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운용국 둘러보기 | |||||||||||||||||||||||||||||||||||||||||||||||||||||||||||||||||||||||||||||||||||||||||||||||||||||||||||||||||||||||||||||||||||||||||||||||||||||||||||||||||||||||||||||||||||
|
«Коммуна» |
1. 개요
콤무나(Коммуна)는 러시아 제국 해군이 건조하여 러시아 제국 해군부터 소련 해군에 이어 러시아 해군이 운용하는 잠수함 구난함 및 보급함이다.1913년 진수 및 1915년 실전배치 이후 현재까지 무려 [age(1915-07-14)]년 동안 실전 배치되어 작전에 투입 중인 것으로 유명하며, 현재 세계에서 현역으로 활동중인 군함들 중 가장 오래된 함선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2. 제원
콤무나의 제원 | |
함종 | 수송선→잠수함 구조함 |
배수량 | 3,100 톤(기준) |
전장 | 96 m |
최대흘수선 | 8.4 m |
추진 | 6축 실린더 디젤 엔진x2 |
마력 | 600 마력 |
기공일 | 1911년 12월 30일 |
진수일 | 1913년 11월 17일 |
취역 | 1915년 7월 15일 |
상태 | 현역[1] |
3. 함생
3.1. 소요 제기
1910년 러시아 제국 해군은 물자 수송, 무기 수송 등 다양한 종류의 수송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군함을 필요로 하는 상태였다.1911년 독일 제국 해군의 함선 SMS 불칸(Vulkan)을 프로토타입으로 하여 군함 건조의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동시에 쌍동선(double-hulled vessel) 형태의 구조로 함을 설계하기로 결정되었다. 이후 동년 5월에 건조 계약이 체결되었고 이어 12월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푸틸로프(Putilov) 조선소에서 건조가 시작되었다.
그렇게 약 2년간의 건조 작업 끝에 마침내 1915년 7월 15일, Волхов(볼호프)함은 공식적으로 러시아 제국 해군에 취역해다.
3.2. 운용
3.2.1. 러시아 제국 해군
러시아 제국 해군 발트 함대에 배치된 볼호프는 레발(현 에스토니아 탈린) 기지에서 예비 어뢰 10개와 연료 50톤을 싣고 첫 작전을 수행하며 기나긴 함생의 시발점을 끊었다.이미 배치시점에서 제1차 세계 대전이 진행중이었던고로, 볼호프는 쉴 틈 없이 작전에 투입되었다. 러시아 제국 해군 및 발트해에서 공동 작전을 펼치던 영국 해군 소속 잠수함들에게 보급 임무를 수행하는가 하면, 본래 다용도함으로 설계되었던 만큼 침몰한 잠수함의 인양 작접에도 동원되었다. 1917년 여름에는 알란드 근해에서 침몰한 AG급 잠수함 AG-15를 성공적으로 인양한 것을 시작으로, 1917년 9월에는 침몰한 바스급 잠수함 에딘오로그를 인양하기도 했다.[2]
3.2.2. 소련 해군
그렇게 계속해서 실전에 투입되던 볼호프는 1918년 2월 독일 제국군 육군이 레발로 진격해오자 급히 헬싱키로 피항했다. 그러나 이후 같이 헬싱키로 피신한 타 발트 함대 소속 함선들이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인해 크론슈타트로 도주할 때 콤무나는 선원 수 및 연료 부족으로 항구에 남아야 했고 결국 독일군의 손에 억류되었다. 이렇게 된 까닭은 브레스트 리토프스크 조약에는 러시아 해군의 모든 함선은 조약의 효력이 발생하는 즉시 핀란드의 항구를 떠나야 하며, 결빙 문제로 항구를 떠날 수 없는 함선들은 관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선원들만을 남겨두고 다른 선원들은 전부 러시아로 철수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어 있었기 때문이었다.허나 이렇게 되면 남은 함선들은 독일군에게 그대로 노획될 위험이 매우 높았고, 이를 우려했던 소련 해군은 독일군이 헬싱키에 진주하기 직전 대부분의 함선들은 크론슈타트로 탈출시켰다. 그러나 볼호프는 다른 몇 척의 함선들과 함께 남겨졌고 결국 독일군에게 접수되었다.
이후 독일군에게 억류된 볼호프를 두고 소련 및 독일 사이에 협상이 벌어졌고, 논의 끝에 1918년 5월 11일 볼호프는 억류에서 풀려나 크론슈타트로 향할 수 있었다. 이후 적백내전 기간 동안 페트로그라드를 모항으로 두고 활동한 볼호프는 1919년과 1920년 각각 사고로 인해 침몰한 바스급 잠수함 타이거와 엘을 인양했다.
1922년 볼호프는 함명을 Коммуна(콤무나)로 개명함과 동시에 1년간 가벼운 수리를 받았다. 수리 후 1923년 다시 실전에 투입되었는데, 하필이면 이 때 좌초된 해안순찰선 콥칙(Kobchik)을 인양하려고 시도하던 도중 콥칙과 충돌해 선체에 파공이 생기는 피해를 입었다. 다행히도 콤무나는 침몰하지는 않았고 크론슈타트로 귀환하였고 1923년부터 1925년까지 수리 겸 개장 공사를 받았다.
