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02:48:52

곰벌레

타디그레이드에서 넘어옴
곰벌레
Water bears
파일:곰벌레.jpg
학명 Tardigrada Doyère, 1840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계통군 좌우대칭동물군 Bilateria
계통군 선구동물 Protostomia
상문 탈피동물상문 Ecdysozoa
계통군 범절지동물 Panarthropoda
완보동물문 Tardigrada
파일:external/i.dailymail.co.uk/article-2280286-17A3EBA1000005DC-957_634x901.jpg
파일:external/imgnn.seoul.co.kr/SSI_20140706153539_V.jpg
기본 개체 남극에 사는 개체[1]

1. 개요2. 생존력3.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Waterbear.jpg

곰벌레, 물곰(Water Bear, Moss Piglet)은 완보동물문(Tardigrada)에 속하는 생물의 총칭이다. 절지동물문과 연관이 있다.

지금으로부터 530,000,000년(5억 3,000만년) 전인 캄브리아기에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몸길이는 성체 기준으로 작은 것은 0.1mm가 채 되지 않으며[2] 가장 큰 것도 1.5mm가량일 정도로 작다. 머리를 제외하고 4개의 몸마디를 가지고 있으며, 각 마디에는 한 쌍의 다리를 가진다. 느리게 걷는[3] 모습이 이 천천히 걷는 모습을 연상시켜 곰벌레라는 이름을 얻었다.

완보동물은 지금까지 1,000종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이 암수가 구분되어 있으나 일부 자웅동체인 종도 있다. 주된 서식지는 물속이나 습기가 많은 이끼류의 표면이다. 그러나 고온의 온천수나 극지방의 얼음 밑, 사막, 해발 6,000m를 넘는 히말라야산맥의 고봉, 수심 4,000m 이상의 심해에서도 발견되는 등 사실상 지구 어디에나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분포 지역이 넓다.

일부 종은 안점, 즉 원시적인 을 가지고 있다.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머리에 보통 눈이 있을 만한 위치에 두 개의 검은 점이 박힌 모습을 보는것이 가능하다. 물론 당연히 원시적인 것이라 의 유무를 파악하는 것 이상은 불가능하다.

조상이 절지동물쪽과 엮여있어서 그런지 유사한 점도 많고 을 낳아 번식한다. 일반적인 상식과 다르게 갓 태어난 새끼도 성체 완보동물과 세포수는 똑같은데 자라며 세포의 크기만 커진다고 한다.

몸 외곽이 단단한 큐티클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갑각류마냥 몸이 커져도 큐티클은 자라지 않아서 허물벗기를 한다. 일부 종은 이런점을 살려서 아예 큐티클 허물을 벗으며 거기다 알까기를 하고 허물이 완전 벗겨지면 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일거양득을 노린다고 한다.

참고로 곰벌레의 유전자는 비정상적인 것으로, 신체부위의 위치와 존재유무를 담당하는 유전자인 혹스 유전자(Hox Gene)가 곤충의 공통조상과 비교했을 때 상당수가 빠져있다고 한다. 그것도 단순히 다리 2개가 빠진 것도 아닌 무려 내장과 몸을 담당하는 유전자가 빠져있다.
유튜브 채널 Journey to the Microcosmos의 곰벌레 탐구 영상(영어) 지구에서 가장 강한 동물, 완보동물 - TED
(유튜브 한국어 자막 있음)

2. 생존력

완보동물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점 중 하나가 완보동물이 가지고 있는 엄청난 생존능력이다.

수명은 완보동물 내에서도 종에 따라 다른데, 보통 3달 ~ 2년 정도 된다. 다만 환경이 안 좋을 때에는 일종의 휴면상태 혹은 가사상태(Cryptobiosis)[4]에 빠져 버틸 수 있는데, 신진대사율을 1/10,000까지 저하시켜 체내 수분량을 평소의 1%까지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극도의 건조상태에서도 오랜 시간 살아 남을 수 있다. 휴면상태로부터 소생한 최장기간은 공식적으로는 10여 년 가까이 되나 냉동상태나 무산소 상태라면 보존기간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면상태로 접어드는 특성을 이용해 다른 생물이라면 대부분 다 죽게 될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버티다가, 다시 환경이 좋아지면 생존할 수 있다. 곰벌레의 생명력에 대한 단적인 예들이다.

2011년 4월 16일에도 우주왕복선 엔데버 호에 극한환경 내성 실험을 위해 곰벌레가 실린 바 있다. 이 곰벌레의 사례로 미루어 볼때 지구와 전혀 다른 환경의 외계 행성들에도(예를 들어 메탄대기에 암모니아 바다 등등) 충분히 외계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높은 생존력과 길고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곰과 비슷한 외향 때문에 미생물계의 포식자와 같은 이미지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포식자는 커녕 조류나 주워 먹고 이끼를 뜯어 먹는 초식동물에 가깝다.[12]

적대적인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날 뿐 천적들에 대한 대비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세포생물인데 비해, 크기가 너무 작고 미소 세계에선 더럽게 비효율적인 방식인 다리로 활동하는 탓에 매우 느리다.[13] 단세포지만 딜레투스아메바같이 공격적이고 커다란 미생물계 최상위 포식자에겐 쉽게 잡아먹힌다. 심지어 히드라를 이끼 등으로 착각하고 다가가다 독에 맞고 죽는 경우도 있다. 완보동물의 큐티클 외피는 수백도의 고열은 버티지만 포식자들은 그냥 소화액으로 간단히 녹여먹는다.

