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3 18:34:34

조나단 모트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d4498>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7시즌 1997-1998시즌 1998-1999시즌 1999-2000시즌 2000-2001시즌
터비스파일:미국 국기.svg
엘리어트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파일:미국 국기.svg
스텀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보스먼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빈슨 파일:미국 국기.svg
로즈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에노사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파일:미국 국기.svg
더든 파일:미국 국기.svg
2001-2002시즌 2002-2003시즌 2003-2004시즌 2004-2005시즌 2005-2006시즌
맥도웰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크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맥도웰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풀러 파일:미국 국기.svg
매덕스 파일:미국 국기.svg
루커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풀러 파일:미국 국기.svg
아세노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헤밀턴 파일:미국 국기.svg
벤슨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2006-2007시즌 2007-2008시즌 2008-2009시즌 2009-2010시즌 2010-2011시즌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다 파일:미국 국기.svg
프렌드 파일:미국 국기.svg
마일즈 파일:미국 국기.svg
섀넌 파일:미국 국기.svg
무어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트리밍햄 파일:미국 국기.svg
포웰 파일:미국 국기.svg
리틀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스 파일:미국 국기.svg
맥카스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맥카스킬 파일:미국 국기.svg
조지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12시즌 2012-2013시즌 2013-2014시즌 2014-2015시즌 2015-2016시즌
브로만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포웰 파일:미국 국기.svg
카스토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 파일:미국 국기.svg
포웰 파일:미국 국기.svg
레더 파일:미국 국기.svg
포웰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포웰 파일:미국 국기.svg
뱅그라 파일:리비아 국기.svg
콘리 파일:미국 국기.svg
2016-2017시즌 2017-2018시즌 2018-2019시즌 2019-2020시즌 2020-2021시즌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스카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파일:미국 국기.svg
셀비 파일:미국 국기.svg
밀러 파일:미국 국기.svg
몰트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할로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드 파일:미국 국기.svg
팟츠 파일:미국 국기.svg
할로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할로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쇼터 파일:미국 국기.svg
길렌워터 파일:미국 국기.svg
심스 파일:미국 국기.svg
모트리 파일:미국 국기.svg
탐슨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파일:미국 국기.svg
2021-2022시즌 2022-2023시즌 2023-2024시즌 2024-2025시즌 2025-2026시즌
니콜슨 파일:캐나다 국기.svg
알렉산더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은도예 파일:세네갈 국기.svg
스캇 파일:미국 국기.svg
할로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벨란겔 파일:필리핀 국기.svg(A)
니콜슨 파일:캐나다 국기.svg
모스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 파일:미국 국기.svg
벨란겔 파일:필리핀 국기.svg(A)
니콜슨 파일:캐나다 국기.svg
은도예 파일:세네갈 국기.svg
마티앙 파일:남수단 국기.svg
벨란겔 파일:필리핀 국기.svg(A)
라건아 파일:미국 국기.svg
마티앙 파일:남수단 국기.svg
퍼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벨란겔 파일:필리핀 국기.svg(A)
(A) 아시아쿼터제 선수
}}}}}}}}} ||
미국의 농구선수
파일:조나단모틀리2020-21.png
<colbgcolor=#eeeeee,#191919> 조너선 랜더스 모틀리[1]
Johnathan Landus Motley
출생 1995년 5월 4일([age(1995-05-04)]세)
미국 텍사스휴스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신체 203cm|체중 104kg
포지션 파워 포워드
학력 노스쇼어 고등학교 (졸업)
베일러 대학교 (졸업)
KBL 입단 2021년 외국인 자유계약 (인천 전자랜드)
소속
[ KBL 이전 경력 펼치기 · 접기 ]
댈러스 매버릭스 (2017 / NBA)
텍사스 레전드 (2017~2018 / NBA G리그)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18~2019 / NBA)
아쿠아 칼린테 클리퍼스 (2019~2020 / NBA G리그)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021)

1. 소개2. 선수 경력3. 시즌별 성적4. 관련 문서

1. 소개

미국의 농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파워 포워드이다.

2. 선수 경력

2.1. KBL 이전

2014년에 NCAA AP 순위권에 들어가있는 농구 명문 베일러 대학교에 입학해 기량을 끌어 올리다 마침내 3학년 시기인 2017년에는 평균 17.3득점, 9.9리바운드 그리고 2.3어시스트를 기록으로 칼 말론 상을 수상하기도 하며 전미 대학 최고의 파워 포워드로 뽑히기도 했었다. 이러한 자신감으로 3학년을 마치고 NBA드래프트에 도전했지만 언드래프트로 지명을 받지 못했다.

