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00:27:06

짐바브웨 달러

로디지아 달러에서 넘어옴
남아프리카의 통화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나미비아 달러 레소토 로티 에스와티니 릴랑게니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앙골라 콴자 보츠와나 풀라 잠비아 콰차 짐바브웨 골드
(짐바브웨 달러)
파일:세인트헬레나 기.svg 파일:어센션 섬 기.svg 파일:트리스탄다쿠냐 기.svg
세인트헬레나 파운드
(세인트헬레나, 어센션섬)파일:영국 원형.png
영국 파운드
(트리스탄다쿠냐파일:영국 원형.png)

1. 개요2. 초인플레이션3. 역사
3.1. 1기 (1980~2006)3.2. 2기 (2006~2008)3.3. 3기 (2008~2009)3.4. 4기 (2009~2015)
3.4.1. 이후 행적
3.5. RTGS 달러(2019~2024)
4. 금 본위제 도입과 짐바브웨 골드로 전환5. 기타

1. 개요

짐바브웨 달러(Zimbabwean Dollar)는 짐바브웨의 옛 통화로, 국제적으로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던 짐바브웨를 (주로 경제학에서) 악명 높은 나라로 만들어 준 화폐이기도 하다.

후술할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2015년 폐지되었다가 2019년에 재도입되었으나, 2024년 짐바브웨 골드로 전환되며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2. 초인플레이션

국내외 주요 경제 · 금융 위기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공황|1929 ~ 1940년대
대공황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침체|2008 ~ 2010년대
대침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봉쇄|2020 ~ 2023
대봉쇄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colcolor=#000,#ddd> 금융 | 경제 | 제2차 세계 대전
대침체가 정확히 언제 끝났는지는 경제학자나 역사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 시대별 금융 위기 ]
||<tablewidth=100%><width=13%><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20세기 이전
(연준 이전) ||<tablecolor=#000000,#dddddd>네덜란드 튤립 투기 파동(1636) · 미시시피회사 거품 사태(1718) · 남해회사 거품 사태(1720) · 1792년 공황(1792)· 1819년 공황(1819) · 1837년 공황(1837) · 1857년 공황(1857) · 검은 금요일(1869) · 당백전(1866) · 장기불황(1873-1896) · 1907년 은행 패닉(1907) ||
20세기
(연준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초인플레이션(1919) · 쇼와 금융 공황(1927) · 1929년 월가 대폭락(1929) · 대공황(1929-1939) · 금 해금·쇼와 대공황(1930) · 닉슨 쇼크(금본위제 폐지)(1971) · 석유 파동(1973-1979) · 검은 월요일(1987) · 일본 거품경제 붕괴(1991) · 닷컴 버블(1995-2000) ·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1997-2001) · 1997년 외환 위기(1997-2001) · 1998년 러시아 금융위기(1998)
2000년대 2002년 가계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2002)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2008) · 대침체(2008) ·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2008) · 그리스 경제위기(2008)
2010년대 베네수엘라 초인플레이션과 경제위기(2014) · 2014 브라질 경제위기(2014-2017) · 2015-2016년 중국 증시 폭락(2015-) · 브렉시트 증시 폭락(2016) · 튀르키예 리라화 폭락(2018-) · 아르헨티나 통화 위기(2018-) · 레바논 경제 위기(2019-)
2020년대 대봉쇄(2020) · 2020년 주가 대폭락(2020)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2021) · 2022년 러시아 경제위기(2022)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2022) · 코로나 버블(2022) ·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2022-2023) · 레고랜드 사태(2022) · 흥국생명 채권사태(2022) ·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2023) · 2023년 은행 위기(2023) ·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2023) · 홍콩 ELS 사태(2024)
}}}}}} ||
짐바브웨 정부에서는 2008년 1월부터 7월까지 초인플레이션율이 3억 %라는 자체 발표를 내놨지만, 이것도 줄이고 줄여서 내놓은 발표라는 게 대다수이다. 예를 들어 경제지인 포브스(Forbes) 아시아판에서는 6.5×10108% = 6억 5000만 구골% = 0.00065 긍갈라%[1]라는 발표를 내놓았었다.#

