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2:51:45

국제평화지원단

제2유격여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상징명칭(흑룡)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흑룡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사자부대 흉장.png
특수전사령부 본부
파일:제1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3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7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9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11공수특전여단 흉장.png
제1공수특전여단 제3공수특전여단 제7공수특전여단 제9공수특전여단 제11공수특전여단
파일:제13특수임무여단 흉장.png 파일:백호부대 흉장.png 파일:국평단 흉장.png 파일:특수작전항공단 흉장.png 파일:특전교 흉장.png
제13특수임무여단 제707특수임무단 국제평화지원단 특수작전항공단 특수전학교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국제평화지원단
國際平和支援團
International Peace Supporting Standby Force
파일:국제평화지원단 부대마크.svg
<colbgcolor=#4b92db><colcolor=#fff> 세계에 평화를! 조국에 영광을!
창설일 1969년 2월 17일(제2유격여단)
1972년 9월 20일(제5공수특전여단)
2000년 6월 1일(특수임무단)
2010년 7월 1일(국제평화지원단)
상징명칭 온누리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육군특수전사령부
규모
역할 특수전 (PKO)
단장 대령 김대성 (육사 51기)
위치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성2동

1. 개요2. 역사
2.1. 제5공수특전여단2.2. 특수임무단2.3. 국제평화지원단
3. 편제
3.1. 직할대3.2. 제21특전대대3.3. 제22특전대대3.4. 제23특전대대3.5. 제25특전대대
4. 출신인물
4.1. 지휘관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선발, 훈련 및 역할5.2. 해외 파병 실적5.3. 부대가
6. 사건사고7. 대중매체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241341dce10f5bc9c9f416ab9d06335c4fbcb9b9f2f399d6b8bc7897592a5c3e.jpg

대한민국의 국제평화유지 활동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2010년 7월 1일에 특전사 예하로 창설된 부대이다. 줄여서 '국평단'이라고도 한다.

이 부대는 필요시 해외로 파병되어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또는 다국적군 평화활동(PKF) 임무를 수행하며, 파병 될 장병들에게 테러, 기습공격 등 각종 위험 상황에 대비한 대처 훈련과 경호 훈련 뿐 아니라 현지 언어와 문화, 관습, 외국 현지인에 대한 대민 민사심리작전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기관 역할을 맡고 있다.

과거 제5공수특전여단 / 특수임무단 시절에는 부대 별칭이 '흑룡부대'였고 국제평화지원단으로 개편되면서 별칭이 '온누리 부대'로 바뀌었다. '온'은 전체 또는 전부를 뜻하며 '누리'는 세상이라는 의미이다. 즉, '온누리'라는 부대 이름은 전 세계를 누비며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를 상징한다.

2. 역사

2.1. 제5공수특전여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01보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03보병여단 부대마크.svg
제101보병여단 제102보병여단 제103보병여단
파일:제5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제13공수특전여단 흉장.png 파일:205특공여단.png
제5공수특전여단 제13공수특전여단 제205특공여단
파일:6공병 마크.png 파일:제6포병여단 마크.png
제6공병여단 제6포병여단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제5공수특전여단
第五空輸特戰旅團
The 5th Special Forces Brigade (Airborne)
파일:제5공수특전여단 흉장.png
1969년 2월 17일에 동해안경비사령부의 예하부대로 창설된 제2유격여단이 이후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로 들어오면서 1972년 9월 20일자로 제5공수특전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이 5공수특전여단은 다른 특전여단들과는 달리 북한에 담당 침투 지역이 미리 정해져 있지 않고, 이미 침투한 다른 특전여단 팀들의 작전 추이와 상황에 따라 필요한 지역에 후속으로 추가 침투되는 특전사의 예비대 같은 역할이었다. 즉, 북한의 어느 지역에 침투하게 될지 미리 정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평소에 다른 특전여단들은 늘 하는 북한의 특정 지역에 대한 별도의 연구와 예행연습이 필요하지 않았었다.

