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30 07:23:52

Cult of the Lamb

컬트 오브 더 램에서 넘어옴
컬트 오브 더 램
Cult of the Lamb
<nopad> 파일:Cult of the Lamb.jpg
<colbgcolor=#bc1d1d,#bc1d1d><colcolor=#ffffff,#ffffff> 개발 Massive Monster
유통 Devolver Digital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macOS | PlayStation 4 | PlayStation 5 | Xbox One | Xbox Series X|S | Nintendo Switch
ESD Steam | GOG.com | 험블 번들 |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닌텐도 e숍
장르 건설 시뮬레이션, 던전 RPG, 로그라이크
출시 데모 버전
2022년 6월 13일
정식 출시
2022년 8월 12일
엔진 유니티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FANDOM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
2.1. 트레일러
3. 시스템 요구 사항4. 특징5. 등장인물6. 맵7. 던전
7.1. 스테이지
7.1.1. 방
7.2. 하드 모드7.3. 연옥
8. 적
8.1. 공통8.2. 다크우드8.3. 아누라8.4. 앵커딥8.5. 비단 요람8.6. 보스
9. 아이템10. 운영11. 건물
11.1. 신앙11.2. 일반11.3. 음식11.4. 경제11.5. 장식품
12. 팁13. 도전 과제14. OST
14.1. OST Album: Hynms of the Unholy
15. 업데이트
15.1. Relics of the Old Faith15.2. Cult of the Lamb x Don't Starve Together15.3. Sins of the Flesh15.4. Unholy Alliance
16. 평가17. 버그18. 2차 창작19. 기타

1. 개요

충성스러운 삼림 추종자들의 공동체를 만들고 당신의 말씀을 전파하여 하나의 진정한 종교가 되십시오.
스팀 상점 소개 문구
2022년 8월 12일에 출시한 로그라이크 액션 어드벤처 및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2. 발매 전 정보

2.1. 트레일러

<nopad>
공식 트레일러
<nopad>
출시 트레일러
<nopad>
콘솔 트레일러
<nopad>
런치 트레일러

3.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ffffff,#ffffff>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Windows
<colbgcolor=#bc1d1d,#bc1d1d><colcolor=#ffffff,#ffffff> 운영체제 Windows 7 Windows 10
프로세서 Intel Core i3-3240 (2 * 3400)
AMD FX-4300 (4 * 3800)
Intel Core i5-3470
메모리 4 GB RAM 8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560 Ti (1024 VRAM)
AMD Radeon HD 7750 (1024 VRAM)
NVIDIA GeForce GTX 1050 (2048 VRAM)
AMD Radeon R9 380 (2048 VRAM)
API DirectX 버전 11 DirectX 버전 11
저장 공간 4 GB 사용 가능 공간 4 GB 사용 가능 공간
macOS
운영체제 OS X 10.9 OS X 10.9
프로세서 Intel Core i5-6500 (4 * 3200) Intel Core i5-7600 (4 * 3400)
메모리 4 GB RAM 8 GB RAM
그래픽 카드 AMD Radeon R9 M390 (2048 VRAM) AMD Radeon Pro 570 (4096 VRAM)
저장 공간 2 GB 사용 가능 공간 2 GB 사용 가능 공간

4. 특징

전체적으로 아기자기한 비주얼, 깜찍한 동물 캐릭터들과 그와는 완전히 상반되는 컬트라는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로그라이크 액션 및 경영 게임. 사이비, 세뇌, 납치, 인신공양, 종족 단위 학살, 지하드, 포교 행위 등이 핵심 소재로 등장한다. 다만 이런 설정에 비해 실질적으로 수위가 높은 묘사는 그다지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거부감을 가진 유저도 큰 부담 없이 플레이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어린 양으로, 양이 주축이 되는 예언의 실현을 막기 위해 양을 멸족시키려는 옛 신앙 무리에 의해 마지막 남은 양으로서 처형당한다. 그러나 옛 신앙을 적대하는 신, 기다리는 자의 간택을 받아 삶을 되찾으면서 초능력을 지닌 교주로 거듭나고, 옛 신앙 무리를 상대로 복수의 성전을 벌이는 한편, 옛 신앙 추종자를 포함해 여정에서 만나는 다양한 이들을 자기 교단의 추종자로 삼아 교단을 성장시켜야 한다.