살면서 마주할 일 없을 단위를 남아프리카의 한 나라에서 목격하게 되는 순간으로,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2] 포브스 아시아판에서 나온 공식 기사는 2011년 포브스 홈페이지 개편으로 삭제되었지만 여러 사이트들에서 인용된 자료가 여전히 남아있다.#, #, #

이 인플레이션율에 따르면 평균 물가 상승률이 매일 96.1725% 정도 오른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3] 실제로 이 시기에는 가격표를 하루에 최소 두 번꼴로 바꿨다고 한다.[4] 골프 라운드 한 번 돌고 나면 음료숫값이 50%가 올랐다는 식. 하지만 본격적인 초인플레이션은 2004년이 아닌 2006년부터 시작되었고, 아무리 짐바브웨라 할지라도 포브스 아시아판의 수치는 너무 큰 감이 확실히 있으니 이 점들을 감안하고 판단하자.
연도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상승률(%) 7 14 15 19 10 10 15 10 7.3 14
연도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상승률 17 48 40 20 25 28 16 20 48 56.9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7
상승률 55.22 112.1 198.93 598.75 132.75 585.84 1281.11 66212.3 231150888.87
연도 2008.8 2008.9 2008.11
상승률 471,000,000,000
4710억, 0이 9개 (4.71×1011)
3,840,000,000,000,000,000
384경, 0이 16개 (3.84×1018)
89,700,000,000,000,000,000,000
897해, 0이 20개 (8.97×1022)

위 표에서도 보이듯, 2000년도부터 심상치 않았던 인플레는 2006년 수표형 화폐(하단 ZWN 시리즈 참고)가 도입됨에 따라 기괴할 정도로 심해지더니 2008년 8월 개혁때는 극도로 최악 수준까지 치달아 완전히 정신줄을 놓게 했다.

파일:20160402_AMC857.png

무한한 공간 저 너머 수직으로! 2016년 당시 막장의 조짐이 보이던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추이와 비교한 이코노미스트의 추산. 2008년 11월까지만 반영되었다. 2008년 11월 까지만 해도 이미 7.3×1022% 폭등했다고 나온다. 기사 계속 위에도 나오지만 2008년 11월부터 2009년 4월까지의 인플레이션은 추산에서 빠졌다. 포브스는 인플레가 극악으로 치달아 더 이상 대책이 없던 2008년 11월~2009년 4월 이 시기의 추산까지 해서 6억 5,000만 구골%라고 한 것이다.

우습게도 화폐 개혁을 시도하면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것보다도 못한 격으로 심하게 물가가 오르기만 했다. 이런 상황이면 상식적으로 돈이 썩어나는 게 정상이겠지만, 사실은 오히려 화폐 부족이 만성이었다. 그 이유는 정부가 모든 이들의 화폐를 은행에 예치하도록 조치한 후 하루에 딱 1억 달러만 뽑을 수 있게 해놨기 때문. 물가 상승률을 보면 알겠지만 돈 뽑으러 은행에 갔다가 돌아오면 돈이 다 떨어진다고 한다. 이 덕분에 2009 이그노벨상 수학 부분 수상. 후술하겠지만, 총 세 번에 걸쳐 화폐 개혁을 감행했었다.

고로 지금의 1 Z$는 예전의 1조×100억×1000(=1025,10자()) Z$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조 달러짜리 지폐를 발행해야 할 정도로 통화 가치를 상실하게 되자 2009년 초 짐바브웨 정부는 GG를 치고 화폐를 마지막으로 디노미네이션 한 후 자기 나라 화폐를 포기해 버렸다. 그래서 짐바브웨에선 암시장 화폐로 통용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화와 미국 달러가 공식 화폐가 되어 버린 상태. 어쨌든 덕분에 한때는 물가가 어느 정도 안정됐다고. 그런데 이마저도 여의치 않자 이젠 갖가지 통화들도 도입하고 있다.. 게다가 유통,환율이 다른 통화를 너무 많이 허용해서 혼란만 가중시켰다. 즉 짐바브웨의 경제 혼란은 정부의(권력자들의) 정책이 가져온 결과로 정부가 일하면 일할수록 시장에 혼란이 오고 물가가 치솟는 악순환을 가져왔다.

