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17:04:29

제703특공연대

703특공연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불사조)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불사조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700_마크.png 파일:701_흉장.png 파일:702_마크.png
제700특공연대 제701특공연대 제702특공연대
파일:703_마크.png 파일:705_흉장.png
제703특공연대 제705특공연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colbgcolor=#009600> 수도 제700특공연대
I 제301경비연대 · 제701특공연대
II 제702특공연대
III 제703특공연대
V 제305경비연대 · 제705특공연대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특수임무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특공대(제2신속대응사단 · 제1산악여단 · 제700/701/702/703/705특공연대 · 제2/35특수임무대대 · 제1/2강습대대)
정찰대
수색대
기동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마크.svg 해병대
해난구조전대(SSU)
군사경찰 특수임무반
수색대(특수수색대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공군
제259특수임무대대(CCT)
특수탐색구조대대(SART)
군사경찰 특수임무소대
단, 밑줄 친 부대는 2020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에 의해 국군특수전부대로 소개된 부대
※ 관련 틀: 특수작전부대 |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 특수첩보부대 }}}}}}}}}
제703특공연대
第703特功聯隊
The 703rd Commando Regiment
파일:703_마크.png
<colbgcolor=#1e2087><colcolor=#f7d639> 한번 특공은 영원한 특공!
창설일 <colbgcolor=#fff,#191919>1983년 5월 1일
상징명칭 불사조부대, 미시령 특공대, 가리산 특공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3군단
규모 연대
역할 3군단 특수작전 임무수행
연대장 대령 홍성근(육사 00기)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기린면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
3.1. 연대 직할대3.2. 제1대대3.3. 제2대대3.4. 제3대대
4. 출신인물
4.1. 연대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부대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지상작전사령부 제3군단예하 특공연대이다.

제3군단 소속. 통칭 불사조 부대. 부대 흉장은 빨간 불사조이다. 제702특공연대와 부대 마크 모양은 같지만 색이 다르다. 연대라는 이름에 맞게 연대장대령이 역임한다.

2. 상세

미시령에 1대대와 2대대가 같이 붙어있고 3대대는 연대본부와 가까운 한석산 쪽으로 은근히 멀리 떨어져있다. 1, 2대대에서 3대대와 연대 본부까지 가려면 차를 타고 1시간 정도 가야 한다. 부대원들은 보통 1, 2대대를 미시령 특공대, 3대대와 연대 본부를 가리산 특공대라고 부른다. (적어도 1984~88년 전후로는 3대대, 연대본부 소재지에서 산을 넘어 4대대가 존재했었으나, 88년이후 어느 시점에 4대대는 없어졌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2022년을 전후로 미시령 쪽에 주둔하던 1, 2대대가 부대를 이전하면서 이는 옛말이 되어버렸다. 1대대는 KCTC가 위치한 인제군 남면 어론리에, 2대대는 3군단 사령부와 가까운 기린면 현리에 주둔하고 있다.

90년대 이전 편제)
연대본부 (본부중대) (가리산 쪽)
1대대: 1~4중대 (미식령 쪽)
2대대: 5~8중대 (미식령 쪽)
3대대: 9~12중대 (가리산 쪽 ㅡ 한석산)
4대대: 13~16중대 (가리산 쪽)

각각의 중대에는 1~4소대와 지원소대가 존재.
지원소대에는 4개의 60밀리포가 있어 작전시 각소대에 포1문식 분산 배치돼 같이 작전함.

소대 편재 구성원: 소대장 1 (소위 or 중위), P77 무전병1, 특공하사관 2, 통신하사관 2, 특공병 2, M60사수 2 (병), M203사수 2 (병), 의무병 2,
1985~1988년 3대대12중대3에서 근무한 병사의 증언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투입된 역사가 있으며 간부화 개편이 서서히 진행 중이다. 2021년부터 더 이상 병사를 모집하지 않게 되었다. 2021년 이전에 입대했던 병사들이 전역하게 됨으로써 완전한 간부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1]

3. 예하부대

3.1. 연대 직할대

3.2. 제1대대

3.3. 제2대대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불사조 특공대 편에 출연한 부대가 해당 부대의 2대대이다.

3.4. 제3대대

4. 출신인물

4.1. 연대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역대 제703특공연대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연대장
00대 신현종 예) 대령 연대장
00대 엄태수 예) 대령 연대장
00대 김정도 준장 학사 25기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물자차장
00대 조병철 예) 대령 연대장
00대 홍성근 대령 연대장
00대 임석훈 대령 연대장
00대 박형주 대령 연대장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근무환경

침상형 막사에서 침대형 막사로 개조했다. 이전에 연대 본부가 있던 곳은 유격 훈련장으로 이용된다. 경사가 매우 험해서 본부 생활관 중에는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곳이 많았다.

3군단에서 실상황 발생 시 출동하거나 국지도발 훈련을 진행한다.

대체적으로 훈련이 많으며 월 1회 정도는 꼭 훈련이 진행된다고 보면 된다.

현재는 천리행군이 부활하여 7박 8일 혹은 8박 9일에 달하는 긴 행군에 들어간다. 험준한 설악산의 능선을 타고 넘어서 양양군을 찍고 돌아오는게 일반적인 703특공의 행군 코스이다.

공중기동작전에 특화되어 있는 부대이다 보니 패스트로프 훈련을 자주 진행하고 있다. 안전에 유의하지 않으면 부상당할 위험이 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상은 로프를 놓쳐 공중에서 떨어지거나 로프에 쓸리는 것이니 유념하도록 하자. 헬기 패스트로프는 분기별 1회 정도 계획 수립 및 진행되고 있으며, 훈련 이수 시에는 생명수당을 받게 된다.

5.2. 부대가

태백산 정기받아 드높은 용사의 함성

천지를 진동하고 창공을 가르리라

조국의 통일위해 특공대 일격으로

태극기 높이 들고 백두산 굽어보리

아아~ 영원한 태백의 산악용사

우리는 천하무적 703특공연대

-703특공연대가

6. 사건사고

7. 여담

파일:703임병장.jpg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에 투입되었다. 연대 본부 및 대대 병력이 22사에 출동을 나갔다. (사진은 범인 임도빈 병장과 그의 아버지이다).


[1] 단, 이는 특공병만 해당하며 비전투병인 행정병, 탄약병, PX병, 의무병, 운전병, 조리병 등은 여전히 배치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