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21:26:08

파워 웨폰

파워 소드에서 넘어옴

파워 웨폰
Power Weapons
파일:sword-of-truth-big.jpg
파워 소드로 무장한 월드 이터 충성파 마린 메이서 바렌

1. 개요2. 설정3. 종류
3.1. 인류제국카오스 스페이스 마린
3.1.1. 파워 소드3.1.2. 파워 피스트3.1.3. 라이트닝 클로3.1.4. 파워 액스3.1.5. 파워 마울3.1.6. 파워 랜스/스피어3.1.7. 썬더 해머3.1.8. 파워 사이드 3.1.9. 파워 실드3.1.10. 기타
3.2. 카오스 전용
3.2.1. 파워 스커지
3.3. 아수랴니
3.3.1. 다이어소드3.3.2. 파워 글레이브3.3.3. 미러 소드3.3.4. 엑서큐서너3.3.5. 파워블레이드3.3.6. 스콜피온 클로
3.4. 드루카리
3.4.1. 클레이브
3.5. 오크
3.5.1. 파워 클로
3.6. 네크론
3.6.1. 하이퍼페이즈 웨폰
4. PC 게임

1. 개요

파워 액스의 진가는 능력이 작동될 때 드러난다. 병기의 날은 물질을 분쇄하는 역장을 발생시켜, 살점과 돌덩이뿐 아니라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갑주를 파괴할 수 있다. 파워 액스는 매우 강력하고 파괴적인 인류의 백병전 병기이다. 이를 장비한 채 패배하는 것은 무기의 성능이 아닌 장비자의 문제이다.
코덱스의 서문(Codex Entry) 중
Warhammer 40,000에 등장하는 냉병기 형태의 무장으로, 에너지 역장으로 강화되어 있으며 인류제국을 포함한 다양한 팩션에서 사용된다.

2. 설정

파일:3kndpyjlge7vbw0s.jpg
파워 소드로 무장한 임페리얼 피스트 소속 프라이머리스 레프테넌트
무기 형태만 놓고 보면 이나 도끼, 철퇴, 주먹(...) 같은 고전적인 냉병기지만, 칼날이나 타격부에 특수 회로[1]가 내장되어서 동력이 공급되면 초고열[2]로 대상의 분자 결합을 끊는 푸르스름한 전자기적 역장이 생성되며, 각종 매체에서 파워 웨폰이 푸르스름하거나 불꽃을 튀기는 게 이 때문.

이 역장의 위력은 파워 아머는 물론이고 외계인의 하이테크 갑주조차 버터 자르듯 베어버리며, 썬더 해머나 파워 피스트 등의 둔기류는 피격 부위를 증발시키다시피 하는 모양.# 게다가 드물지만 라이트세이버처럼 손잡이만 존재하고 역장을 생성해 베는 에너지 검[3]체인이나 이빨을 단 무기에 역장 장치를 추가한 혼용 종류도 있다.

참고로 동력은 파워 아머나 기타 동력 장치에 전선을 연결하거나 파워 웨폰에 배터리를 내장해 공급하는데, 후자의 경우 용량의 한계로 육박전을 벌일 때만 켜거나 타격할 때만 켜지기도 한다. 게다가 동력이 끊겨 냉병기가 되더라도 몸체도 수준 높은 기술과 최고의 소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충분히 살상이 가능하다. 또 몇몇 육중하거나 날카로운 렐릭 웨폰의 경우 역장 없이도 그에 준하는 파괴력을 보유한 경우도 있다. 실제로 엔드리드 하르의 파워 피스트는 동력장이 꺼졌음에도 불구하고 썬더 워리어 출신이었던 그의 힘과 파워 피스트의 질량이 합쳐져 아바돈의 터미네이터 아머의 투구를 박살내고 죽기 직전까지 몰아붙이기도 했다.

다만 소설에서의 묘사를 보면 제 아무리 물질 분해장이 있더라도 베거나 타격할 때 그 피해가 들쭉날쭉하다. 예를 들면 누군가는 터미네이터 아머를 버터처럼 베어버리지만 반대로 누군가는 파워 아머에 흠집만 내는 식이다.