기본적으로 메인 시스템인 로그라이크식 던전의 개형은 슬레이 더 스파이어와 비슷하게 보상이 제시된 선택지(=스테이지)를 골라 길을 개척해나가는 방식이며, 각 스테이지는 아이작의 번제처럼 일반 전투방과 선택지에 따른 보상방, 무작위로 등장하는 추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기 수급 및 체력 회복 시스템은 데드 셀즈던그리드랑 비슷하게 시작 시 다양한 종류로 나뉜 각기 다른 공격 스타일의 무기 중 무작위 무기를 지급하고 이후 선택지에서 무조건 무기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어 더 강한 무기로 교체해 가며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스테이지 진행 중에는 아이템이 구비된 여러 종류의 상점이 등장하여 이곳에서 캐릭터를 성장시킬 수 있다. 전투는 방에 들어가서 대기하던 적을 죽이면 되며, 대개는 엔터 더 건전처럼 웨이브 형식으로 적이 더 등장한다. 방 보상으로는 골드나 체력, 기타 해금 요소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에 난 풀이나 돌 따위를 수집해 교단 시설에 사용할 수 있다. 골드 역시 시설에 사용된다.

교단 건설 및 운영을 표방하는 게임답게 로그라이크 플레이 외에도 교단 건물을 건설하거나, 신도들을 관리해야 하는 경영 시스템도 중요하다. 이 게임은 신도 수 및 충성도에 따라 플레이어의 성장 속도가 확연하게 달라지며, 스토리 진행을 위해서라도 최소 20명의 신도를 확보해야 한다.[1] 문제는 신앙 수치가 떨어지면 교단에 악영향을 주는 요소도 있거니와, 신도들 또한 생명력과 수명 개념이 있어서 지속적인 신도 수급을 해줘야 제대로 된 운영을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무작정 많이 받다가는 식량 수급이나 위생 관리가 어려워지고, 신도별 충성도 등 개별적으로 케어해 줘야 하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신도가 너무 많아도 관리가 어려워지는 등 후반까지 관리 요소에도 신경을 많이 써줘야 한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ult of the Lamb/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등장인물#|]][[Cult of the Lamb/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7. 던전

크게 4개의 스테이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다크우드, 아누라, 앵커딥, 비단 요람이 있다. 처음에는 다크우드가 해금되며, 이후에는 순서에 상관없이 조건을 달성하면 해금할 수 있다.[4]

던전으로 진입하게 되면 아이작의 번제 또는 엔터 더 건전 느낌이 나는 로그라이크 형식의 방들을 돌아다니며 클리어하게 되고, 해당 층을 클리어하면 슬레이 더 스파이어의 지도를 연상시키는 길을 따라가는 형식이다.

각 스테이지를 4번 클리어하면 스테이지마다 있는 옛 신앙의 주교를 죽일 수 있고,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기 위한 조건은 신도들의 수를 채우는 것이지 주교를 죽이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5] 다만 엔딩을 보기 위해서는 주교를 잡아 4개의 사슬을 끊어내야 엔딩을 보러 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주교를 잡아야 한다.

던전에 진입하고 가장 처음으로 방문하는 방에서는 무조건 무기와 저주(보조무기)가 등장한다.

던전은 크게 지도 형태의 스테이지와 그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방으로 이뤄진다. 스테이지는 보통 4~6단계로 구성되며, 일반 전투 스테이지 외에도 자원 전용 스테이지, 이벤트 스테이지 등으로 구분된다.

7.1. 스테이지

7.1.1.

7.2. 하드 모드

엔딩 이후 관문에 찾아가면 ???라는 존재가 나타나 하드 모드를 해금해준다. 하드 모드는 전체적으로 몹들의 상향, 새로운 맵 기믹들로 파워업하여 난이도 높은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보스들이 대폭 강화되며 주교전을 치르기 위해서는 다시 미니 보스 셋을 잡고 사원의 문을 열어 강화된 주교들을 상대하게 된다. 해당 절차까지 진행하면 주교 신도들이 해금된다.

다크우드는 하드 모드 해금부터 열리지만 그 외에는 일정 숫자 이상의 추종자가 있는 상태에서 일정 레벨 이상의 추종자 1명을 제물로 바쳐야 한다. 모든 하드 모드를 열려면 최소 3명의 추종자가 필요하며, 이렇게 희생된 추종자는 부활식에서 제외된다. 문제는 문을 미리 열어놓는다 하더라도 중간에 추종자 수가 최소 인원보다 적어지면 해당 던전의 문이 다시 닫힌다. 이렇게 되면 추종자를 다시 희생시켜야 되니 진도에 비해 지나치게 빨리 열 필요는 없다.

7.3. 연옥

하드 모드 던전에서 레쉬를 쓰러뜨리면 ???가 열어주는 일종의 일일 던전.[12] 던전 투기장 모드에서는 다크우드, 아누라, 앵커딥, 비단 요람 순으로 짧게 통과하게 되며, 후에는 지금껏 나온 랜덤 미니 보스/보스가 튀어나온다. 보스 러시 모드에서는 말 그대로 보스들을 순차적으로 상대한다. 연옥 내에서는 교단의 시간이 전혀 흐르지 않게 되며, 사역마를 데려올 수 없고 재료도 신의 눈물 파편 외에는 구할 수 없다. 입장할 때 기본 양털과 이미 해금한 양털들 중 사용할 것 하나를 골라 진행하며, 각 양털별로 클리어 시 신의 눈물 확정 드랍 횟수가 제한되어 있다. 신의 눈물 파편을 모아서 합치는 것도 파편을 모아 신의 눈물을 획득할 때마다 요구 개수가 늘어나며 최대 300개까지 늘어난다.