3. 역사

3.1. 1기 (1980~2006)

1980년 기존의 로디지아 달러를 대신하여 페그제로 도입되었으며 1:1 비율로 교환해 주었다. 도입 당시 환율은 미국 1달러에 0.6788 짐바브웨 달러이며 ISO 4217 코드는 ZWD.
1980~1994 도안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01.jpg $2 호랑이 고기, 카리바 댐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02.jpg $5 곡식 찧는 여성들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03.jpg $10 자유의 불꽃 기념비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04.jpg $20 아프리카코끼리, 빅토리아 폭포

하지만 90년대 초부터 막장의 길을 걸어갔는데, 덕분에 1994년의 교환 비율은 1:6.82까지 치솟았으며, 이듬해 95년에는 8.26달러, 96년 9.13달러, 97년 10.50달러, 98년에는 18달러, 그리고 99년에는 36.23달러를 기록하였고, 대망의 2000년에는 55달러까지 치솟아 버리는 무시무시한 기록을 세웠다. 불과 20년 사이에 돈값이 거의 100배나 떨어져 버린 것이다. 더군다나 이거 암시장도 아닌 공식 환율이다.

2000년 이후로는 정부가 잠깐씩 손을 보는 것 외에는 환율 계산에 손을 놓았고, 이때부터 암시장 환전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졌었다.
1994~2004 도안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11.jpg $5 다랑논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12.jpg $10 칠로조 절벽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13.jpg $20 빅토리아 폭포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14.jpg $50 그레이트 짐바브웨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15.jpg $100 카리바 댐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16.jpg $500 황게 화력 발전소
파일:attachment/짐바브웨 달러/zimdollar17.jpg $1,000 아프리카코끼리

2004~5년경부터는 무한히 치솟는 물가를 실물 화폐가 따라잡지 못하자, 조폐소에서 얌전히 대기 타던 지폐 용지에 수표를 급조해 마구 찍어내기까지 이르렀다. 그때 발행된 지폐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액면이 5천 달러인데도 희미하게 50달러라고 찍힌 부분을 발견할 수 있기도 하다. 이를 긴급 발행권이라 한다.

3.2. 2기 (2006~2008)

파일:ONE HUNDRED BILLION DOLLARS.jpg
이것이 바로 그 두 번째로 유명한 1천억 달러 지폐. 당시 1천억 달러로 살 수 있는 건 달랑 계란 3개였다.[5]

2006년 8월 1일 도입되었으며 ISO 4217 코드는 ZWN, 교환 비율은 1:1,000.

당시 환율은 공식 250달러, 시장 600달러였다.

지폐 종류가 상당히 다양하며, 모두 합하면 무려 32종류나 된다. 다만 32종류가 한꺼번에 돌아다닌 건 아니었으며, 2번 갈아치운 바가 있다. 처음엔 1센트~50센트의 저액권을 포함해 1달러~50만 달러까지를 출시하였고, 2007년 중순에 25만 달러와 75만 달러 및 5억 달러까지 연달아 출시하는 것도 모자라, 막판에는 Special-agro Cheque라고 불리는 초고액권 4종류(50억, 250억, 500억, 1,000억)를 내놓았다.

품질은 매우 조악한데, 환율이 급박하게 바뀌는 상황이기에 디자인에 공들일 시간이 없으니 일단 찍고 보자는 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크기 규격이 다른 돈이 생산되거나, 은화에 1기 시절 액면이 찍히고는 했다.[6] 아울러 위조 방지 장치가 전무하여, 은행 ATM을 단순한 계수기로 만들기도 하였다.

통용권에 '유효 기간'을 명시한 첫 사례이다. 최대 유효 기간은 발행 후 6개월이다. 짐바브웨 달러는 ZWN 전 권종과 ZWR 초기 권종에 유효 기간을 명시했으나, 인플레이션 폭증으로 인해 ZWR 후기 고액권(?)에서 해당 아이디어를 폐지했다. 6개월로 명시해 봤자 화폐 유효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물가 폭등으로 화폐 가치 자체가 0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원래 화폐에 유효 기간을 명시하는 것은, 통화량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대안 화폐의 일종으로 경제학계에서 연구한 결과물 중 하나이다. 그런데 ZWN에서 경제학적 실증 실험을 한 결과 유효 기간을 넣는 안건은 그야말로 대실패로 결론 나면서 이후 2011년 각종 논문을 통해 아이디어 자체가 공식적으로 폐기당한다. 독재자가 정권을 잡고 이딴 돈을 뿌릴 경우, 막을 수 있는 견제 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짐바브웨 ZWN은 돈에 유효 기간을 정해놔도 그 돈을 유효 기간 만료로 폐기하기 전에 물가가 더 빨리 뛰어서 더 이상 의미가 없는 상황에 처했다.

