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10:53

철인왕후(드라마)/설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철인왕후(드라마)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철인왕후 로고.png파일:철인왕후 로고.png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3%"{{{#!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8%"


1. 개요2. 내용
2.1. 시간적 배경2.2. 공간적 배경2.3. 실제 역사와 다른 설정2.4. 바뀐 역사2.5. 여담

1. 개요

tvN 토일 드라마 <철인왕후>의 극중 설정을 다루는 문서.

2. 내용

2.1. 시간적 배경

<rowcolor=#0E0F23,#BBBBBB> 1851년 6월 ~ 12월
(함풍 2년 / 咸豊 二年)[오류]
● 5화에서 김병인을 판의금부사에 임명할 때 나온 교지에 '10월 4일'로 표기된다.
● 15화에서 늦가을 풍경 즈음 되었을 때 좌의정 민우진[2]을 임명한 교지에 '11월 12일'로 표기된다. 그리고 16화(다음날) 삼정이정청을 설치하면서 판총재관에 영평군 이경응을 임명하는데, 그 교지에 '11월 13일'로 나온다.
● 촬영시기와 극중 시기가 엇비슷하게 흘러가는 걸로 봤을 때 극중 배경은 '1851년 6월부터 12월'까지이다. 다만 극중 본격적으로 철종과 안송 김씨, 풍안 조씨 사이의 다툼이 벌어지는 건 '10월부터 12월까지'이며, 이 드라마는 그 시기에 특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

2.2. 공간적 배경

조선
한성부
<colbgcolor=#0E0F23,#010101> 한양도성
(漢陽都城)
<colbgcolor=#EAEAEA,#343434> 의금부
(義禁府)
사법기관. 판의금부사 김병인.
훈련도감
(訓鍊都監)
정규군. 대장(大將) 김좌근.
금위영
(禁衛營)
정규군. 대장(大將) 영평군 이경응.
어영청
(御營廳)
정규군. 무예별감 홍두일이 무예교련관으로 근무 중이다.
김문근의 사저 김소용의 본가.
● 우물: 8년 전 어린 김소용과 어린 이원범이 함께 숨었던 곳.
● 정자: 철종김병인이 주량 대결을 펼치는 곳.
김좌근의 사저 김병인의 본가.
만물상 최 상궁요술경을 구입한 곳.
옥타정
(玉打亭)
김소용이 이생망으로서 들른 기생집.[3]
창덕궁
(昌德宮)
희정전
(熙政殿)
편전(便殿). 철종의 처소.
대조전
(大造殿)
김소용의 처소.
선정전
(宣政殿)
편전(便殿). 철종의 집무공간.
인정전
(仁政殿)
정전(正殿). 조회가 열리는 곳.
선원전
(璿源殿)
역대 왕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 신정왕후의 아지트.
수랏간 만복의 직장 겸 숙소. 소용이의 아지트.
사복시
(司僕寺)
김소용이 만든 궁중 배달전문 서비스 '배달의 후예'[4]의 본거지.
창경궁
(昌慶宮)
통명전
(通明殿)
순원왕후신정왕후의 처소.[5]
춘당지
(春塘池)
김소용이 뛰어든 연못. "괜히 왔다 간다 - 장봉환" 글귀가 새겨진 바위가 있다.[6]
● 와룡정(臥龍亭)[7]: 춘당지에 있는 정자. 김소용이 뛰어든 연못 바로 앞이다.
● 만월정(滿月亭)[8]: 춘당지에 있는 정자. 장봉환이 깃든 김소용철종을 처음 만난 곳.
경기도 남부
충청도 목천현

2.3. 실제 역사와 다른 설정

이 드라마에서 설정된 내용과 실제 역사와 다른 부분은 아래와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5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4. 바뀐 역사

제25대 철조실록
1. 강화도령 이원범 475
2. 세도정권 아래 이뤄진 철조의 친정 479
3. 60년간 지속된 안송 김씨의 세도정권 480
4. 철조의 가족 482
철인왕후 김씨
5. 삼정의 문란과 민란의 발생 페이지 미상
(중략)[9]
조선의 승리[10]
9. 입헌군주제 대한제국의 탄생 512