8.

8.1. 공통

맵을 가리지 않고 어디에서나 나오는 몬스터들. 기본적으로 검은색 로브를 입고 일부는 흰색 가면을 쓰고 있다. 강화형은 붉은 로브를 입는다.

이하의 적들은 앵커딥에서부터 등장한다.

8.2. 다크우드

8.3. 아누라

8.4. 앵커딥

8.5. 비단 요람

8.6. 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ult of the Lamb/보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보스#|]][[Cult of the Lamb/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ult of the Lamb/아이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아이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아이템#|]][[Cult of the Lamb/아이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운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ult of the Lamb/운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운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Cult of the Lamb/운영#|]][[Cult of the Lamb/운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건물

성지 주 건물 왼쪽에 있는 작업대에서 건설, 파괴하거나 위치를 옮길 수 있다. 5단계에 따라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중앙에 있는 건물 업그레이드 혹은 건설 해금을 통해 건설 해금을 확장시킬 수 있다.
<rowcolor=#ffffff,#ffffff> 5티어 (사전 건물 해금 25개 이상 필요)
영안실 2 지하묘실 3 이동식 예배소 3 성화 3 회복소 2 화장실 2 교단 4(확장) 벌목소 2 돌 광산 2 선교지 3 악마 소환진 3 주방 헌신 수확의 토템
4티어 (사전 건물 해금 20개 이상 필요)
영안실 지하묘실 2 의식 쿨다운 이동식 예배소 2 성화 2 대형 주거지 공유 주거지 교단 3(확장) 정제소 2 뼈 장식품 농부 배치소 2 퇴비 함정 허수아비
3티어 (사전 건물 해금 10개 이상 필요)
지하묘실 선전 연사 고해성사실 의식 비용 감소 성화 1 관리소 회복소 1 화장실 1 정제소 1(확장) 선교지 2 악마 소환진 2 퇴비 저장고 수확의 토템
2티어 (사전 건물 해금 3개 이상 필요)
감옥 이동식 예배소 번제의 조각상 주거지 기본 장식품 교단 2(확장) 벌목소 1 돌 광산 1 선교지 1 악마 소환진 1 허수아비
1티어 (교단 건설 필요)
시체 구덩이 침낭 사원(기본) 밭 경작지 농사 꾸러미
위의 건물들은 헌신을 모아 종교적 영감 1개를 모으면 바로 건물 1개를 해금할 수 있다.[13] 그러나 일부 건물의 경우 조건 달성 여부나 교리의 선택 여부에 따라 건설 가능 혹은 불가능해진다. 해당 내용은 아래 건물 카테고리별로 서술한다.

11.1. 신앙

11.2. 일반

11.3. 음식

11.4. 경제

11.5. 장식품

성전이나 외지 상점 등을 통해 다양한 장식품의 청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그 수가 많은 관계로 이 문단에서는 획득 경로가 제한적이거나 특수 기능이 내장된 장식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folding 스포일러 [ 펼치기 · 접기 ]* 기다리는 자 전리품 (1회 제한)다른 주교 전리품과 달리, 기다리는 자 전리품은 전투에서의 승리를 넘어 최종 결정에서 기다리는 자를 처단해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기다리는 자를 처단하지 않고 추종자로 영입시켰을 시 주교 해방 퀘스트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12.

13. 도전 과제

총 42개의 도전 과제가 있다. 난이도가 있는 도전 과제는 볼드체로 표시.
악을 행하지 말지어다: 기다리는 자를 쓰러뜨리고 엔딩을 본다.}}}진정한 사랑을 찾다: 포네우스에게 애임과 바알을 되돌려준다. 둘을 구하고 데려다주는 방법 자체가 까다로워서 모르면 꽤 어렵다.}}}지도자들의 지도자: 모든 주교(기다리는 자 포함)를 전부 신도로 만든다. 간단히 말해 하드 모드 던전을 올 클리어하고 엔딩을 보면 된다.}}}재건: 소조를 정신 살해 버섯의 포자로부터 해방시킨다.}}}