참고로 2008년 7월 31일, ZWN 최후의 환율이 공식 465억, 시장 5,100억이었다. 이는 짐바브웨 1,000억 달러권이 대략 한국 돈으로 실질값 200원에서 명목값 2,000원 정도였다는 의미이다. 그렇다고 짐바브웨 정부가 아예 손을 놓은 것은 아니었으며, 어느 정도 환율 시장에 개입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2007년 4월에는 특별 환율안(Special Rate)을 제시하여 당시 시장 환율 3만 달러를 15,000달러까지 떨어뜨리는 데 성공했지만, 닷새 만에 도로 35,000달러까지 회복하면서 물거품이 되어버린 전례도 있었다. 2008년 5월 5일에는 결국 고정 환율을 버리고 변동 환율을 채택하였는데, 오히려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채택 바로 전날인 2008년 5월 4일 공식 환율은 30,000달러, 그리고 그 바로 당일인 2008년 5월 5일 공식 환율이 168,815,333.33달러를 기록했다.

3.3. 3기 (2008~2009)

파일:ONE HUNDRED TRILLION DOLLARS.jpg
짐바브웨 사상 명목 최고액권 100조 달러 지폐.

이쯤이면 1,000달러는 무슨 소용??

2008년 8월 1일 도입되었으며 ISO 4217 코드는 ZWR, 구권과 교환비는 1:100억.

환율은 공식 7.58달러에 시장 40~50달러였다.

지폐 종류는 기존 ZWN보다 5종류 적어서 27종류가 되었다. 이 또한 3차례에 걸쳐서 발행했는데, 차례대로 초기 7종류(1달러~1,000달러), 중기 16종류(1만 달러~500억 달러), 말기 4종류(10조 달러~100조 달러)이다. ZWR 최후의 환율은 공식 123억 달러, 시장 300조 달러였다.

2010년 전후로 시중에서 비싸야 3달러면 완전히 새 것으로 구할 수 있었다. 대량 구매를 한다면 장당 1달러 후반대도 가능했었다. 하지만 초기에는 당연히 환율을 감안하여 발행하는 세심함이 있었기에 비쌌다. 이러한 심각한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짐바브웨 대통령인 로버트 무가베가 국정 운영을 위해 돈을 무작정 찍어내서 충당하는 경제관념이 거의 전무한 수준의 충격적인 정책을 펼쳤기 때문이였다. 이 살인적인 인플레이션 덕분에 화폐를 발행한 짐바브웨 중앙은행은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가치가 점점 올라가 2023년 기준 하기 짐바브웨 100조 달러는 미사용품 기준으로[7] 이베이에서 한 장에 100 USD대에 거래되고 있다. #, # 회현지하상가에서도 10만 원대에서 돌고 있다. 심지어 주목도가 다소 낮아진 현재(2021년)도 그레이딩에 따라서는 수백만 원을 호가하고 있다.

한창 달아오를 때 그 수요를 놓치지 않으려 가폐도 상당수 풀렸다. 이미 사용 중지 된 화폐인 데다 태생부터가 급조한 화폐인 만큼 위조 방지 장치도 워낙 허술해서, 진폐라고 파는 것도 진짜 진폐인지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가장 확실한 것은 UV 테스트로 비춰보는 것으로, 진품을 자외선 라이트로 비추면 지폐 앞뒤로 가루 같은 색사가 섞여있으면서 시리얼 넘버의 색이 약간 바뀐다.

3.4. 4기 (2009~2015)

최후의 짐바브웨 달러로 2009년 2월 2일에 도입되었으며 ISO 4217 코드는 ZWL.

종류는 1, 5, 10, 20, 50, 100, 500달러 7종으로 등장 처음부터 국민들에게 버림받은 비운의 권종이기도 하다.