2.2. 특수임무단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attachment/육군 특수전사령부/여단/1SFG.png 파일:특수임무단 흉장.pn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공수특전단 특수임무단 제10방공단 제30경비단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3야전군사령부 마크.svg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제33경비단 제11정보통신단 제13정보통신단 제106정보통신단
파일:제8군단.svg 파일:제9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08정보통신단 제109정보통신단 제111정보통신단 제1107공병단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1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116공병단 제1118공병단 제1119공병단 제1120공병단
파일:제8군단.svg 파일:제3야전군사령부 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170공병단 제1173공병단 제1항공단 제8항공단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항공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6항공단 제31항공단 제60항공단 제61항공단
파일:필리핀 재해복구단기.png 파일:아이티 재건지원단 마크.png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8552.jpg 파일:국군재정관리단 부대마크.svg
필리핀 재해복구단
(아라우부대)
아이티 재건지원단
(단비부대)
아프간 재건지원단
(오쉬노부대)
육군중앙경리단
파일:국방지형정보단_마크.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12포병단 마크.png 파일:육군동원전력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지형정보단 제11포병단 제12포병단 제39동원지원단
파일:제6포병단 마크.jpg
제6포병단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특수임무단
特殊任務團
Special Missions Group
파일:특수임무단 흉장.png
다른 여단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훈련스케줄 부담이 적어 시간적 여유가 있는 편이었던 제5공수특전여단의 평시 활용 방안에 대해 고민하다가 평시에 재해/재난 구조와 대테러에 특화된 훈련을 담당하며 부대 규모도 여단보다 소수 정예를 지향하는 '' 규모의 부대로 개편하려는 계획이 만들어졌고 이에 따라 2000년 6월 1일 '특수임무단'으로 개편되었다. 종전의 4개 특전대대에서 1개 특전대대(제25특전대대)를 폐지하고 3개 대대로 구성된 부대였으며[1] 부대장은 대령급으로 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이런 평시 임무변경 계획은 흐지부지 되어서 실질적으론 부대이름과 규모만 바뀌었을 뿐 실제론 종전 제5공수특전여단 시절과 다를 게 없었다.

2.3. 국제평화지원단

언제든 즉각적인 해외 파병이 가능한 부대로의 개편을 계획하게 됐고 그게 실현돼서 2010년 7월 1일부로 해외 파병 상시 준비부대인 국제평화지원단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해외파병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과거 제5공수특전여단에서 특수임무단으로 개편하면서 해체된 제25특전대대를 2013년에 재창설해서 부대 규모로만 보면 다시 특전여단급이 되었지만 부대 명칭은 여전히 국제평화지원'단'인 ''급 부대라서 지휘관인 단장 계급도 그대로 대령이다. 인원이 비슷한 다른 특전여단과의 형평성으로만 보자면 국제평화지원'여단'으로 개명하고 부대장도 준장여단장으로 해야겠지만, 되도록 장군 인원을 줄여나간다는 군 정책 방향 때문에 장성 수는 줄이는 것만 가능하고 장성을 오히려 늘리게 되는 길은 사실상 막혀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다른 특전여단과 임무와 성격도 다르므로 인원 수만 비슷하다고 지휘관 계급도 같아야하는 것은 아니다.

국평단의 특전대대들 중에서 로테이션으로 1개 대대가 파병 대기 대대로 지정되어 있는데, 파병 대기 대대 차례가 된 대대는 불시의 파병 요청에도 빠른 시간 내에 즉각 파병이 가능하도록 항시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추가 파병 소요에 대비하여 각 공수특전여단의 대대들이나 국평단의 다른 대대들이 돌아가며 '예비지정 대대'를 맡고 있다. 즉 어느 나라에 대한 파병이 결정되면 그 시점에서 국평단 파병대기 대대로 지정되어 있는 대대가 우선적으로 파병되며, 이 선발대가 해외 파병 나가 있는 동안에 국평단이나 공수특전여단 중에서 예비지정 대대로 지정되어 있던 대대가 바로 이후에 교체될 2진으로 파병 준비에 돌입하는 한편 이후 3진으로 갈 또 다른 대대가 다음 예비지정대대로 선정되는 식으로 계속 순환 되어서 장기간의 파병에도 순조롭게 대비가 가능한 구조이다.