14. OST

River Boy[25]가 작곡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rowcolor=#ffffff,#ffffff> 번호 제목 길이
1 Praise the Lamb 6:01
2 Start a Cult 4:59
3 Temple 3:03
4 Work and Worship 5:47
5 Faith Up 2:13
6 Sacrifice 4:14
7 Saviour 1:16
8 Darkwood 1:24
9 Amdusias 1:17
10 Leshy 1:53
11 Knucklebones 1:30
12 Pilgrim's Passage 2:17
13 The Night 0:56
14 Anura 2:15
15 Eligos 1:48
16 Heket 1:30
17 Shop 0:36
18 Sozo 1:04
19 Anchordeep 3:18
20 Saleos 1:20
21 Kallamar 2:08
22 Followers of the Old Faith 1:46
23 Ratoo 0:50
24 Silk Cradle 4:09
25 Vephar 1:53
26 Shamura 2:35
27 Pilmbo 1:11
28 Midas 1:15
29 Witnesses 1:00
30 Martyred 0:36
31 The Gateway 0:39
32 First Son, Baal 1:37
33 Second Son, Aym 0:52
34 Narinder 1:59
35 The One Who Waits 1:46
36 Enlightenment 0:54
37 Lamb God 0:44
38 Bishops os the Old Faith 0:59
39 Light House 2:14
40 Bishop Temple 1:57
41 Lonely Shack 2:27
42 Clauneck 5:10
43 Blood Moon 3:43
44 Anchordeep Purged 2:28
45 Anura Purged 2:22
46 Chemach 1:37
47 Darkwood Purged 2:03
48 Silk Cradle Purged 3:08
49 Heket Punished 2:07
50 Kallamar Punished 2:21
51 Leshy Punished 2:05
52 Shamura Punished 1:43
53 Nudism 2:45
54 Baby Follower 3:28
55 Helob 0:36
56 Rite of Wrath 0:51
57 Forneus 0:37
58 Gluttony of Cannibals 0:37
59 Berith 0:36
60 Temptation 0:39
61 Crown Corrupted 0:34
62 Writings of the Fanatic 1:04

14.1. OST Album: Hynms of the Unholy

Hynms of the Unholy
Character Theme - Original Sound Track

(2024. 10. 28.)
파일: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ffffff> 트랙 곡명 비고
<colbgcolor=#f5f5f5,#2d2f34> 1 Cult 어린양 Theme
2 Chaos 레쉬 Theme
3 Famine 헤켓 Theme
4 Pestilence 칼라마르 Theme
5 Conquest 샤무라 Theme
6 Death 나린더(기다리는 자) Theme }}}}}}}}}
2024년 10월 20일부터 게임 내 주요 캐릭터들의 테마곡을 차례차례 공개했다.

15. 업데이트

15.1. Relics of the Old Faith

<nopad>
업데이트 트레일러
첫 번째 대규모 업데이트. 2023년 4월 24일에 업데이트되었다. 전체적으로 기존 게임의 짧은 분량을 보완했다.

15.2. Cult of the Lamb x Don't Starve Together

<nopad>
업데이트 트레일러
2023년 8월 22일에 업데이트되었다. Don't Starve Together와의 콜라보를 다룬다.

15.3. Sins of the Flesh

<nopad>
업데이트 트레일러
2024년 1월 16일에 업데이트되었다. #

다양한 시설과 의식, 나팔총이라는 신규 무기 추가에 더 많은 이벤트들이 추가된다.

DLC 포스터가 공개되었는데, "육신의 죄"라는 제목답게 나뭇잎으로 중요 부위만 가리고 춤을 추는 추종자들이 있는 포스터라 사람들이 "야스 업데이트다!"라면서 난리 법석을 떨자 개발진들이 스팀 커뮤니티 글에 그냥 유저들의 밈이라고 못 박았는데도 유저들은 "야스 업데이트다!"를 멈추지 않았고, 결국 체념한 건지 "올해가 끝날 때까지 30만 팔로우 받으면 야스 추가한다."라고 올리자 단 2시간 만에 30만 팔로우를 넘었다.

이러자 게임 언론사에서 어떻게 할 건지 취재를 진행했는데, 개발자는 "약속은 지킬 거지만 게임 심의를 바꿀 정도는 아닐 거다."라는 답변을 했다. # 이후 업데이트 트레일러에서 짝짓기 텐트라는 시설물이 추가되었음을 대놓고 보여줬고, 짝짓기가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27]

15.4. Unholy Alliance

<nopad>
업데이트 트레일러
2024년 8월 12일에 진행된 로컬 협동 업데이트. 본작에서 처음으로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하나 더 추가될 예정이며 외형은 사탄교의 상징인 전형적인 염소형 캐릭터이다.
<nopad>
업데이트 트레일러
8월 12일 업데이트와 함께 DLC로 공식 코믹스를 공개했다. 작가는 Carles Dalmau와 JoJo Zhou.

