 1월 31일~2004년 5월 17일)
맷 휴즈(2)
(2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04년 10월 22일~2006년 11월 18일)
<rowcolor=#aa9872,#8c7a55> 6대 7대 8대2 9대 10대
조르주 생 피에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6년 11월 18일~2007년 4월 7일)
맷 세라
파일:미국 국기.svg
(2007년 4월 7일~2008년 4월 19일)
조르주 생 피에르(2)
(9차 방어)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8년 4월 19일~2013년 12월 13일)
조니 헨드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4년 5월 15일~2014년 12월 6일)
로비 라울러
(2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14년 12월 6일~2016년 7월 30일)
<rowcolor=#aa9872,#8c7a55>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타이론 우들리
(4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16년 7월 30일~2019년 3월 3일)
카마루 우스만
(5차 방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19년 3월 3일~2022년 8월 21일)
리온 에드워즈
(2차 방어)
파일:영국 국기.svg
(2022년 8월 21일~2024년 7월 27일)
벨랄 무하마드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7월 27일~2025년 5월 10일)
잭 델라 마달레나
파일:호주 국기.svg
(2025년 5월 10일~)
<colbgcolor=#0c0000><colcolor=#fff> 1 B.J. 펜은 2004년 5월 17일 K-1으로 이적하기 위해 UFC에서 나오면서 타이틀을 반납하였다.
2 조르주 생 피에르는 2013년 12월 13일 잠정적 은퇴하면서 타이틀을 반납하였다. }}}}}}}}}
파일:patmili.jpg
본명 패트릭 제이 밀레티치
(Patrik Jay Miletich)
생년월일 1966년 3월 9일 ([age(1966-03-09)]세)
아이오와 주 데이브포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권투 전적 1전 1승
{{{#white [[종합격투기|종합격투기]] 전적}}} 38전 29승 7패 2무
7KO, 16SUB, 6판정
3KO, 3SUB, 6판정
체격 178cm / 77kg
링네임 The Croatian Sensation
주요 타이틀 UFC 16 라이트급 토너먼트 우승
UFC 초대 웰터급 챔피언
기타 UFC 웰터급 타이틀 방어 4회
2014 UFC 명예의 전당 헌액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전적3. 커리어4. 파이팅 스타일5. 여담

1. 개요

미국의 전 UFC 웰터급 종합격투기 선수. UFC 초대 웰터급 챔피언이다.

2. 전적

3. 커리어

4. 파이팅 스타일

레슬링과 킥복싱을 조합한 균형 잡힌 스타일로, 전략적인 경기 운영과 탄탄한 그래플링 능력이 강점이다. 초창기 MMA에서 '스파울링 앤드 브롤링' 스타일을 대표하는 파이터 중 하나였다.

5. 여담

밀레티치 아카데미를 설립해 맷 휴즈팀 실비아, 젠스 펄버 등의 선수들을 키워낸 명 지도자이다. 하지만 2008년에 체육관 문을 닫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