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 (茶)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종류 | <colbgcolor=#b5be83>녹차 | 우전차 · 세작 · 호지 · 아타이 |
청차 | 우롱차 | ||
홍차 | 다즐링 · 밀크티 · 버블티 · 아삼 · 일월담 · 짜이 · 차옌 · 차이 (리제) | ||
흑차 | 보이차 · 청태전 | ||
백차 | 백차 | ||
탄산발효 | 콤부차 | ||
제조 | 제법 | 말차 · 엽차 | |
다구 | 다관 (사모바르 · 자사호 · 탕관) · 찻잔 (개완 · 다완) · 스트레이너 · 티백 | ||
차 문화 | 다과 · 다과회 · 다례 · 다방 · 티타임 | ||
대용차 | |||
<colbgcolor=#e3e6d0><colcolor=#5f6732>ㄱ | <colcolor=#000,#fff>가지차 · 감잎차 · 감초차 · 강죽차 · 개암차 · 결명자차 · 계지차 · 계화차 · 고삼차 · 곽향차 · 구기자차 · 국화차 · 귤피차 · 귤화차 · 길경차 · 꿀물 | ||
ㄴ~ㄷ | 냉이차 · 냉차 · 노각차 · 녹두차 · 누룽지차 · 당귀차 · 당근차 · 대나무차 · 대추차 · 대파차 · 더덕차 · 도화차 · 돌배차 · 동백차 · 동아차 · 돼지감자차 · 두충차 · 두향차 · 둥굴레차 · 들깨차 · 딸기차 · 땅콩차 | ||
ㄹ~ㅂ | 레몬차 · 루이보스차 · 마늘차 · 마름차 · 매실차 · 매화차 · 머위차 · 메밀차 · 모과차 · 목련차 · 목향차 · 무잎차 · 민들레차 · 방풍차 · 버섯차 · 벚꽃차 · 보리차 · 복령차 · 복숭아차 · 비트차 · 비파차 | ||
ㅅ | 사과차 · 산약차 · 삽주차 · 상지차 · 새삼차 · 생강차 · 석류차 · 설차 · 소태차 · 속단차 · 솔잎차 · 송담차 · 송화차 · 수박차 · 수수차 · 수유차 · 시호차 · 쌍화차 · 쑥차 | ||
ㅇ | 아욱차 · 앵두차 · 양파차 · 여주차 · 연근차 · 연잎차 · 영지차 · 예르바 마떼 · 오디차 · 오미자차 · 오이차 · 옥수수수염차 · 옥수수차 · 와송차 · 우슬차 · 우엉차 · 울금차 · 원지차 · 유자차 · 율무차 · 으름차 · 은행차 · 인동차 · 인삼차 · 잇꽃차 | ||
ㅈ~ㅊ | 자두차 · 자몽차 · 자색옥수수차 · 자소차 · 작두콩차 · 작약차 · 잔대차 · 장미차 · 재스민차 · 지황차 · 참깨차 · 참외차 · 창포차 · 치자차 · 치커리차 | ||
ㅌ~ㅎ | 탱자차 · 토란차 · 파인애플차 · 팥차 · 포도차 · 한라봉차 · 해바라기차 · 허브차 · 헛개나무차 · 현미차 · 형개차 · 호두차 · 호박차 · 홍삼차 · 황기차 · 후박차 · 후추차 · 히비스커스차 | }}}}}}}}} |
菖蒲茶
1. 개요
창포 뿌리를 우려낸 차.2. 설명
창포와 동속 이종인 석장포 뿌리를 우려내서 석장포차라고도 불린다.[1] 음력 5월 5일인 단오에 창포물로 머리도 감기도 하지만 창포뿌리를 이용해 차로도 마신다. 단옷날마다 연례행사로 창포물에 머리감기와 창포차 시음이 주 이벤트. 또한 중국에서도 단옷날을 약차절(藥茶節)이라 명명하여 창포차를 마시는 풍습이 있다심정을 진정시켜 집중력을 잘 하게 도움이 되며, 정신을 맑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수험생이 마시기에 좋다. 또한 따뜻한 성질과 매운맛을 가지고도 있어 입맛을 돋우거나 수족냉증에 도움이 된다.
창포차를 만들기 위해선 창포 1.5g, 매실과 대추 각 2개 물 2리터, 꿀 약간이 필요하다. 창포의 뿌리를 잘게 썬 후 주전자에 물과 함께 붓는다. 약한 불로 서서히 달이는 것이 좋다. 취향에 따라서 꿀과 조청을 넣으면 좋다. 물대신 복용해도 좋고 하루 3번 복용하면 좋다.
향이 좋고 쌉쌀한 맛이 일품이라 처음 차를 접하는 분들도 거리낌 없이 마시기에 좋다.
[1] 동의보감에 쓰인 창포는 약재 명으로는 창포나 석창포 또는 수창포를 구분하지 않고 ‘창포’로 통일하고 있다. 창포차와 창포와 동일이종인 속장포차 두 가지를 같이 표현하는 것보다는 동의보감처럼 이들을 모두 포괄하는 ‘창포차’ 라는 표제어로 나무위키 문서명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