인류 외에도 오크엘다 같은 외계인이나 배반자 마린들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보병에 큰 피해를 주는 근접병기로 자주 등장하는데, 이러한 파워 웨폰 유닛들 때문에 중보병이 대부분인 Dow 2의 스페이스 마린은 꽤나 고전하게 되었다.

제작 단가나 관리의 어려움이 있어서인지 다크 엔젤 리즌들 말에 따르면 이건 간부들에게나 쥐어주고 자신들 같은 말단들은 지저분하게 피가 튀는 체인소드나 써야 한다고 불평했다.<출처>

3. 종류

3.1. 인류제국카오스 스페이스 마린

3.1.1. 파워 소드

파일:gw-99120101154-6.jpg 파일:SpS.jpg
파워 소드와 플라스마 피스톨로 무장한 캡틴 기계교의 파워 소드
역장 장치를 단 검 종류로, 파워 피스트와 더불어 자주 등장한다.

3.1.2. 파워 피스트

파일:thh_meleemarines-nov14-adam1-jxx9noxwkm.jpg
파워 피스트와 볼터로 무장한 화이트 스카 리전의 서전트
역장 장치를 단 건틀릿으로, 일반 주먹보다 두배 이상 크며, 역장 분해와 육중한 주먹으로 때려눕힌다. 또한 손 밑에 체인 웨폰이나 볼터, 플레이머를 추가로 부착하기도 한다.

3.1.3. 라이트닝 클로

역장 장치를 단 클로로, 문서 참고.

3.1.4. 파워 액스

파일:RGVVA.jpg 파일:gw-99550101514-2.jpg
파워 액스로 무장한 레이븐 가드의 뱅가드 베테랑 리버 패턴 파워 체인액스로 무장한 선즈 오브 호루스의 카타프락티 터미네이터
역장 장치를 단 도끼.

3.1.5. 파워 마울

파일:gw-99120109001_7.jpg
파워 마울로 무장한 아이언 핸드 출신의 데스워치 베테랑
역장 장치를 단 철퇴.

3.1.6. 파워 랜스/스피어

파일:thh_meleemarines-nov14-luke2-jwcgvqzmp7.jpg 파일:gw-99550102254-2.jpg
파워 랜스로 무장한 블러드 엔젤 리전의 어썰트 마린 피닉스 파워 스피어로 무장한 엠퍼러스 칠드런의 군단병
형태의 파워 웨폰으로 다른 무기들에 비해 긴 형태로인해 전투시 거리의 이점을 얻으나 육박전에선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3.1.7. 썬더 해머

역장 장치를 단 워해머.

3.1.8. 파워 사이드

파일:gw-99550102253-2.jpg 파일:gw-99550102253-1.jpg
파워 사이드로 무장한 데스 가드의 군단병
역장 장치를 단 형태의 무장으로 대성전~헤러시 당시엔 대개 데스 가드에서 사용했던 무장. 크게 휘두르는 공격으로 여러 적들의 사지를 단번에 손쉽게 절단할 수 있으며 40K 시점에선 사이즈 오브 디 엠퍼러, 데스 스펙터등 낫을 상징으로 삼는 일부 충성파 챕터에서도 사용한다.

3.1.9. 파워 실드

파일:streumon-studio-shdw-w-thunderhammer01-games-workshop.jpg
다크 엔젤 데스윙의 썬더 해머와 스톰 실드
파워 웨폰에 적용되는 역장 기술과 유사한 기술을 적용하여 물리적 방패에 역장을 생성하여 공격을 방어한다.
파일:SHTH.webp
썬더 해머와 스톰 실드로 무장한 블러드 엔젤의 어썰트 터미네이터
파일:HoldThisLine.png
보딩 실드 Boarding Shield를 장비한 군단 브리처 시즈 분대원
파일:gw-99120101164_8.jpg
점프팩을 해제하고 썬더 해머와 컴뱃 실드로 무장한 블러드 엔젤의 어썰트 마린

이 외에도 챕터별 변형 및 여러 파생형이 있으며, 니드와 다크 엘다도 비슷한 원리의 무장을 사용하기도 한다.

3.1.10. 기타

이외에는 코르부스 코락스가 사용한 채찍 형태의 파워 웨폰이나 아뎁투스 쿠스토데스에서 사용하는 장병기류의 파워 웨폰[10] 등이 있다.