3. 편제

국제평화지원단 편제
대대 직할대
21대대 22대대 23대대 25대대 본부대 정통대 장정대
1·2·3 지역대 4·5·6 지역대 7·8·9 지역대 10·11·12지역대 ·
지역대별 5개 중대[2][3] ·

3.1. 직할대

3.2. 제21특전대대

3.3. 제22특전대대

3.4. 제23특전대대

3.5. 제25특전대대

2000년 제5공수특전여단에서 특수임무단으로 개편되면서 해체되었으나, 2013년에 재창설되었다.

4. 출신인물

4.1. 지휘관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단장.
역대 제5공수특전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정형택 예) 준장 여단장
4대 장기오 예) 중장 육사 12기 육군교육사령관, 수도군단
10대 서경석 예) 중장 학군 3기 제6군단
역대 특수임무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이영호 예) 준장 단장
5대 문영기 예) 준장 육사 40기 제11공수특전여단
6대 백선재 예) 준장 육사 39기 제7공수특전여단
역대 국제평화지원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백선재 예) 준장 육사 39기 제7공수특전여단
2대 최한오 대령 육사 41기 단장
3대 전면엽 예) 준장 단장
4대 김상걸 예) 대령 단장
5대 한재성 예) 대령 제13공수특전여단
6대 고태식 예) 대령 단장
7대 이강석 예) 대령 단장
8대 조재희 예) 대령 3사 25기단장
9대 강정덕 예) 대령 육사 46기 단장
10대 이홍철 대령 육사 49기 단장
11대 김대성 대령 육사 51기 前 육군학생군사학교 연세대 신촌캠퍼스 훈육관
35보병사단 백용성대대장
23신병교육연대
단장
[4]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선발, 훈련 및 역할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090911205330.jpg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090911205444.jpg
흑룡부대의 신입 특전부사관 전입교육[5] 중 갯벌 원산폭격 장면.[6]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YA_NP_20130702_00775612.jpg
2012년 아프간 재건지원단[7]에서 실시된 훈련의 한 장면
부대 특성상 특전사 부대들 중에서도 해외 파병을 제일 자주 가기 때문에, 특수전학교에서 임관한 특전부사관들 중 국평단 지원자를 받아 그 중 해외 파병에 제일 적합한 모범적인 대원들을 심사를 통해 선발한다. 이렇게 선발된 인원은 여단 전입 교육을 시작으로 각종 비정규전, 특수전 훈련 등 다른 특전여단들이 하는 통상적인 훈련들 외에도 추가로 해외 파병에 필요한 군사 교육과 해외문화, 언어 교육 등을 통해 해당 지역의 해외 파병임무에 최적화된 요원들을 양성한다.

국제평화지원단은 부대 내의 81만 7천 제곱미터의 부지에다가 '해외파병 전문 훈련장'을 만들어서 다양한 파병 현지와 유사한 환경들을 조성하고 실제 파병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들에 대처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시설들을 갖추어 놓았다. 이 훈련시설을 이용하여 위험지대 수색정찰, 검문검색, 수색정찰이나 검문검색 도중 적의 기습공격 상황, 이동간 적의 기습공격 상황, 주둔지에 대한 적의 기습공격 상황, 각종 테러 공격 상황 등 해외 파병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상황들에 대처하는 훈련을 받는다. 이 외에도 파병 시 임무에 특화된 각종 교육들도 받는다.

해외파병이 잦다 보니, 특전사의 부대들 중에서 외국어 특기를 가진 장교나 부사관, 특전병이 우선적으로 배치받는 부대이기도 하다. 특히 흔하게 쓰이는 외국어인 영어스페인어가 각광을 받고 있고, 워낙 희귀하지만 아랍어 가능자도 만약 있으면 환영 받는다.