16.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5-03-01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cult-of-the-lamb/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cult-of-the-lamb/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03-01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평론가 평점
84 / 100
평론가 추천도
88%
유저 평점
80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5-03-01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1314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31314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전체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우선 여러 가지 요소를 천천히 설명하며 기능을 해금하는 형식의 튜토리얼은 복잡한 게임 요소를 쉽게 이해시켜 준다는 장점이 있으며, 경영과 전투 모두 모나지 않고 잘 섞였다는 호평이 많다. 또한 특유의 아기자기한 디자인으로 진입장벽을 낮춘 것도 큰 호평인데, 이러한 장르에서 매번 우려먹는 크툴루코즈믹 호러의 요소들로부터 오는 압박감이나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즐길 수 있는 게임으로서는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연출 역시 큰 호평을 받고 있는데, 귀여운 분위기 속에서도 장르 특유의 섬뜩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OST 역시 분위기를 잘 살리는 것이 큰 장점.

전투의 경우 데모보다 타격감이 훨씬 올라갔다. 또한 전투를 통해 경영에 필요한 자원을 얻는 것으로 "성장"과 "경영"의 재미를 확실히 챙길 수 있는데, 운영의 핵심 요소는 성전을 통한 파밍과 신도들이 수급하는 재료로, 전투를 해서 자원을 모을수록 마을은 발전하고, 마을과 신도가 많아질수록 어린 양의 전투력도 강화된다. 자원을 모아야 하는 지루함을 전투로 해결함으로써, 성전을 다녀올 동안 신도들은 열심히 파밍을 해서 돌아올 때 마을이 커지는 성취감이 매우 크다. 신도 역시 "수명" 시스템이 있어서 새로운 신도를 계속해서 수급할 필요가 있어, 이것 역시 하나의 자원으로서 모든 요소를 해금해도 최종 보스를 잡을 때까지 계속 던전에 들어가야 하는 원동력이 된다. 최종 보스를 잡을 때까지 주는 전투와 경영에 대한 보상과 성취감이 확실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중독성 역시 큰 호평. 로크라이크 특유의 '한번 하고 나면 해금 빼고 남는 게 없다'는 단점을 해금 요소들이 직접 느껴지는 경영 시뮬레이션과 맞물리는 시도 자체도 신박하다는 평이 많다. 그 밖에도 전투와 필드 외에 여러 가지 숨겨진 요소가 많지만, 대부분 필수는 아니기 때문에 도전 과제를 모오는 게 아닌 이상 전부 갈 필요는 없다. 대신 상점 기능을 해금하거나 추종자 스킨을 주는 등 보상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또 하나의 파고들기 요소가 된다.

하지만 여러 가지 요소를 섞은 만큼 한 우물만 파는 게이머들에게는 호불호가 갈리는 게임이다. 경영의 요소는 재미가 확실하지만 사람에 따라 신도들에게 청소를 시키는 관리소나 화장실 해금이 너무 느리다는 지적이 있다. 양자택일인 교리 역시 바꿀 수 없는 데서 호불호가 갈린다. 대부분 교리는 단기적인 플레이를 위한 교리와 장기적인 플레이를 위한 교리로 나뉘는데, 대부분 교리의 설명이 너무 난해해서 공략을 읽는 게 아닌 이상 어느 교리가 후반부에 가야 효율이 좋은지 알아채기 힘들다. 문제는 교리에 따라 후반부로 갈수록 압도적인 효율을 보이는 교리가 있기 때문에, 안 좋은 쪽을 선택했다고 해도 게임을 다시 시작하지 않는 이상 그대로 가야 한다.[28] 뿐만 아니라 어떤 기능은 자동화가 미흡하다고 지적하는데, 특히 신도에게 일일이 축복을 주는 기능이나 화장실 청소, 그리고 요리는 모든 요소를 해금해도 교주가 전부 직접 해야 하기 때문에 분명 해금할 요소는 다 했는데 업그레이드를 덜 한 느낌을 들 수 있다.[29]

전투 역시 세세하게 파고 들면 비판점이 많은데, 이 게임은 라이트 유저를 주 타깃으로 잡은 만큼[30] 헤비 로그라이크 유저들에게는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주로 다른 로그라이크 게임과 비교되는데, 모티브를 많이 따온 아이작의 번제와 비교하면 적의 패턴이 거기서 거기고, 보스전 역시 일반 몹의 강화판에 지나지 않다. 헤비 유저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비단 요람을 제외하면 몹 패턴이 거기서 거기라는 평. 또한 주교를 죽인 이후의 던전도 문제로 꼽고 있다. 던전의 난이도를 단순 체력 뻥튀기로 올려놓았고, 강화 패턴이나 새로운 몬스터가 아예 없다. 즉 로그라이크 다회차 요소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지루하고 최악의 방향으로 난이도를 올려놓은 셈. 주교를 한 번 죽이면 주교의 석상을 파괴하고 다시 시도할 수 있는 강화판 주교 역시 큰 비판을 받는데, 이 역시 체력만 늘리고 추가 패턴이 없어 노 데미지 도전 과제를 얻으려는 목적이 아닌 이상 딱히 다시 도전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도 큰 단점.[31] 여기까지 보면 라이트 유저를 위한 배려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최종 던전에 있는 세 보스는 라이트 헤비를 불문하고 불호가 상당히 많았다. 강력한 패턴으로 무장하고 있는 칼라마르나 독특한 패턴과 부하를 소유하고 있는 샤무라에 비해, 최종전에서 처음 나오는 두 보스는 회피 시간도 널널하고 탄에 대한 압박도 매우 적다. 그리고 마지막 최종 보스는 체력만 많은데다 패턴 역시 지극히 단조로워 네 교주들은 물론이고 일반 보스한테까지 비교될 정도. 매우 어려움 난이도에서도 긴장감보다 지루함만 가져다 주었다. 패치 이후 난이도 상향을 크게 먹어 플레이어의 컨트롤을 극한으로 시험하는 패턴이 추가되어 드디어 최종 보스 이름값을 하게 되었다는 평.