3.2. 카오스 전용

3.2.1. 파워 스커지

파일:CSM-Helbrute_6.png
트윈링크드 헤비 볼터와 파워 스커지를 장착한 알파 리전헬브루트
아홉 꼬리 고양이를 닮은 거대한 금속 채찍 다발. 채찍 끝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달려 있다. 보통은 헬브루트의 근접무기로 사용되며, 격렬하게 꿈틀거리는 파워 스커지는 접근한 모든 적들을 찢고 잘라버린다.
파일:yjvtvwjgrdgbmvfq.png
볼카이트 컴버스터와 일렉트로스커지를 장착한 카오스 나이트
카오스 나이트가 사용하는 거대화된 버전은 일렉트로스커지라고 하며, 나이트 어보미넌트에 장착 가능하다.

3.3. 아수랴니

주로 어스팩트 워리어 중 근접전을 담당하는 병과들이 사용한다. 인류보다 기술력이 뛰어난 아수랴니에게도 파워 웨폰은 귀중한 장비라서 못해도 엑자크 등 한가닥 하는 전사들만이 파워 웨폰을 다룰 수 있다.

3.3.1. 다이어소드

다이어 어벤저 엑자크의 파워 소드. 칼 손잡이 부분에는 아엘다리의 영혼이 담긴 스피릿 스톤이 박혀있으며, 적을 베어버림과 동시에 스피릿 스톤이 희생자의 영혼을 파괴하여 즉사시킬 수 있다.

모든 다이어소드는 다이어 어벤저의 첫 피닉스 로드인 아슈르멘(Asurmen)의 다이어소드 '아슈르의 검'을 본따서 만들어졌으며, 아슈르멘은 본인의 검에 죽은 형제 테테시스(Tethesis)의 스피릿 스톤을 박아넣어 계속해서 슬라네쉬의 군세와 싸우길 원했던 형제의 의지를 이어간다.

3.3.2. 파워 글레이브

마찬가지로 다이어 어벤저 엑자크가 사용 가능한 장병기형 파워 웨폰. 미니어처 게임상에서는 방어 관통력(AP)가 -3으로 다이어소드에 비해 더욱 강하나 공격 횟수가 1회 더 적다.

3.3.3. 미러 소드

하울링 밴쉬 엑자크의 파워 소드. 두 개가 한 세트이며 쌍검술 특성상 일반적인 근접 기술보다 익히기 어렵지만, 이를 통달한 근접전의 달인들은 강력한 참격을 쉬지 않고 가할 수 있다.

3.3.4. 엑서큐서너

하울링 밴쉬 엑자크의 양손 파워 웨폰. 양손검이나 대낫 형태도 있지만 파워 글레이브 형태가 가장 보편적이다. 단 일격으로 중무장한 적을 두동강내는 위력을 자랑한다.

하울링 밴쉬 피닉스 로드인 제인 자르(Jain Zar)가 '파괴의 칼날'이라는 고대의 엑서큐서너를 그것도 한 손으로 사용한다.

3.3.5. 파워블레이드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Warp_Spiders_6th_Ed.png
파워블레이드와 데스 스피너로 무장한 워프 스파이더
워프 스파이더 엑자크의 리스트블레이드형 파워 소드. 미러 소드와 마찬가지로 두 개가 한 세트인 쌍검이며 장착 위치 특성상 손의 사용을 제약하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 때문에 데스 스피너(Death Spinner)라고 불리는 전용 총기[11]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구판에서는 다른 어스팩트 워리어들도 활용 가능한 파워 웨폰이었다. 현재는 워프 스파이더만 착용 가능한 것으로 변경.

3.3.6. 스콜피온 클로

Scorpion's claw. 스트라이킹 스콜피온 엑자크가 사용하는 엘다제 파워 피스트와 비슷한 장비로, 마니우스 아우구스투스 칼가의 파워 피스트 '울트라마의 철권'과 비슷하게 파워 피스트와 원거리 무기가 결합된 장비이기도 하다. 이쪽에는 엘다 제식 소총인 슈리켄 캐터펄트가 내장되어 있다.