2017년 7월 3일에 댈러스 매버릭스와 G 리그 강등/콜업이 가능한 한 시즌 투 웨이 계약으로 사인했고 댈러스 산하 G 리그 팀인 텍사스 레전드로 보내져서 훈련했다가 2017년 12월 14일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전에 NBA 데뷔전을 치렀으며, 짧은 2분여간의 출전 시간이었지만 4득점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다시 G 리그로 내려가 뛰었으며 34경기에 출전해 평균 22.2 득점, 9.8리바운드를 기록으로 G 리그를 씹어먹고 있으면서 다시 콜업의 기회를 엿봤다. 그렇게 기회가 주어지지 않다가 시즌 말미에 콜업이 되었고 띠엄 띠엄 출전 시간이 많아 지기 시작했다. 4월 초부터는 주전으로 선발 출전하였고 4월 9일 디트로이트와의 경기에서는 커리어하이인 26득점 12리바운드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8년 7월에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와 투 웨이로 한 시즌 계약을 맺고 산하 아쿠아 칼린테 클리퍼스에서 뛰면서 NBA와 G 리그를 오르락 내리락 했었다. 이 시즌 NBA에서는 가비지 타임 멤버로 평득 4.6점을 기록하였다. G 리그에서는 평득 24.5점을 기록하며 역시 G리그를 평정하고 있었다. 한 시즌으로 계약이 만료되지만 하부리그 여포급의 활약 때문인지 클리퍼스는 다시 한번 모틀리에게 기회를 주며 한 시즌 투 웨이 재계약에 사인하게 된다. 2019-20 시즌 NBA에서는 13경기 평균 3분의 출전 시간에 평득 2.2점을 기록. 이전 시즌 보다 수비능력 모든 부분에서 하락세를 보였고 결국 모틀리는 NBA에서 살아남지 못하고 계약이 끝나게 된다. 2019-20 G 리그 26경기 24.0점 7.9리바운드 2.8어시스트로 역시 리그를 폭격했다. 3점슛 성공률도 30.7%로 신장 대비 나쁘지 않았다.

2020년 11월에는 피닉스 선즈와 훈련 캠프 계약을 체결 했지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며 결국 투 웨이 계약을 따내지 못했다. G리그가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해 개막이 2월로 늦어졌고 G리그에서 뛸 상황이 아닌것으론 판단한 모트리는 고향 휴스턴에서 2개월간 몸을 만들고 있었다. 그러다 2월 10일 KBL의 인천 전자랜드와 계약을 했다는 게 알려지면서 KBL에 기량이 좋은 선수가 온다는 말을 듣기도 했다.

2.2.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2020-21 시즌

2월 26일 고양 오리온스전에 출전 26분을 뛰며 26득점 8리바운드를 기록하며 괜찮은 데뷔전을 치렀다. 이날 3점슛은 하나도 시도하지 않고 페인트 존에서만 득점을 기록했다. KBL데뷔전에서 3점슛과 자유투를 하나도 시도하지 않고 26점을 기록한 최초의 선수로 기록되었다.

2020-21 시즌 15경기 평균 득점 18.1점 7.7개의 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팀이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공헌했다.

6강 플레이오프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전 4경기 평득 25점 리바운드 14.3개라는 무시무시한 기록으로 팀이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1등 공신이되었다. 압도적인 리바운딩으로 골밑을 장악했고 60%의 야투율을 앞세워 상대 골밑을 헤집고 다녔으며, 간간히 3점슛을 성공시키며 그야말로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했다.

4강 플레이오프 전주 KCC 이지스와의 1, 2차전에서는 6강 플레이오프만큼 힘을 쓰지 못했고 팀도 2경기 모두 패했지만 3차전에서 역대 PO 한 경기 한 선수 최다 득점48득점을 올리며 팀의 112:67 대승을 이끌고 승부를 4차전까지 이끌었다.

전주 KCC 이지스와의 4강 플레이오프 5차전 마지막 경기에서 라건아와의 골밑 싸움에서 철저하게 밀리며 25개의 리바운드를 허용했다. 23득점을 기록하며 득점에선 제몫을 해주었지만 리바운드 싸움에서 크게 지면서 결국엔 팀의 챔프전 탈락을 지켜봐야 했다.

팀이 한국가스공사에 매각되면서 전자랜드 시대의 마지막 1옵션 외국인 선수가 되었다.

시즌 후 팀에서 재계약을 제시했으나 거부했다.

2.3. 이후

2021-22 시즌은 러시아 리그에서 활약했고, 2022-23 시즌에서는 튀르키예 리그 페네르바체 소속으로 뛰고 있다.

3. 시즌별 성적

역대 성적
시즌 소속팀 경기수 2점슛 3점슛 자유투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스틸 블록슛
2020-21 전자랜드 15 100/169
(59.2%)
12-36
(33.3%)
36-52
(69.2%)
272 115 45 14 22
KBL 통산
(1시즌)
15 100/169
(59.2%)
12-36
(33.3%)
36-52
(69.2%)
272 115 45 14 22

4. 관련 문서



[1] 제대로 된 표기법은 모틀리이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