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역대 청룡시리즈어워즈 | ||||
제3회 청룡시리즈어워즈 | → | 제4회 청룡시리즈어워즈 | → | 제5회 청룡시리즈어워즈 |
<colbgcolor=#002266><colcolor=#fff> 제4회 청룡시리즈어워즈 4th Blue Dragon Series Awards | |
<nopad> | |
날짜 | 2025년 7월 18일 |
장소 | 파라다이스시티 |
주최 | 스포츠조선 |
후원 | 인천광역시, 인천관광공사, LG U+, 파라다이스시티 |
방송 채널 | KBS 2TV |
MC | 전현무, 임윤아 |
스트리밍 | [[Wavve| Wavve ]]
| [[치지직|CHZZK ]] | [[TVING| TVING ]]
| PRIZM[1] |
링크 |
1. 개요
2025년 7월 18일 인천광역시 중구 파라다이스시티에서 개최되었던 제4회 청룡시리즈어워즈.이번 청룡시리즈어워즈는 지난 해와 마찬가지로 지상파 채널인 KBS 2TV를 통해 생중계되었다.
2024년 6월 1일에서 2025년 5월 31일 사이 국내외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공개된 드라마와 예능이 심사 대상이다. 네티즌 1차 투표와 스포츠조선 엔터테인먼트 기자들의 평가. 전문가 집단 설문조사를 합산해 후보를 선정했다.
수상작 역시 전문가 심사위원단 투표와 네티즌 2차 투표를 합산해 최종 선정했다.
==# 일정 #==
- 1차 네티즌 투표(후보 선정): 6월 11일(수) ~ 6월 24일(화) #
- 핸드프린팅 행사: 6월 25일(수) 오전 10시 30분 CGV여의도 #
- 후보 발표: 6월 27일(금)
- 2차 네티즌 투표(수상자 선정): 6월 30일(월) ~ 7월 17일(목)
- 레드카펫: 7월 18일(금) 오후 7시 00분
- 시상식: 7월 18일(금) 오후 8시 30분
2. 사전 행사
2.1. 핸드 프린팅
네이버 치지직 네이버엔터 채널과 네이버TV 스포츠조선 채널에서 독점 생중계 되었다.다시보기: #, #
2.2. 시상식 레드카펫
3. 수상 결과
3.1. 종합(드라마 · 예능)
3.1.1. 대상
<rowcolor=#fff> 수상작 | 채널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2. 드라마 부문
3.2.1. 최우수 작품상
<rowcolor=#ffffff> 수상작 | 채널 |
[[가족계획(드라마)|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내가 죽기 일주일 전| | [[TVING| TVING |
[[악연(2025년 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중증외상센터(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2.2. 여우주연상
<rowcolor=#ffffff> 배우 | 작품 | 채널 |
박은빈 | [[하이퍼나이프| | [[디즈니+| 디즈니+ |
서현진 | [[트렁크(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아이유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혜리 | [[선의의 경쟁(드라마)| | [[U+모바일tv| U+모바일tv |
차주영 | | [[TVING| TVING |
3.2.3. 남우주연상
<rowcolor=#ffffff> 배우 | 작품 | 채널 |
박보검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박해수 | [[악연(2025년 드라마)| | |
이병헌 | [[오징어 게임(시즌 2)| | |
이준혁 | | [[TVING| TVING |
주지훈 | [[중증외상센터(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2.4. 여우조연상
<rowcolor=#ffffff> 배우 | 작품 | 채널 |
공승연 | [[악연(2025년 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김국희 | [[가족계획(드라마)|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수현 | [[경성크리처(시즌 2)|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염혜란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정은채 | | |
3.2.5. 남우조연상
<rowcolor=#ffffff> 배우 | 작품 | 채널 |
박병은 | [[하이퍼나이프| | [[디즈니+| 디즈니+ |
윤경호 | [[중증외상센터(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이광수 | [[악연(2025년 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이준영 | [[약한영웅 Class 2|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최대훈 | |
3.2.6. 신인여우상
<rowcolor=#ffffff> 배우 | 작품 | 채널 |
김민하 | [[내가 죽기 일주일 전| | [[TVING| TVING |
이수현 | [[가족계획(드라마)|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이이담 | | [[TVING| TVING |
정수빈 | [[선의의 경쟁(드라마)| | [[U+모바일tv| U+모바일tv |
하영 | [[중증외상센터(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2.7. 신인남우상
<rowcolor=#ffffff> 배우 | 작품 | 채널 |
강유석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로몬 | [[가족계획(드라마)|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배현성 | [[경성크리처(시즌 2)|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추영우 | [[중증외상센터(드라마)| | [[넷플릭스| 넷플릭스 |
허남준 | | |
3.3. 예능 부문
3.3.1. 최우수 작품상
<rowcolor=#ffffff> 수상작 | 채널 |
[[대환장 기안장| | [[넷플릭스| 넷플릭스 |
| |
[[My name is 가브리엘| | [[디즈니+| 디즈니+ |
[[피의 게임3| | [[Wavve| Wavve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3.2. 여자예능인상
<rowcolor=#ffffff> 예능인 | 작품 | 채널 |
가비 | [[My name is 가브리엘| | [[디즈니+| 디즈니+ |
엄지윤 | | [[TVING| TVING |
이수지 | [[SNL 코리아|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혜리 | [[미스터리 수사단(시즌 1)|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지예은 | [[대환장 기안장| |
3.3.3. 남자예능인상
<rowcolor=#ffffff> 예능인 | 작품 | 채널 |
기안84 | [[대환장 기안장| | [[넷플릭스| 넷플릭스 |
김원훈 | [[SNL 코리아|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신동엽 | ||
장동민 | [[피의 게임3| | [[Wavve| Wavve |
추성훈 | [[추라이 추라이|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3.4. 신인여자예능인상
<rowcolor=#ffffff> 예능인 | 작품 | 채널 |
미미 | | [[U+모바일tv| U+모바일tv |
서혜원 | [[SNL 코리아|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윤소희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이사배 | | |
츠키 | [[좀비버스: 뉴 블러드| |
3.3.5. 신인남자예능인상
<rowcolor=#ffffff> 예능인 | 작품 | 채널 |
문상훈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윤남노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이진혁 | [[SNL 코리아|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정근우 | [[김성근의 겨울방학| | [[TVING| TVING |
정현규 |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4. 특별상
3.4.1. 업비트 인기스타상
<rowcolor=#ffffff> 수상자 |
박보검 |
혜리 |
이준혁 |
아이유 |
"샐럽챔프" 앱 투표 기준 남자 여자 각 2위까지 시상하였다.