3.4. 드루카리

상대를 죽이는 것 못지않게 고통을 주는 것이 중요한 드루카리의 파워 소드에는 역장 기술은 기본이고 치명적인 맹독이 발라져 있어 희생자들에게 고통스러운 죽음을 선사한다.

3.4.1. 클레이브

파일:external/wh40k.lexicanum.com/Path-of-the-incubus-clean.jpg
클레이브로 무장한 인큐비
Klaive. 드루카리의 근접 병종 인큐비가 사용하는 나대를 닮은 대검으로 파워 아머도 거뜬히 썰어버릴 수 있다. 모든 클레이브는 장인의 손길을 거친 명품 근접무기로 완벽하게 균형잡힌데다 거대한 크기에 비해 가벼워서 많은 인큐비들이 선호한다.

데미클레이브라는, 분리해서 쌍검으로 사용 가능한 클레이브도 존재한다. 네임드 인큐비인 드라자의 무기도 바로 데미클레이브이다.

3.5. 오크

3.5.1. 파워 클로

Power Klaw. 국내에서는 오크의 브로큰 잉글리쉬를 반영하여 '빠워 클러' 정도로 번역한다. 오크가 직접 휘두를 수 있는 가장 강한 근접무기 중 하나로, 무식한 크기와 날카로운 칼날 손톱, 투박한 외형이 특징인 유압식 건틀렛이다. 물론 이래봬도 파워 웨폰이라 닿는 물질을 분해하는 역장은 기본으로 달려 있다.

파워 클로는 단순한 근접무기를 넘어서 오크의 강한 힘 및 거기서 나오는 권력을 상징하는 장비이기도 하다. 때문에 을 넘어서 워보스 정도는 되어야 소유 가능하며, 인류제국의 파워 피스트처럼 장착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본인의 멀쩡한 팔을 잘라내고 그 자리에 파워 클로를 이식하는 행위도 마다하지 않는다.

3.6. 네크론

3.6.1. 하이퍼페이즈 웨폰

파일:미니어처-메인-네크론-오버로드.jpg
하이퍼페이즈 글레이브를 든 네크론 오버로드

네크론의 일반적인 근접무기도 네크로데미스로 만들어진 크탄 페이즈 웨폰인만큼 어지간한 방어구는 썰어내는 게 가능한데, 이 하이퍼페이즈 병기는 한 술 더 떠서 차원 사이를 진동하는 역장으로 감싸져 공간 자체를 갈라버리는 것도 가능한 압도적인 절삭력을 발휘한다. 제일 일반적인 형태인 '하이퍼페이즈 소드'는 리치가드 등 일반적인 네크론 고위 병종들이 사용하며, 하이퍼페이즈 립-블레이드와 하이퍼페이즈 쓰레셔는 디스트로이어의 일종인 스콜페크 디스트로이어가, 하이퍼페이즈 글레이브는 네크론 오버로드가, 하이퍼페이즈 하베스터는 스콜페크 로드가 사용한다.

4. PC 게임

4.1. Warhammer 40,000: Dawn of War 시리즈

대체적으로는 다른 워기어들과는 달리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없이 부가 옵션으로 나오는 경향이 강하다. 보통 분대장 옵션이 가능한 분대의 경우 분대장을 붙이면 분대장이 파워 웨폰을 들고 나온다. 그나마 영웅의 경우는 파워 웨폰 사용을 선택할 수 있는데, 효과는 그냥 대 중보병 공격력 강화 정도라고 보면 된다. 파워 웨폰으로 패기 시작하면 차량도 피가 다는 게 눈에 보이긴 하고.

엽기적이게도 Warhammer 40,000: Dawn of War 2오크 스톰보이즈는 분대원 전원이 들고 있는 쵸파가 파워 웨폰 취급이다. 이런 녀석들이 정작 분대장만 파워 소드로 무장한 어썰트 스쿼드보다 값도 싸고 몸빵도 좋다는게 넌센스. 한편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카오스 스페이스 마린 분대코른 업을 하면 분대원 전원이 파워 웨폰 판정의 체인액스로 무장하지만, 스톰 보이즈는 그 파워 웨폰이 기본이라는 점에서 한점 먹고 들어간다. 게다가 이 셋 다 전부 1티어 유닛이니 스톰 보이즈가 압도적으로 유리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왜 이런 취급이 된 데에 대해선 1티어 마린 계열 유닛들을 의식했다는 게 중론. 1티어 때 마린이 중보병이라는 막강한 아머를 가지고 있는 만큼 그에 대한 카운터 유닛으로 스톰보이즈가 낙점된 것. 문제는 이렇게 종족마다 하나씩 나눠준 파워웨폰 부대들이 어썰트 스쿼드 보기를 날아다니는 횟감 보듯 해버리는 상황이 되어서 스마의 근접전이 봉쇄되고 1티어가 지옥이 되어버렸다. 이외에도 놉 리더의 무기들도 기본 파워 초파 취급이다.