무기 시스템 역시 헤비 유저들에게는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이 게임은 리치는 짧지만 빠른 공속을 가진 단검, 맞추면 맞출수록 데미지가 높아지는 건틀릿, 전체적으로 밸런스가 좋은 검, 속도는 검보다 느리지만 데미지가 높아 치고 빠지기 좋은 도끼, 마지막으로 딜레이가 크지만 강력한 한 방을 자랑하는 망치가 있다. 주로 쉬움~어려움 난이도를 고르는 라이트 유저들에게는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다른 무기가 있다는 생각으로 그칠 수 있지만, 매우 어려움 난이도를 고르는 로그라이크 헤비 유저들에게는 무기 수가 너무 적다는 비판을 듣기도 한다. 다른 로그라이크 게임은 무기가 다양한 만큼 매 판마다 새로운 경험으로 플레이할 수 있지만, 종류가 너무 적어 단조로운 몹 패턴과 더불어 경영과 성지 운영에 관심이 없는 순수 로그라이크 플레이어에게는 반복 플레이가 지루하다는 평이 있다.

버그가 너무 많다. 사실 위에 나열된 게임성이나 시스템적인 문제들은 이것에 비하면 사소한 문제다. 정식 출시임에도 온갖 버그가 산재해있으며 그 중에는 게임 진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치명적인 버그들도 많다. 개발사는 빠른 버그 픽스를 약속했지만 여전히 치명적인 버그가 많이 남아서 불만은 쌓여가고 있다.

스위치판의 경우 발적화로 프레임 유지가 안 된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교단 귀환 등 한꺼번에 많은 오브젝트를 불러오는 특정 구간에서는 프레임이 한 자릿수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아트가 귀여운 것에 낚이는 유저들도 상당히 많다. 심하면 동물의 숲 하위 호환이라고 깔 정도.

17. 버그

출시되고 시간이 흘렀음에도 버그가 상당히 빈번하게 발견되고 있다. 게임 진행에 치명적이거나 플레이어에게 피해가 되는 경우가 제법 많아서, 부조리하게 손해를 입었다는 불쾌감을 자주 겪게 된다. 자잘한 버그라도 내버려두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게임 특성상 점점 손해가 누적되기 때문에 게임을 진행하면서 뭔가 위화감이 든다면 모든 것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는 편이 좋다. 대부분의 경우 메뉴를 불러와서 저장 후 게임을 재시작하면 해결된다.

위에 나열된 걸 보면 알겠지만 아무리 너그럽게 봐주려 해도 진행에 상당히 걸리적거리는 건 물론이고 굵은 글씨로 표기된 치명적인 버그[36]들도 많아서 게임성과 상관없이 잦은 버그들 때문에 욕을 먹고 있는 중이다.

18. 2차 창작

디자인상 수많은 퍼리 팬덤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종종 퍼리 자캐나 다른 작품 캐릭터로 컬트에 들어간 이야기 등등도 나오고 있다.

주인공인 어린 양은 주로 광폭화 상태 같이 자신과 동족들을 죽인 옛 신앙에 대한 복수를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복수귀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간혹 동족들을 잃거나 죽을 뻔한 슬픔으로 애정결핍에 걸린 모습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고 흑화 타락했다는 설정으로 무자비하게 성전하는 전쟁광이거나 일에 열중하는 공산주의 국가독재자 같은 이미지로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동인계에서는 혼인 의식 때문에 남자든 여자든 아무나 다 따먹는 남창 혹은 자기가 그러고 다니는 귀축 이미지의 야짤도 많다.

기다리는 자는 본래 모습이든 추종자의 모습이든 가릴 것 없이 나오며, 옛 신앙의 주교들에 의해 봉인당한 탓에 배신당한 충격으로 피해망상에 걸렸거나, 반대로 주교들이 자신을 살려준 은혜가 있고 비슷하게 당했다는 걸 알고 있을지도 모르는 츤데레 같은 성격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어린 양이랑 연인 사이로 엮여서 나오는 경우가 많은 편이나 어린 양의 성격상 종종 추종자의 모습으로 영고라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기다리는 자가 제발 자기를 혼자 두라거나 제발 가라고 해도 어린 양이 계속해서 붙어다니며 애정을 주는 키잡물 라인도 있다.