제26대 고종실록[11]
1. 고종의 가족 514
명성황후 민씨[12]영왕 이은의왕 이강
2. 왕권과 의회 512[13]
홍인권 내각[14] | 권력 분립
(후략)[15]
- 20화에 등장한 《조선왕조실록》의 목차 中
제25대 철조실록
조선의 제25대 왕 철조(1831~1863년)는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정조의 이복동생 은언군의 손자로 1844년 가족과 함께 강화에 유배되었다가 1849년 궁중에 들어와 헌종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1849년 7월 28일(음력 6월 9일)~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 14년 6개월간 재위) 1852년부터 친정을 시작했으나 OO에 어둡고 외척인 안송 김씨 일파의 전횡으로 삼정의 문란이 극에 달했다. 하지만 철인왕후의 활약으로 국정이 안정되었다. 이후 철조는 민심을 얻은 성군으로 평가받았다.
- 20화에 등장한 《조선왕조실록》의 '철조실록' 편의 책갈피 소개문 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1
, 2.3.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내명부 규칙
십팔세 이상 내명부 여인들의 혼인을 허한다
십세이하의 나인들을 내명부에 들이는 것을 금한다
- 20화에서 김소용이 새로 만든 내명부 규칙 : 최상궁이 대필

2.5. 여담


[오류] 극중 15화, 16화의 조회 중 나오는 교지에 '함풍 2년'으로 나온다. 다만 실제 역사에 근거하여 보면 '함풍 원년(咸豊 元年)'이어야 맞다. 한편 이는 대외적으로, 그리고 공식적으로 사대의 예에 따라 연호를 사용했기 때문이고, 우리 내부 기록의 '철종 재위 2년(哲宗 在位 二年)'과 같다. (함풍 원년 = 철종 재위 2년)[2] 숙의 민자현의 아버지[3] 2회에서 김환의 설명에 따르면 '기생들의 목소리가 옥구슬을 치는 것 같다'며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4] 소용이가 아이디어를 낸 '식가마'를 주 배달도구로 이용한다. 라이더는 '식가마꾼'으로 불린다.[5] 순원왕후와 신정왕후가 각각 역모사건과 중전에 대한 음해사건으로 서궁으로 유폐된다고 나오는데, 여기서 '서궁(西宮)'은 경운궁(慶運宮)이다.[6] 촬영지였던 부여 궁남지에 있던 것으로, 촬영 이후 해당 소품은 치워졌다.[7] 창경궁에는 이런 정자가 확인되지 않는다. 촬영지는 부여 궁남지의 포룡정(抱龍亭).[8] 마찬가지로 창경궁에는 이런 정자가 확인되지 않는다. 촬영지는 남원 광한루원의 완월정(玩月亭).[9] 6.부터 8.까지는 화면에서 드러나지 않는다.[10] 8.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내용인데 '조선의 승리'라는 제목으로 추론컨대, 외세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으로 보이며 대한제국이 탄생했다는 것을 보면 청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칭제건원과 배상금을 통한 근대화를 준비를 한듯 하다. 대체역사물에서 자주 보이는 패턴.[11] 가족관계가 흥선대원군을 제외하면 실제 대한제국 고종과 동일하다. 김소용의 자녀가 즉위했을 지 우리가 알던 고종이 즉위했을 지는 시청자들의 상상에 맡긴 결말이다.[12] 드라마에서는 명성왕후라고 나오는데, 명성왕후는 현종의 왕비이며 200년전 사람이다. 드라마에서 잘못 표기한 것이다.[13] 극중 '512페이지'로 표기되어 나온다. 이는 오기이다. 왕권이라는 소제목도 황권으로 표기되어야 맞는 표기.[14] 숙의 홍씨(홍심향)의 집안인 남양 홍씨 가문 사람이거나 홍 별감 가문 사람일 가능성이 있다.[15] 장봉환의 손에 가려져서 내용이 보이질 않는다.[16] 극중에서도 대왕대비가 요리의 비결을 묻자 프랑스 요리라고 하지 않고 그냥 영감이 떠올랐다고 답변하는데, 서구에 대한 경계가 강한 것을 의식해서 한 표현이다.[17] 물론 소용이 선을 넘을 때마다, 최 상궁나 상선 등 신하들의 놀란 표정이나 행동을 통해 조선시대에는 감히 상상도 못할 행위임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