Warhammer 40,000: Dawn of War 3에서 스페이스 마린의 엘리트 유닛들은 킬팀을 제외하고는 전부 파워웨폰 판정의 무기를 들고 나오나 일반 유닛은 그런거 없다. 대신 업그레이드로 어썰트 스쿼드 전원에게 파워 소드를 지급해 줄 수 있는데 이러면 데미지가 늘고 대기갑 데미지가 높아져서 훨씬 강력해진다.

4.2. Warhammer 40,000: Space Marine

[파워 액스]
이 완벽한 밸런스를 갖춘 파워 액스는 번쩍이는 역장을 발생시키며 장갑을 찢어발길 수 있는 치명적인 일격을 날릴 수 있습니다.
This perfectly balanced Power Axe is sheathed in a sparking power field and delivers devastating blows able to crack open heavy armor.
[데몬 마울]
강력한 증오의 악마가 깃든 이 거대한 마울은, 모든 일격마다 끔찍한 파괴력을 선사합니다.
A powerful daemon of hatred is bound within this huge maul, giving each blow terrible destructive power.
[파워 소드]
스페이스 마린 지휘관들과 투사들이 사용하는 무기로, 모든 파워 소드들은 희귀합니다. 장인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소유자의 곁을 평생토록 지킵니다.
The weapon of Space Marine commanders and champions, each power sword is unique. Crafted by master artificers, it stays with the recipient for life.
[카오스 파워 소드]
카오스 신들의 부정한 축복을 받은 무기로, 이 부패한 파워 소드는 적들을 손쉽게 베어가릅니다.
Inlaid with foul sigils dedicated to the Chaos Gods, this tainted Power Sword cuts through enemies with ease.
- Warhammer 40,000: Space Marine의 설명문
위의 영상대로 파워 액스가 등장한다. 등장 시기 때문에 얼핏보면 체인소드의 상위 무기로 보일 수 있으나, 실은 둘 다 서로 일장일단이 있으므로 취향껏 쓰면 된다. 체인소드가 무난한 공속과 무난한 공격력으로 승부를 본다면 파워 액스는 공속은 좀 느리지만 더 강력한 파괴력으로 승부를 보는 타입. 다만 처형 모션은 체인소드가 적을 갈아버리는 연출이 있는 탓에 파워 액스보다 조금 시간이 더 걸린다.

카오스 측은 파워 웨폰처럼 아머 관통 능력이 있는 설정을 반영해서 체인 액스가 역할을 대신한다.

썬더 해머도 등장하는데 당연히 무지하게 느리지만 무지하게 강력한 무기로 등장한다. 처형에 저항할 수 있는 적들도 썬더 해머로 까면 그냥 다 죽는다. 다만 썬더 해머를 사용하면 3, 4번 중화기를 못 쓰고 오직 피스톨과 볼터만 쓸 수 있다는 게 흠.

파워 마울의 카오스 버전인 데몬 마울도 등장하는데 썬더 해머에 대응되는 무기로 나온다.

한편 DLC로 멀티에서만 쓸 수 있는 파워 소드가 등장한다. 성능은 체인소드의 가벼움 + 파워 액스의 파괴력이 적절히 혼합된 정도.

4.3. Warhammer 40,000: Darktide

파워 소드, 파워 마울, 썬더 해머가 등장한다. 역장을 켜기 전에는 일반적인 칼과 몽둥이로 기능하고, 특수 공격 액션으로 역장을 켜면 일격에 다수를 썰거나 떡장갑조차 무시하는 내려치기도 가능해지며, 몇몇은 주변에 충격파까지 날릴 정도로 위력이 급격히 상승해 중간보스급 적조차 약점을 어떻게 공략하느냐에 따라 3분요리가 가능할 정도다.