19. 기타


[1] 최종 보스를 만나기 위한 최소 인원 요구치가 20명이다.[2] 버섯 NPC들을 때리면 비명과 함께 혼비백산하게 돌아다닌다.[3] 살점의 원죄 업데이트 이전에 안내판에 적힌 '7일간 개장'은 오역으로, 딱히 시간 제한은 없다. 영어로 7일이라는 표현은 '주 7일'이라는 뜻으로, 한국어의 '연중무휴'에 대응된다. 업데이트로 '항시 열림'으로 수정되었다.[4] 1회차에는 각 스테이지의 해금을 위해 정해진 수 이상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2회차에는 이에 더해 일정 레벨 이상의 신도 1명을 번제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앞서 나열된 순서대로 해금하게끔 조건이 설계되어 있다.[5] 다만 주교를 잡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이교도의 심장을 통해 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해서 오는 페널티는 감수해야 된다.[6] 보상 2배만 적용될 때도 있고, 대가로 적 처치 시 독 장판이 생성되는 페널티가 추가될 때도 있다.[7] 조건으로는 노 히트, 구르기 사용 금지, 저주 사용 금지의 3가지가 있으며, 중간에 조건 위반이 발생할 경우 방 3개를 클리어해도 라투가 등장하지 않는다.[8] 구르기 거리 반감, 열정 소모량 2배, 붉은 하트를 전부 푸른 하트로 변환, 특수 하트 전부 상실, 적 체력 1.5배, 적 투사체 속도 1.5배, 엘리트 적 등장 확률 2배, 데리고 있던 악마 전부 상실, 해당 시점까지 모은 자원 전부 상실.[9] 연약한 의지의 양털(붉은 하트를 전부 1.5배의 푸른 하트로 바꾸고 성전 시작) 또는 이전에 '붉은 하트를 전부 푸른 하트로 변환' 페널티에 걸림 + '특수 하트 전부 상실' 페널티(푸른 하트 포함) → 즉사.[10] 원래는 별다른 피격 모션 없이 바로 자원이 되었지만 패치를 통해 한 대 때리면 손님들이 절규를 하는 모션이 추가되었다.[11] 해당 던전의 주교를 죽인 이후 석상을 확인하면 붉은 X표로 그어져 있는데, 이때 석상을 부수면 복구되지 않고 대신 웬 포탈이 열리는데, 이 포탈에 들어가면 해당 지역의 주교 보스전을 다시 할 수 있다. 선택 보상은 받지 못하지만 주교전 자체가 상당량의 골드를 주는데다가 무엇보다 주교를 잡으면 그대로 던전이 끝나므로 빠르게 끝내고 싶다면 좋은 선택.[12] 한 번 클리어하면 게임 내 시간으로 하루 후에 열린다. 이미 들어간 상태에서 게임이 저장되기 때문에 실패하거나 중간에 종료하더라도 다음 날 전까지 다시 들어갈 수 없다. 단 죄를 사용하여 쿨타임을 생략하고 바로 열 수 있다.[13] 다만 모아뒀다 한꺼번에 해금하는 건 불가능하다. 던전에서 열정으로 헌신까지 충전하는 특성의 무기를 고른다면 헌신이 엄청나게 쌓여 여러 개 해금할 분량이 모일 수는 있다.[14] 형제지간 관계는 추종자 퀘스트로 구해온 추종자의 형제/자매인 경우와 옛 신앙의 교주들과 기다리는 자를 포함한다.[15] 길에는 사실 숨겨진 능력이 있는데, 바로 길을 설치한 바닥에서는 풀과 나무가 자라지 않는다는 것. 하지만 동시에 바닥에서 나무가 자랄 확률 자체는 동일한 건지, 만약 마을 전체에 길을 도배하고 특정 9칸 정도만 비워두면 그 9칸 내부에서 나무가 모여서 자라난다. 특히 나무는 목재 생산소처럼 지어야 하는 게 아니라 자연적으로 자라고 추종자들이 알아서 베어내기에, 사실상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지속적 나무 공급처로 활용 가능하다.[16] 나무, 돌, 뼈, 동전 등.[17] 보통 난이도 기준. 편재는 난이도에 따라 10%, 15%, 20%, 25% 페널티를, 사망은 15%, 25%, 30%, 50% 페널티를 부여한다. 난이도를 불문하고 왕관 방에서 기도를 한 성전에서 사망 시 0%.[18] 즉 옛 주교 토벌 던전 전부 노 히트로 클리어했다고 50+20+20이 되는 게 아니라 수치가 제일 높은 던전 노 히트 클리어 50%만 가산점으로 제공된다. 동일한 계수를 가진 저 둘 사이에선 옛 주교가 더 우선된다.[19] 맛있는 콜리플라워 차우더(콜리플라워 4개), 맛있는 물고기 음식(연어 3개), 푸짐한 고깃국(고기 2개).