1928년 콤무나는 발트해에서 기뢰 접촉으로 격침당한 영국 해군의 L급 잠수함 L55를 인양시키는데 성공하면서 다시 일선에 복귀했으며, 1932년에는 좌초된 노빅급 구축함 엥겔스를 인양시키는 작업에 동원되었다. 그로부터 1년 뒤인 1933년에는 바스급 잠수함 라보치를 인양했으며 이후 1939년까지 좌초 및 침몰한 함정들을 인양 및 복구하는 작업에 집중적으로 투입되었다.
3.2.2.1.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겨울전쟁이 발발하자 콤무나는 다시 본래의 역할이었던 잠수함 보급함으로 되돌아가 잠수함 보급 임무를 수행했다. 물론 그러면서도 인양 및 구조 작업은 소홀히 하지 않아서, 1939년 12월에는 핀란드만에 추락한 MBR-2 수상기를 인양하고 승무원들을 구조하기도 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콤무나에 아무런 자위용 무장이 없다는 점이 지적되었고, 이에 따라 M4 4연장 대공기관총 총좌가 방공 목적으로 설치되었다.[3]이윽고 1941년 6월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탈린에 주둔했던 콤무나는 1차 세계 대전 때와 비슷하게 크론슈타트를 걸쳐 최종적으로 레닌그라드로 후퇴했다. 비록 군함은 아니었지만, 나름 전술적 가치가 높은 함이었던지라 이 과정에서 여러 차례 독일군의 표적이 되었는데, 1941년 10월 독일군의 공습을 받아 약간의 파편 피해를 입었고, 약 6개월 뒤인 1942년 4월에 또다시 독일 공군의 공습을 받아 크레인 1개가 손상되는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도 콤무나는 네바 강에서 독일군의 공습으로 격침된 선박 다수와 격추된 항공기 1기를 인양하였으며, 손상된 함선들을 수리하는 작업에도 여러 차례 투입되었다.
1944년 전세가 다시 소련에게로 기울자 그동안 레닌그라드에 숨어있었던 발트 함대는 다시 공세에 나섰고, 자연히 그에 따라 콤무나가 실전에 설 일도 잦아졌다. 1944년 연말까지 콤무나는 총 11척의 함정을 인양하고 33척의 함정에 수리 및 보급 지원을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1945년까지 이어졌다.
3.2.2.2. 냉전
냉전 초기였던 1950년, 콤무나는 벨기에 조선소에서 한 차례 점검을 받았다.이후루도 콤무나의 활동은 계속되었는데, 1956년과 1957년 각각 잠수함 M-200과 M-256을 인양하였으며 1959년에는 어뢰정 한 척을 인양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시대가 지나면서 잠수함들이 점점 대형화됨에 따라 콤무나는 더 이상 잠수함 인양 임무를 수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었고 따라서 잠수함 인양보다는 항공기 및 잔해 인양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함선으로 그 용도가 전용되었다.[4] 또한 이 과정에서 반세기간 종사한 발트 함대에서 흑해 함대로 재배치되었다.이후 1973년 현대화 대개장을 받았으며, 1977년에는 1,700미터의 깊이로 캅카스에서 추락하여 가라앉은 수호이 Su-24 장거리 전투 폭격기를 찾는데 성공하여 건재함을 과시하였다.[5]
1984년, 노후화 문제로 콤무나를 일선에서 퇴역시키고 강을 이용해 모스크바에 위치한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 연구 목적으로 영구 정박시키자는 계획이 수립되었지만 취소되었고 코무나는 구난함으로서의 임무를 계속하였다.
3.2.3. 러시아 해군
2013년 콤무나는 마침내 진수 100주년을 맞았다. 함으로서의 실제 나이가 100살이 되었다는 이야기. 이후 2년 뒤인 2015년 7월 14일 실전 배치 100주년을 맞아 축하 행사가 열렸다. 바로 위의 유튜브 영상이 그것이다.
2016년에는 수리 및 현대화 작업을 거쳤다.
3.2.3.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전면적으로 침공함에 따라, 독소전쟁 종전 이후 무려 77년만에 다시 실전투입되었다.2022년 모스크바함 잔해 조사에 투입되어 기밀문서와 장비등을 인양했다.
2023년에는 동년 3월 러시아 공군 소속 Su-27 전투기와 충돌해 흑해에 추락한 무인기 MQ-9 리퍼의 탐색과 인양에 투입될 예정이라고 한다.
2024년 4월, 세바스토폴 항에서 우크라이나군이 발사한 스톰 쉐도우 미사일이 요격당하면서 생긴 파편에 손상을 입었다.# 다만 공격 후의 위성 사진상에 딱히 별다른 손상 흔적은 보이지 않는점을 볼때 피해는 그리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