이때는 그나마 인플레이션이 줄었는데 그 이유는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전 세계적인 디플레이션의 영향을 짐바브웨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짐바브웨의 인플레이션은 관성이 남아 있어서, 세계적 디플레이션 영향에도 불구하고 짐바브웨는 인플레이션 속도가 좀 줄어드는 정도밖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이 지폐를 제작할 당시 1조:1가량의 리디노미네이션을 하였다. 당시 환율은 공식 22달러, 시장 300달러였다. 그러나 같은 해 4월 12일까지만 유통되고, 그 이후로는 사실상 짐바브웨의 법정 화폐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때부터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미국 달러는 물론, 유로까지 짐바브웨의 공식적인 법정 화폐가 되었다.

ZWL 최후의 환율은 8월 28일 공식 환율인 361.62달러였다. 이미 시장에선 달러랜드가 잘만 통용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시장 환율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4월 12일 마지막 시장 환율은 대략 3,000 ZWL = 1 USD 선이었다고 한다.

3.4.1. 이후 행적

2014년 12월 2일부터 소액전 문제 해결을 위해 Bond Coin(결박 주화)을 발행하였으며 액면이 큰 미국 달러의 소액전 역할을 대신하는 동전이므로 1:1로 호환된다. 이는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이 이뤄진 국가 대부분이 사용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2015년 6월 15일부터 9월 30일까지 1인당 미국 5달러까지(구17경 5천조 짐바브웨 달러(ZWR)어치, 신17만 5천 달러(ZWL)) 짐바브웨 달러를 교환해 주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렇게 제약을 둔 것은 중앙은행이 마련한 외환 잔고가 별로 없기 때문. 제목은 뒷북이나 기사 참고.

2015년 10월 1일 공식적으로 짐바브웨 달러가 폐지되었다. 이로써 짐바브웨 달러 최종 공식 환율도 $35,000,000,000,000,000/USD 로 갱신되어 공식적으로도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8]

서방으로부터 해방되어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마련했으나, 이후 걷게된 비참한 행보로 인해 국민들은 1978년 대비, 소수점 이하 생략한 기준 대략 5.16 × 1029배의 재산 손해를 감수해야 했다.[9][10]

3.5. RTGS 달러(2019~2024)

하지만 짐바브웨 정부가 미국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시 짐바브웨 달러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는데, 온전한 명의는 아닌 RTGS 달러[11]혹은 짐달러(Zimdollar)로 공식적으로는 미국 달러와 별개의 통화가 아니라 결박 주화처럼 미국 달러와 1:1로 호환되는 소액 지폐를 발행하여 이중 체제로 가겠다는 것이라고 한다.

2016년 10월에 2달러 지폐가, 2017년에 5달러 지폐가 발행이 시작되었다.

이후 2018년 9월 11일, 짐바브웨 정부는 자체 통화로서의 짐바브웨 달러 재발행 계획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면서 2019년 말경에서부터는 'BOND NOTE' 문구를 뺌으로써 사실상 고정 환율을 포기, 2020년 1월 23일에 10, 20, 50달러짜리 신권 3종이 발표되면서 짐바브웨 달러가 다시 부활하였다.

그러나 이것도 잘 안되는지 2020년 들어서는 인플레이션율이 887%에 달해 1 미국 달러 = 80 RTGS 달러까지 환율이 떨어졌고, 결국 당년 6월부터 자정 노력을 포기하고 해외 통화와 병행 사용 하게 되었다.
도안
파일:attachment/RTGS달러02.jpg $2 자유의 불꽃, 의회 건물
파일:attachment/RTGS달러03.jpg $5 기린, 야자수
파일:attachment/RTGS달러04.jpg $10 짐바브웨 준비은행, 아프리카물소
파일:attachment/RTGS달러05.jpg $20 아프리카코끼리, 빅토리아 폭포
파일:attachment/RTGS달러06.jpg $50 은부야 네한다, 무명용사 기념비
파일:attachment/RTGS달러07.jpg $100 바오밥, 그레이트 짐바브웨

4. 금 본위제 도입과 짐바브웨 골드로 전환

파일:zimbabwe-2022-Vfalls-gold-coin-pair.jpg
결국 인플레이션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금화를 법정 화폐로 발행하기까지 했다. 이름은 모시 오아 투냐.