3.4.2. LG유플러스 선한영향력상
<rowcolor=#ffffff> 수상자 | 작품/프로그램 | 채널 |
지예은 | [[대환장 기안장| | [[넷플릭스| 넷플릭스 |
3.4.3. OST 인기상
<rowcolor=#ffffff> 수상자 | 작품/프로그램 | 곡명 | 채널 |
연준 | [[새벽 2시의 신데렐라| | Boyfriend | [[쿠팡플레이| 쿠팡플레이 |
4. 축하공연
5. 여담
- 최다 노미네이트된 OTT는 넷플릭스로 총 33개 후보에 올랐다.
- 드라마 부문에서는 폭싹 속았수다가 6개 부문, 예능 부문에서는 SNL 코리아 시즌 6·7이 5개 부문으로 최다 부문 노미네이트됐다.
- 후보작이 발표된 결과 과도하게 넷플릭스 작품이 많은 것 아니냐는 반응이 많다. 다른 OTT 작품들은 끼워주기 식으로 하나씩 들어가 있는 모습이 많아 넷플릭스 시상식과 다름 없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사실 올해가 다른 해에 비해 완성도 있는 OTT 작품 수가 적은 것도 있어서인지 예년보다 후보작 발표도 굉장히 늦게 된 편이다.
- 최다 수상 OTT는 넷플릭스로 개인수상인 인기스타상을 제외한 총 15개 부문에서 11개 부문을 수상했다.
- 최다 수상작은 폭싹 속았수다[2]와 중증외상센터[3]로 3개 부문을 수상했다.
- 최다 수상자는 아이유로, 여우주연상과 인기스타상을 수상하며 2관왕에 올랐다.[4]
- '업비트 인기스타상' 부문에서 원래 '이준혁'이 수상해야 하는데 여러 음향 문제들로 인해 실수로 그와 이름이 비슷한 이준영이 상을 받으러 나갔다. 이후 이준영은 인스타 스토리로 사과문을 게시했으며 이를 본 이준혁도 이준영을 오히려 위로(?)했다. 사실 둘은 2년 전 AAA 시상식 때도 반대로 이름을 잘못 듣고 나간 적이 있긴 했다.[5]
- 예능 부문 중 데블스 플랜: 데스룸은 많은 혹평을 받았다. 때문에 팬덤에서는 상기한 넷플릭스 밀어주기라는 비판은 물론, 데블스 플랜 출연으로 신인예능인상 후보에 오른 정현규, 윤소희의 등재 기준에 대한 비판과 수상을 반대하는 부정적인 여론을 쏟았다. 그리고 팬덤의 소원(?)대로 데블스 플랜의 수상은 실패했다.
- BMW 코리아가 차량을 지원하면서 일부 배우들이 자사 차종을 타고 레드카펫에 참여했다. 7시리즈, X7, XM 등의 다양한 차종들이 나왔다. 다만 타사 차종도 사용 가능했는지, 4세대 카니발이 지겹도록 많이 나온다.
[1] 글로벌[2] 대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3] 드라마 부문 최우수 작품상, 남우주연상, 신인남우상[4] 참고로 대상의 경우, 배우 개인 수상이 아닌 폭싹 속았수다 작품이 수상한 것이므로 엄연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지난 제2회 청룡시리즈어워즈에서는 작품 더 글로리가 아닌 출연했던 배우 송혜교가 대상을 수상한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5] 참고로 두사람 다 극내향인이라 시상식이 끝난 후 부끄러워할 것 같다는 반응이 많다. 이준혁은 INFP, 이준영은 INTJ(INFP에서 바뀌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