[20] 후반으로 가더라도 고기는 추종자가 죽을 확률이 있는 선교로만 대량수급이 가능하며, 연어 또한 희귀 생선 4종 퀘스트를 다 깨고 열리는 어부 상점에서 살 수 있지만 비싸다.[21] 베리는 15%라는 높은 확률로 똥을 싸는데다가 재료도 6개나 요구해서 양산도 뒷수습도 귀찮아서 의도적으로 비료 생산을 촉구시킬 게 아니면 배제되는 식재이며, 호박은 상술했듯 소모되는 자원도 같고 씨앗 상점 기준 가격이 1원밖에 차이 안 나는데 포만감은 확실히 낮으며 부작용은 설사까지 추가로 붙은 명백한 하위 호환이다. 최고 티어 작물인 비트는 비단 요람 해금에 12 신자나 요구하기 때문에 극초반에 열기 비교적 힘들고, 단일 재료로 만들 수 있는 음식이 없고 음식 하나 만드는데 재료를 다 합쳐서 8개, 10개씩 요구하므로 초반엔 막 만들기 힘들다. 충성심을 보고 하기엔 초반엔 쥐꼬리만큼 올려주는 추종자들 충성심보다 몇 개씩 퍼주는 자원 쪽이 훨씬 좋다는 것도 콜리플라워를 가는 이유가 된다.[22] 밀수꾼은 옛 주교 처리가 선행 조건에 그 이상의 난이도를 가진 '증인'을 처리해야 해서 시간이 꽤 걸리고, 미다스는 후술하듯이 추종자를 완전히 넘겨줘야 하고, 애초에 미다스가 발견되는 비단 요람 자체가 최후반 던전이라 난이도도 높고 운이 나쁘면 첫 번째 보스를 잡을 때까지도 발견 못할 가능성도 있다.[23] 피라미를 제외한 대부분의 생선.[24] 금괴만 10개가 들어가며 다른 2티어 재료도 다수 요구한다.[25] 본명은 Narayana Johnson. 2025년 4월 4일 별세.[26] 대신 한 번 차지한 어린 양의 침낭은 절대 무너지지 않으며, 일반 추종자들과 다르게 침낭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쉽게 구분이 된다.[27] 사실 이것은 포스터 구석에 신도 두 명이 서로 진하게 껴안고 있는 것과 알이 그려져 있었고, 정식 추가 전부터 스프라이트가 더미 데이터로 남아있긴 했었다. 하지만 개발 당시 완전한 추가 고려를 전혀 하지 않은 것인지 간략하게 그려만 놓았다. 단 정식으로 추가될 텐트의 외양은 본래 MatingTent보단 HippyTent에 가까운 외양을 가지고 있다.[28] 다만 몇몇 교리는 의도적으로 비효율적으로 설정되었다고 볼 여지도 존재하는데, 대부분 효율이 떨어지는 교리는 인도적이거나 신도를 위한 설명이 붙어있다. 즉, 신도를 자원으로 보라는 기다리는 자의 말과 달리 인도적인 방향을 선택한 대가로 볼 수 있다.[29] 다만 모든 요소가 자동화가 되면 교단으로 돌아와서 신도를 돌봐주는 특유의 경영 요소가 희미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다.[30] 개발자 추천 난이도가 대놓고 보통이며, "죽고 싶은 플레이를 위한 난이도"라고 적혀 있는 매우 어려움도 사실 아이작의 번제, 데드 셀즈, 던그리드 같은 다른 로그라이크에 비해 갑자기 엔터 더 건전 같은 탄막 로그라이크로 장르를 바꾸는 칼라마르를 제외하면 그리 어렵지 않다.[31] 물론 코인과 여러 자원을 주지만 체력이 워낙 많아지기 때문에 피로감에 비해서 다시 도전할 필요성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32] 흰 개의 모습으로 나온다.[33] 던전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면 플레이어는 엄청난 손해를 보게 된다. 던전에서 시간을 많이 보낼수록 추종자들은 굶주리고 위생이 나빠져서 질병에 걸릴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당연히 시간을 오래 끌수록 신앙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34] 당장 던전 플레이의 핵심인 체력도 어디서는 '하트', 어디서는 '심장'이라고 번역되어 있다.[35] 맵이 바뀌는 메커니즘이 먹통이 되는 모양이다.[36] 플레이 재실행으로 초기화해서 해결할 수 있는 버그들은 귀찮을 뿐이지만 초기화하기 전까지 진행에 굉장히 손해를 끼치는 버그도 있으며 몇몇은 진행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