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곡물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afafa,#2d2f34>곡류 | 강아지풀 (조) · 귀리 · 기장 · 밀 (듀럼 · 밀가루 · 호라산밀) · 벼 - 쌀 (자포니카 · 인디카) · 보리 · 사탕수수 · 수수 · 옥수수 · 율무 · 줄 · 테프 · 포니오 · 파로 · 피 · 호밀 |
| 협과 | 강낭콩 · 녹두 · 대두 · 동부 · 땅콩 · 렌틸 · 병아리콩 · 서리태 · 완두 · 작두콩 · 콩 · 팥 | |
| 아곡류 | 메밀 · 아마란스 · 치아 · 퀴노아 | |
| 그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 |
| 퀴노아 Quinoa | |
| | |
| 학명 | Chenopodium quinoa |
| 분류 |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속씨식물문(Angiosperms) | |
|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
| 국화군(Asterids) | |
| 목 | 석죽목(Caryophyllales) |
| 과 | 비름과(Amaranthaceae) |
| 속 | 명아주속(Chenopodium) |
| 종 | 퀴노아(C. quinoa) |
1. 개요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이 원산지인 비름과 명아주속의 작물. 곡물로서는 보기 드물게 벼목이 아닌 식물에 속한다.[1]2. 상세
"퀴노아(quinoa)"라는 이름은 "모든 곡식의 어머니"를 뜻하는 케추아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약 4,000년 전부터 안데스산맥 일대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해 왔다. 스페인어로는 "키노아", 영어로는 "킨와(keen-wah)"라고 발음한다.현대에는 세계 70여 개국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생산국은 페루와 볼리비아이며 이 두 나라가 전 세계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낟알은 쌀보다 작은 좁쌀의 크기 정도의 원형 모양이며, 색은 흰색, 붉은색, 갈색, 검은색 등이 있다. 또한 퀴노아는 고단백 식품으로 나트륨이 거의 없고 글루텐 또한 없어서, 새로운 건강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단백질 구성에서 필수 아미노산이 균형 있게 들어 있어 좋은 단백질 식품으로 평가된다. 또한 식이섬유, 마그네슘, 철분, 칼륨, 아연, 비타민 B군 등의 함량도 높은 편이다.
명아주와는 달리 줄기가 약해 지팡이를 만들 수는 없다.
오트밀과 함께 주목받는 통곡물 건강식품이라며 각광받고 있지만, 이런 류가 대체로 그렇듯이 맛은 별로 없다.껍질에는 사포닌이라는 쓴맛 성분이 있어 그대로 조리하면 흙맛이나 쓴맛이 날 수 있으므로 요리 전 반드시 여러 번 헹궈내야 한다.
밥에 섞어 먹거나 샐러드, 수프, 죽 등에 넣어 활용되며 최근에는 글루텐 프리 제빵이나 단백질 보충용 식품 원료로도 사용된다.
3. 여담
- 2013년 유엔(UN)은 국제 퀴노아의 해(International Year of Quinoa)로 지정하며 퀴노아를 세계 식량 안보에 기여할 수 있는 작물로 공식 인정했다.
- 리마(Lima)나 쿠스코(Cusco) 같은 안데스 지역 전통 요리에서는 수프, 죽, 빵 등 다양한 형태로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