이후 금 본위제가 도입되고 시간이 흘러 2024년 4월 8일 금 본위제 기반의 통화인 짐바브웨 골드로의 전환이 결정되었다. 4월 28일까지 약 21일간의 교환 기간을 거친 뒤 짐바브웨 달러는 공식적으로 폐기 처리 되었다. 이로써 재도입된 짐바브웨 달러의 역사도 약 5년 만에 최종적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여담으로 교체 직전의 짐바브웨 달러 유통 비중은 약 20%로 미국 달러의 약 4분의 1 수준이었고 환율은 1 미국 달러 = 3만~4만 짐바브웨 달러 정도였다.

5. 기타



[1] 6,5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
, 한자어로 65정 무량대수로 표기되는 무시무시한 값이다. 구골이 세 자릿수를 지수로 두는 숫자의 막을 여는 단위기 때문에 0의 개수가 무려 107개가 된다. 절대다수의 스마트폰 가로 보기에서 한 줄에 0이 다 들어올 수 없을 정도로 길며, PC로 보는 경우에도 고정폭을 최대치로 변환해도 개행 기능(br) 없이는 최대 650 항하사까지밖에 표기되지 못할 정도로 길다. 원래 불교에서나 간간이 쓰던 용어였는데, 불교와는 전혀 상관없는 나라에서 이런 유례없는 일이 터진 것.
[2] 1위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의 헝가리로 2.6×10177%였다. 참고로 초인플레이션/사례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당시 헝가리에서는 무려 1해 펭괴 지폐가 생기고 얼마 안가서 10해 팽괴 지폐가 생기고, 1달에 물가가 1.7경 배나 올랐으며, 심지어 인플레이션 막판에는 헝가리 전역의 화폐를 합쳐도 오늘날 가치로 환산하면 문자 그대로 휴지 1/5장 정도의 가치도 없었을 정도로 끔찍했다.[3] 다시 말해서 1시간에 약 2.85%씩 오른다는 것이다.[4] 100%로 근사하여 설명하자면, 오늘 천 원짜리 과자가 내일이 되면 이천 원, 모레는 사천 원… 해서 한 달 뒤에는 1조 738억 원이 된다는 뜻이다. 정확히 96.1725%를 적용하면 6,014억 원.[5] 그조차도 며칠 지나지 않아서 계란 1개도 사지 못하는 지폐로 바뀌었다.[6] RBZ라고 찍혀야 할 부분에 500이라든가 1,000이 찍혀있다. 이 두 액면은 인플레이션 이전에 주로 인쇄되던 액면인데, 한국식으로 말하면 만 원짜리 지폐에 은화로 '5,000'이라 찍힌 격이다.[7] 사용품은 정도에 따라선 1달러까지도 떨어진다.[8] 0이 15개, 3경 5천조 ZWR/USD. 최고액 화폐였던 100조 짐바브웨 달러는 미국 달러로 환전할 경우 0.29센트 정도이며 한국 돈으로 환전할 경우 2원 86전 정도이다.[9] 수 단위로 나타내면 51양 6000자 배[10] 전에는 515,615,792,575,132,586,918,090,748,379배라고 되어있었다. 1달러당 공식 환율 기준.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 접하는 실질적으로 가장 큰 수인 아보가드로 수 6.022 × 1023과 대응해서 보면, 1978년도의 6.022 × 1023 로디지아 달러를 그냥 놔둘 경우, 2015년에 불과 0.0000011671 ZWR의 가치로 폭락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5.16 × 1029는 아보가드로 수보다도 85만 7천배 큰 수이다.[11] RTGS는 Real Time Gross Settlement, 실시간 총액 결제의 약자로 한 은행에서 다른 은행으로 거래 시마다 실시간으로 돈이 이체되는 것을 말한다.[12] 어찌 보면 그리 이상할 것도 없는 것이, 1990년대 후반 이전까지만 해도 무가베는 짐바브웨의 독립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출신 대통령으로서 짐바브웨의 문해율을 아프리카 최고 수준으로 높이고 백인과의 화합 정책을 실시하며 나라를 그럭저럭 잘 이끌어나가던 지도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