또한 극한 환경에서만 살 것 같지만 실제론 하도 여기저기서 발견되고 높은 생존력이 유명해져서 생긴 선입견이다. 극한 환경에서 사는 종들도 있지만 실은 대부분의 종이 그냥 살기 좋은 환경에 산다. 딱히 극한 환경을 좋아하지도 않아서 최대한 회피하려고도 한다. 사실 극한 환경에서의 생존 방안이라는 게 상술되었듯 대부분 신진대사를 낮추고 환경이 좋아질 때까지 존버하는 방법 뿐이라 오랜기간 악한 환경에 놔두면 죽을 수밖에 없다. 일부 종이 극한 환경에 어찌저찌 적응하여 사는 것일 뿐, 생존력이 뛰어난 것은 사실이나 모든 종이 극한 환경에 살 것이라 생각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유전체 정보가 공개되었다. 전체 유전자의 17.5%가 유전자 수평이동에 의해 획득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단하게 말해 건조 상태에서는 유전자 '스펀지'가 되어서 외부 유전자를 쉽게 흡수하는 셈. 하지만 반박 논문이 떴다. 이해하기 쉽게 풀이한 포스트 즉, 장내 미생물이나 먹이 등을 생각지 않고 통째로 갈아넣어서 생긴 지노믹 DNA 오염이라는 것이다.

2016년 9월 21일에 일본 연구진이 곰벌레의 모든 유전정보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후 곰벌레의 유전자를 활용하여 다른 생명체의 방사능 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3. 기타


파일:waterbear in antman movie.png
후속작인 앤트맨과 와스프에서도 언급되는데, 아내를 구하기 위해 양자 영역으로 들어가기 직전 초소형 상태로 잠시 떠다니던 행크 핌의 우주선을 발견하고 잡아 먹으려 했으며, 양자 영역으로 들어가려는 스콧 랭에게 재닛 밴 다인이 곰벌레 서식지에 가면 잡아먹힐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고 한다.

[1] 색깔은 CG로 입힌 것이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은 원래 흑백사진이다.[2] 단세포 생물아메바짚신벌레보다도 작다.[3] 완보동물의 완보(緩步)는 '느리게 걷는다'는 뜻이다. 역시 '느리게 걷는 자'란 뜻을 가진 라틴어 학명 'Tardigrada'의 번역이다.[4] 흔히 씨몽키로 알려진 아르테미아의 알도 이 능력이 있다.[5] 현재 지구에서 온도 측정이 가능한 가장 원거리의 천체세드나인데, 최고온도가 영하 261°C로 추정되고 오르트 구름의 천체는 사실상 태양빛을 받지 못하는 점을 감안한다면 최저온도도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6] 참고로 건조한 공기라면 사람도 몇 분 정도는 버틸 수 있다. 심지어 300℃의 온도도 견디는 사람도 있다. 사람이 버티는 게 가능한 이유는 땀의 증발 때문이다.[7] 생물의 세포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기본적으로 DNA 수복 능력이 있다. 이 능력이 점점 떨어지는 것이 노화. 대표적으로 텔로머레이스가 있다.[8] 사람은 수분이 5% 정도만 줄어도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다.[9] 대상이 방사선의 에너지를 흡수한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다.[10] 염산,황산 등[11] 미생물이나 세포등을 현미경으로 관측할때 그냥 올려두고 관측하면 너무 입체적이라 정확한 관측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위에 유리판을 눌러 최대한 평면에 가깝게 만들어 관측한다. 학생때 현미경 실습을 해봤다면 유리판으로 눌러두고 관측했던게 생각날 것이다.[12] 조류도 돌아다니다 우연히 손에 걸리면 붙잡고 집어먹는 수준이다.[13] 완보동물을 관찰하는 영상등을 보면 진짜 느긋하게 걸어다니는 모습이 굉장히 느리다. 섬모를 이용해 이동하는 미생물들은 일반인이 직접 관찰을 시도할 경우 너무 빨라서 당황할 정도인데, 특히 짚신벌레는 이동을 제한하는 특수한 용액에 넣어두지 않으면 관찰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빠르다.[14] 칼세이건의 코스모스와 함께 제작된 영상물[15] 가상의 우주 균사체가 은하계 여기저기 퍼져나가 순간이동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는 설정으로, '완보생물'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균사체 네트워크를 이용해 이동은 할 수 있지만, 예측 가능한 거리는 수백 킬로미터 이동에 불과하며 항성간 거리를 이동할 경우 어디로 떨어질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다[16] 그러나 여기서 무시된 내용은, 영상에서 곰벌레를 죽일 수 있다고 한 거의 모든 물리적 위협은 곰벌레보다 수천배는 더 크고 강한 위험이라는 것이다.[17] 네이선과 밈지가 한 실험은 평범한 화산모형 실험이였다.[18] 이건 카트먼에 의해 타락하기 이전에 스스로 자신이 하겠다고 했던 것, 원래는 우등생에 성격도 착한 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