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 |
대중교통 차량 | 마인버스 차량 |
1. 개요
창원시의 급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0.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동(덕동공영차고지)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용원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39 | 기점행 | 첫차 | 06:03 |
막차 | 21:56 | 막차 | 22:45 | ||
배차간격 | 64~65분(1일 16회) | ||||
운수사명 | 대운교통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덕동공영차고지 - 현동초등학교 - 월영아파트종점 - (→ 경남대학교 → 남부터미널 →/← 경남대·남부터미널종점 ←) - 마산합포구청·의료원 - 어시장 - 자유무역지역정문 - 신세계백화점 마산점 - 봉암동 - 유신상가 - 양곡상가 - 장복터널 - 경화역 - 롯데마트 진해점 - 덕산해군아파트 - 진해구청·장전주유소 - 어은동 - 웅천동 - 웅동농협앞 - 해인로즈빌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용원종점 |
3. 역사
- 2012년 7월 1일 낮은 운송 수익금을 이유로 창원시내버스협의회에서 갑작스럽게 불법 운행 중단에 돌입했다. 창원시에서는 운수업체와 수차례 상생방안을 협의 했으나, 운송업체는 노선 폐지만을 주장하여 빠른시일내에 원만한 협의 도출로 재운행하겠다고 밝혔다.창원시 공지사항
- 2014년 11월 21일 운수업체의 덕동공영차고지 이전으로, 기점이 경남대학교에서 덕동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따라서 배차간격도 40분에서 50분으로 늘어났고 운행횟수도 25.5회에서 22회로 줄어들었다. 다만 마산발 막차는 22시 36분에서 52분으로 늘었고 실질적으로 운행거리가 늘어나 월영아파트발 막차는 36분에서 23시 2분으로 늘어난 셈이 되었다. 창원시 공지사항
용원종점 연장 당시 개통식 |
- 2016년 2월 12일 노선 조정으로 진해구 용원지역 ~ 마산합포구 경남대 방면 직행노선 신설 건의와 관련하여 확대운영 타당성 분석을 위해 6개월간 시범운영으로 종점이 장천동에서 용원으로 연장되었다.창원시 공지사항
- 용원으로 연장하던 날에 진해구청장 및 지역구 국회의원, 도의원, 시의원 및 용원지역 시민단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개통식을 가졌다. 관련 기사 시승 후 부림시장과 어시장도 탐방했다.
- 확대 운영 구간인 웅천동, 웅동1•2동 정차 정류장은 757번과 동일하다.
- 2016년 5월 27일 용원에서 마산방면 출퇴근 불편사항 해소를 위해 7시 30분 출발 차량이 7시 15분 출발로 앞당겨졌다. 창원시 공지사항
- 2018년 3월 2일 용원 및 신항지역 근로자 출근 시간대 편의 제공을 위해 덕동발 첫차가 5시 49분에서 5시 39분으로 조정되었다. 용원 첫차는 기존과 동일하다. 창원시 공지사항
- 2023년 6월 10일 시내버스 전면개편으로 폐선되고, 용원 - 마산 대체노선으로 같은 날 폐선된 762번과 통합하여 3002번이 신설되었다.
4. 특징
일명 공기수송 급행좌석 버스이다.[1]
- 이 노선이 신설되면서 2009년 760번의 마산역 단축 이후 전무했던 마산합포구-진해 간 좌석노선이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 용원으로 연장된 후 757번을 제치고 창원시 좌석버스 중 최장거리노선이 되었다.[2] 왕복 90.8km로써 한 번 왕복하는 데 무려 3시간 10분정도 걸린다고 한다. (시내버스 중 최장거리 노선은 읍면노선인 41번(왕복 94.6km)이다.) 하지만 757번이 용원에서 신항까지 연장된 이후 91.1km가 되면서 그 757번이 제일 길어졌으나, 얼마 뒤에 기점이 창원대학교로 변경되어 왕복 87km로 단축되면서 다시 창원시 좌석버스 중 가장 긴 노선이 되었다.[3]
- 진해 구간에서 164번과 함께 여좌고가로를 통해 바로 경화동으로 가며 경유지도 용원 연장 전까지는 장천동 일부를 제외하고 경유지도 완전히 똑같았다.[4] 장천동 일부가 다르다고 해도 장천동은 진해 끝자락이라 진해가는 사람들한테는 164번이랑 별반 차이가 없었다.[5]
- 창원시에서 유일하게 전 차량 고급좌석버스로 운행하는 노선이었다.[6] 따라서 고급좌석버스를 소유하고 있는 6개 회사만 배차에 참여했다. 그러다 2021년 책임배차제 도입 후로 대운교통이 담당하게 되면서 1대빼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으로 운행했었다.