다만 역장의 지속시간이 짧고, 준비동작 중 공격받거나 반피가 되면 꺼지기도 하는 등 이런저런 제약도 많다. 기본적으로 역장이 본체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로 특수공격에 모든 것을 거는 무기군이다 보니 무기 자체의 스펙은 영 별로라는 것도 특기할만한 점.[12] 다만 적절한 축복과 특전만 잘 맞춘다면 그 모든 단점을 씹어먹을 수 있다.물론 썬더 해머와 오그린의 파워 마울은 그래도 구리다

주로 스페이스 마린이나 이단심문관 등 고위급 인물들이 주역으로 등장하는 다른 매체에서는 흔히 파워 웨폰은 발동하면 상시 역장이 켜져 있는 상태로 묘사되지만, 본작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역장 지속 시간이 매우 짧다. 그 명확한 이유는 불명이나 작중 플레이어들이 사용하는 모든 무기들은 폐품을 주워다 재활용했다는 설정이라 성능이 떨어진다는 추측이 있다. 혹은 파워 아머의 파워팩 등 별도 동력원에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아서라는 의견도 있다.[13]

더 자세한 설명은 Warhammer 40,000: Darktide/장비 참고.

4.4. Warhammer 40,000: Space Marine 2

기본적으로 모든 파워 웨폰이 일종의 에너지 무기 판정이라 일반적인 체인소드 등에 비해 플라즈마를 발산하는 식으로 범위가 넓다. 예를 들면 파워 소드는 모드 체인지로 플라즈마 출력을 올려 느리지만 넓은 범위의 공격이 가능하다는 식이고, 썬더해머는 역장을 폭발시켜 주변에 번개같은 충격파를 흩뿌리는 식이다. 사실 워해머의 역장은 물질을 분해시키는 설정이지 충격을 전달하는 원리가 아니기에 고증 오류이지만, 일반적인 판타지 게임의 호쾌한 액션성은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기에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1] 설정화를 보면 무기 표면에 반도체 회로 같은 복잡한 문양이 새겨져 있는 형태이며, 소설에서 황제의 검에는 시퍼런 은빛 검신 위에 회로가 복잡하게 각인되어 있다는 언급이 나온다. 미니어처의 경우에도 이 회로가 구현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스케일의 한계상 단순화되어 있다.[2] 일례로 늪지대를 통과해 진흙투성이가 된 마린들이 무기의 역장을 발생시키자 묻어 있던 흙이 순식간에 유리 구슬이 돼서 후드득 떨어지기도 했다.[3] 솔렉스-이지스 에너지 블레이드. 다크 헤러시 TRPG에 등장하며, 소수의 테크프리스트와 이단심문관이 사용한다.[4] The Horus Heresy Book One - Betrayal, p.235[5] 예컨데 자이언트 킬러 등.[6] Codex Adeptus Astartes: Space Marines, 8th Ed., p.64, 133, 137, 145[7] Index Imperium I, 8th Ed., p.204, 209[8] Ibid., p.151 ~ 153, 217[9] 여담으로 이들은 컴뱃 실드도 혼용했다는 설정이 있으나, 실제 모델로 나온 건 보딩 실드 종류 뿐이었다.[10] 이쪽은 드레드노트의 근접 무장까지 파워 웨폰이다.[11] 일종의 그물총으로, 단분자 실 한 다발을 발사해 목표물을 잘게 썰어버린다.[12] 파워 소드만 해도 역장을 안 키면 그냥 칼이랑 다를 바가 없는데 무겁다는 설정때문에 쓸데없이 이동속도가 느리다.[13] 물론, 설정 면이 아닌 게임 내적으로 보면 밸런스로 인해서 특수 공격을 제한해뒀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파워 웨폰들은 아뎁투스 아스타르테스아뎁타 소로리타스 등 유수의 무장집단이라도 간부가 아니먼 사용조차 못하는 고급 무기로, 설정상 동체급의 다른 무기들을 압도하는 것이 당연한데 그 성능을 그대로 구현하면 다른 수십종의 인게임 무기들의 매력이 떨어질 게 뻔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