비단 특전사 소속 부대원들 뿐 아니라, 해외파병 가는 국군 부대원들이라면 파병 전에 모두 이 국제평화지원단에서 수개월간 머물며 각종 해외파병 교육을 받게 된다. 즉 특전사에서 언제든 상시 파병준비가 되어 있는 우선 파병부대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전군의 해외파병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5.2. 해외 파병 실적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11216210654.jpg
아프가니스탄에서 미 육군 그린베레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는 국제평화지원단 장병
2010년 부대 창설 후 동명부대 6진으로 국제평화지원단 제23대대를 시작으로, 같은 해 오쉬노부대 1진으로 21대대가 파병을 갔으며 오쉬노부대의 경우 부대 창설부터 해체까지 국제평화지원단 소속 5개 대대, 3개의 지역대가 파병 임무를 수행하였다. 동명부대 13진과 14진으로 2013년부터 14년까지 파병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지금도 활동중이다.

5.3. 부대가

조국의 부름으로 모여선 우리
충성 명예 단결의 흑룡용사다
사나이 한 목숨 나라에 바쳐
영광된 통일 조국 이룩하리라

철석같은 전우애로 뭉쳐선 우리
하늘 땅 거친 바다 어딘들 못가냐
대한의 기상을 가슴에 안고
싸우면 이기는 5공수특전여단
제5공수특전여단가

우리는 대한의 빛나는 용사들
세계의 평화 위해 여기 모였다
조국의 명예와 세계의 평화 위해
대한의 정예부대 그 위상 높이자
세계평화유지 위해 하나된 우리
그 이름 명예롭다 국제평화지원단

우리는 세계의 용맹한 전우들
평화수호 위해 여기 뭉쳤다
해맑은 웃음과 세계 미래 위해
보람찬 최고 부대 그 전설 만들자
세계평화유지 위해 하나된 우리
그 이름 명예롭다 국제평화지원단
국제평화지원단가

6. 사건사고

7. 대중매체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제1101공병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 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 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 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 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 제7군수지원단 · 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 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 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지능정보기술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전투지휘훈련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 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 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 군사경찰단
인사사 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 근무지원단
3사교 근무지원단
학군교 근무지원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해체된 독립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국제평화지원단 부대마크.svg 파일:레바논 평화 유지단.svg 파일:20221213_084533.png 파일:external/res.heraldm.com/20130107000653_1.jpg 파일:백호부대 흉장.png
국제평화지원단 레바논 평화 유지단 UAE 군사훈련 협력단 남수단 재건지원단 제707특수임무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파일:국방부 마크_컬러본.png 대한민국 국군특수작전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특수전사령부
파일:해군특수전전단_마크.png
해군 특수전전단
특전
편제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특전
편제
제1특전대대 · 제3특전대대 · 제5특전대대
특임
부대
제13특수임무여단 · 국제평화지원단 특임
부대
폭발물처리대대(EOD) · 선견작전대대

제707특수임무단

특수임무대대
※ 관련 틀: 특수임무부대 |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 특수첩보부대 }}}}}}}}}


[1] 이후 제25특전대대는 2013년에 재창설된다.[2] 중대는 일반적으로 장교 2명, 부사관 10명 총 12명으로 구성된다.[3] 장교: 중대장(대위), 부중대장(소위~중위) / 부사관: 주특기별 2명씩 총 10명 (정작2, 화기2, 폭파2, 의무2, 통신2명). 간혹 주특기 인원이 3명인 경우도 있다.[4] 이전에도 육군특수전사령부 출신으로 정평이 높았다고 알려져있다.[5] 특수전교육단(현 특수전학교)에서 양성교육과 특수전교육을 마치고 각 여단으로 자대 배치가 된 신입 특전부사관들을 자대 작전팀에 배치시키기 전에 약 한 달 간의 적응 훈련을 시키는 과정이다.[6] 물론 최근은 아니고 90년대~2000년대 초중반 사이로 추정되는 사진이다.[7] 오쉬노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