- 이 노선과 부산 강서구 9-1번 버스를 이용하면[9] 마산과 하단을 저렴하게 오갈 수 있으며 경제자유구역청에서 환승 후 1011번 연선상에 있는 곳으로 가도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출발지가 봉암동이나 신세계백화점 인근이고 목적지가 하단역 근처거나 감천, 영도구, 용당 등지라면 한 번 이용해보는 것이 어떨까?[10]
- 창원 구간은 유신상가 및 양곡상가 단 2곳만 정차를 한다. 즉, 양곡상가 다음 정류소는 유신상가 또는 경화동이다. 양곡상가 - 경화동 구간은 급행답게 스피드를 내는 빈도가 꽤 많다.
일명, 800번 뺨치는 구간.[11]
- 반면 진해 구간에서는 급행답지 못한데 경화동~롯데마트 구간은 연속 5개 정류장을 정차하고 해인로즈빌~용원초등학교 구간은 연속 9개 정류장을 정차한다.
- 용원, 웅동 주민들이 창원 NC 파크를 갈 때에 최적인 버스이다. 신세계백화점 정류소에 내려 창원 NC 파크 야구장까지 도보 10분 정도 소요. 다만 배차가 매우 길어 시간표를 참고해야 한다. 버스 개편이후는 마산고속버스터미널에서 하차하여 도보 10분정도면 된다.
4.1. 시간표
창원 버스 860번 운행시간표 2022년 5월 1일 기준 / 출처 | |||||||||
횟수 | 덕동공영차고지 | 용원종점 | |||||||
1 | 05:39 | 06:03 | |||||||
2 | 06:53 | 07:15 | |||||||
3 | 07:58 | 08:46 | |||||||
4 | 09:02 | 09:51 | |||||||
5 | 10:07 | 10:55 | |||||||
6 | 11:11 | 12:00 | |||||||
7 | 12:16 | 13:04 | |||||||
8 | 13:20 | 14:09 | |||||||
9 | 14:25 | 15:13 | |||||||
10 | 15:29 | 16:18 | |||||||
11 | 16:34 | 17:22 | |||||||
12 | 17:38 | 18:27 | |||||||
13 | 18:43 | 19:31 | |||||||
14 | 19:47 | 20:36 | |||||||
15 | 20:52 | 21:40 | |||||||
16 | 21:56 | 22:45 |
4.2.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용원동로 | |
용원초등학교 ▼ | ▲ 용원종점(회차) | |
용원로 | 용원남로 | |
▲ | ||
용원로 | ||
▼ | ▲ 웅동농협하나로마트 | |
안골로 | ||
안청초등학교 ▼ | ▲ | |
안청남로 | ||
부영3차아파트 ▼ | ▲ 안청초등학교 | |
안청북로 | ||
해인로즈빌아파트 ▼ | ▲ 부영2차아파트 | |
안청로 | ||
▼ | ▲ 해인로즈빌아파트 | |
진해대로 | ||
용원휴요양병원 ▼ | ▲ | |
남의로 | ||
의곡마을 ▼ | ▲ 용원휴요양병원 | |
웅동로 | ||
마천공단입구 ▼ | ▲ 웅동농협앞 | |
남영로 | ||
STX아파트 ▼ | ▲ 마천공단입구 | |
월남로 | ||
호산나노인복지센터 ▼ | ▲ STX아파트 | |
웅천로 | ||
어은동 ▼ | ▲ 천자봉공원묘원 | |
어은로 | ||
STX조선입구 ▼ | ▲ 어은동 | |
진해대로 | ||
▼ | ▲ 경화동 | |
봉양로 | ||
양곡상가 ▼ | ▲ | |
신촌로 | ||
봉암교 ▼ | ▲ 유신상가 | |
봉양로 | ||
신세계백화점 ▼ | ▲ 자유무역지역후문 | |
합포로 | ||
마산합포구청.의료원 ▼ | ▲ 어시장 | |
3.15대로 | ||
경남대남부터미널종점 ▼ | ▲ 연세병원 | |
가포로 | 해안대로 | |
▲ 경남대학교 | ||
월영동서로 | ||
▲ 남부터미널 | ||
가포로 | ||
월영아파트종점 ▼ | ▲ | |
월영남로 | ||
▼ | ▲ 월영아파트종점 | |
가포로 | ||
▼ | ▲ | |
예월로 | ||
▼ | ▲ | |
밤밭고개로 | ||
시립마산요양병원 ▼ | ▲ | |
현동로 |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경화역(여객업무 미실시)
==#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급행 | 3002 | 3006 | ||
<colbgcolor=#5fbf15> 지선 | 305 | 315 | 325[b] | ||
마을 | 352[b] | 353 | |||
부산 급행 | 1009[a] | ||||
부산 좌석 | 58-1 | ||||
부산 마을 | 강서1[a] | 강서1-1[a] | 강서9-1[ab] | ||
[a] 청안동 미경유 노선 |
[1] 이유는 들쭉날쭉한 배차간격 때문이다. 최소 1시간이 넘어가는 배차이다. 게다가 실질적으로는 부산 1011번 노선과 조합되면 부산, 특히 해운대로 가는 루트와 경합되어 (진짜 이유는 해운대 - 마산남부 노선이 다니는 동서고가로와 황령터널 정체 때문이다) 시외버스와의 알력 등으로 인해 함부로 증차하지 못하고 있다.[2] 네이버 지도 기준 757번 편도거리 약 44km, 860번 약 45km[3] 만일 가덕도신공항이 개항되어 가덕신공항발 창원행 교통편 확충 등을 이유로 757번과 860번 중 하나 혹은 모두가 가덕도로 연장될 경우, 왕복 100km가 넘어가버린다.[4] 164번은 신광아파트를 860번은 장천대동다숲아파트를 각각 경유한다.[5] 만약 164번이 여좌고가로를 타지 않고 중앙시장과 태백동으로 돌아서 가고 급행인 이 노선만 여좌고가교를 통해 이동했다면 시간적 메리트가 컸겠지만, 164번도 여좌고가교를 통해 가기에 시간적 메리트도 크지 않고 거의 164번의 바이패스 역할만 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수요는 별로 없었다.[6] 창원에서 801번과 함께 고급좌석이 고정으로 투입되는 노선이었다. 801번은 7대중 3대가 고급좌석.[7] 대중교통 소속 차량이었다. 하지만 2021년 4월에 대차되어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이 운행한다.[8] 시립마산요양병원, 현동중흥1차아파트, 현동초등학교[9] 용원종점에서 환승. 하단방향은 바로 그 자리에서 환승 가능하며 덕동방향은 길을 건너야 한다.[10] 환승 혜택은 없지만 교통카드 기준으로 1,750+1,160=2,910원이기 때문에 시외버스보다도 싸다. 현금으로 타도 600원 저렴하다(마산-사상 3,500원). 그리고 출발지에서 출발지역 터미널까지, 도착지역 터미널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시내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돈이 2,400원 가량 더 드는 셈이니 실제 교통비 절감효과는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거기에 비록 진해대로 경유이기는 하지만 남해고속도로 정체와 사상 ~ 하단 구간의 굴곡을 생각한다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으며 최종 도착지가 감천, 영도구일 경우 부산 버스 55, 부산 버스 58-2나 부산 버스 520을 타고 경제자유구역청에서 부산 버스 1011으로 환승하면 용원에서 영도까지 1시간 정도만에 간다. 해운대 방면도 시외버스가 이용하는 동서고가로나 황령터널에 사고 났다는 소식이 들리면 월영동에서부터 바로 이 루트로 가는 것이 나으며, 단순 정체라도 출발지가 봉암동, 신세계, 마산고속버스터미널 근처라면 이 루트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11] 양곡상가 - 경화동 구간 사이의 거리는 약 7.7km으로 창원 시내버스 중 정류장 사이의 간격이 제일 길었다. 지금은 3000번대 신설로 정류장 사이가 10km가 넘는 노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