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제17계획(Plan XVII)은 1913년 프랑스 제3공화국에서 채택된 대 독일 제국 전쟁 계획이다.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독일과 전쟁이 난다 → 알자스-로렌으로 돌격한다. 끝.
1905년 시작하여 독일이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한 슐리펜 계획이 구체적인 전쟁 수행 방침을 담고 있는 것에 반하여, 실지 회복이라는 애국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을 뿐 별다른 내용이 없었다.
다만, 이것도 전쟁계획은 계획이므로 어느 정도의 내용은 있었는데, 일단 아래와 같은 생각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
- 독일이 알자스-로렌 방면, 즉 프랑스와 독일 국경선으로 쳐들어오는 경우
자연스럽게도 제17계획은 공세계획 겸 프랑스의 방어계획이 된다. 쳐들어오는 독일군에게 반격타를 강하게 먹이면 방어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이럴 경우 해당 지역내에 프랑스가 여태까지 건설한 각종 요새 등 방어시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최악의 경우 밀리더라도 장기간 방어가 가능하다.
- 독일이 벨기에 방면 등 다른 루트로 쳐들어오는 경우
일단 벨기에 방면으로 쳐들어오는 경우는 가능성이 낮다고 보긴 했으나, 만일 이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알자스-로렌 방면의 독일군 숫자가 줄어들게 되므로 목적달성에 용이하다고 보았다. 또한 회전문 효과로 인해 독일군이 다른 루트에 군대를 집중할수록 프랑스군도 알자스-로렌을 더 쉽게 탈환하고 라인강을 건너 독일 본토로 진군하기 쉽게 되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프랑스의 승리로 전쟁이 더 빨리 끝날 수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프랑스의 생각대로라면 독일이 어떻게 하던지 알자스-로렌은 대부분 탈환이 가능하고, 설령 최악의 경우라도 독일의 침공군에 엄청난 반격을 가함으로서 방어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 러시아 수뇌부와의 여러번 접촉끝에 러시아군은 전쟁 발발 3~4주 내로 '모종'의 병력을 보내준다라고 합의하였다. 따라서 독일군은 회전문효과가 장기화되기 전 러시아를 막기 위해 후퇴할 것이다.
보통 단순 무식하기만 한 계획이었다는 식의 비판을 받고 있지만, 사실 이 계획도 믿는 구석은 있었다.
일단 전자의 경우는 당연히 알자스-로렌 방면에서 본인들이 계획한 것처럼 전투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 독일 너머에 있는 동맹국인 러시아와의 협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회전문효과를 통해 독일 본토로 들어갈 경우 독일군의 기동만 방어하면 되는 프랑스에 비해 독일이 더욱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공산이 컸다. 실제로 독일의 슐리펜 계획은 러시아의 낙후된 시스템상 총동원에 2달은 걸릴 것이라고 계산하고 이루어진 계획이었으나 프랑스의 자금지원을 통한 철도망 구축으로 러시아의 총동원은 생각보다 빠르게 끝났다. 또한 중립국 벨기에 방면으로 쳐들어오는 것은 참전을 망설이던 영국의 참전을 부르는 것이기도 했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그러나 이 계획에는 근본적인 결함과 급변하던 전장 환경의 특성상 아래와 같은 문제들이 있었다.
2. 문제점
- 앞서 언급했듯이 근본적으로 알자스-로렌 탈환 이후의 계획이 없다. 모든 일이 잘 된다는 최상의 경우라도 해당 지역을 탈환한 다음의 계획이 없다. 슐리펜 계획도 최소한 프랑스의 수도인 파리까지 근접해서 프랑스의 항복을 유도한다는 방침이 있으므로 적어도 전쟁의 종결에 대한 구상은 있는데, 제17계획은 설령 100% 성공하더라도 전쟁이 끝나지 않는다. 당장 독일의 수도인 베를린에는 근접도 못한 상황에서 프랑스의 승리로 전쟁이 끝나기를 빈다는 것이 딱 도둑놈 심보다.
- 알자스-로렌 지역을 포함한 프랑스와 독일의 국경선에는 양국이 설치한 각종 방어물로 도배되어 있었다. 게다가 이런 사실은 이미 양국이 충분히 알고 있던 공공연한 비밀이다. 당장 프랑스의 제17계획도 밀리면 프랑스에 설치된 요새시설을 이용해서 방어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 독일에 비해서 예비군 동원능력이 떨어지던 점, 보불전쟁 당시 프랑스 자신들이 스당 요새에서 개작살났던 전훈을 고려해 볼 때 전쟁이 발발한 즉시 몰아치는 것이 요새화된 알자스-로렌을 공략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기는 했다. 하지만 1차대전은 30년 전의 전쟁과는 달리 방어자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한 전장이었다.
- 회전문 효과가 프랑스군에만 유리하게 돌아간다고 착각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위에 말한 것처럼 영국이라는 카드가 있었다. 실제로 벨기에 방면으로의 침공은 영국의 참전을 부르기도 했고, 그러나 프랑스와 영국 원정군 지휘부는 독일의 우익은 주공이 아닐 거라는 희망 섞인 오판을 해서 독일의 쾌진격을 허용하고 만다. 덤으로 알자스-로렌의 돌파에 실패한 덕분에 회전문 효과 그딴 것 없이 전선은 프랑스 영토 내부에서 고착되고 그 지역은 쑥대밭이 된다.
- 3~4주뒤 러시아군은 실제로 동프로이센으로 진격했으나, 탄넨베르크 전투에서 처참히 패배 당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제17계획은 중간과정만이 있을 뿐 최종목표가 없는 반쪽짜리며 시대의 변화를 파악하지 못한 낡은 계획이었다.
슐리펜 계획의 허점이 상대방은 철저하게 호구이며 본인들은 터미네이터라는 전제를 기반으로 한 중간에 변경조차 어려운 복잡함에 있다면 제17계획은 전쟁을 끝낼 목표조차 갖추지 못할 만큼 단순무식했다는 점에서 극과 극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3. 실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프랑스군은 본 계획에 따라 알자스-로렌으로 공격을 시도하였다. 당시 다양한 경로로 들어온 첩보는 독일이 벨기에를 통해 우회하여 침공할 것을 시사했지만 공격지상주의(엘랑 비탈)가 지배하고 있던 프랑스군 수뇌부는 아랑곳하지 않고 무조건 강공을 시도한다.그러나 상대적으로 적은 병력이 배치된 부근임에도 불구하고 예상외로 독일군의 방어가 완강하여 공격은 지지부진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이 때 공세를 한 것조차 잊곤 한다. 프랑스 군부에서는 나폴레옹 시대의 기병의 기동력을 믿었으나 이미 기관총이나 야포가 널리 보급된 상황이라 참호를 파고 대응 사격을 하면 기병의 일제돌격이 먹힐리가 없었다. 게다가 해당 방면에는 독일이 설치한 각종 요새와 방어시설물이 넘치는 상황이니. 이런 상황에서도 공격 의지가 부족해서 이를 돌파하지 못한다며 일선 지휘관을 교체하는 추태를 벌였다.[1]
게다가 계획이 정체된 상황도 오래 지속되지 않았는데, 독일군이 곧 벨기에를 통하여 넘어오자 이를 막기 급급하여 프랑스군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바빴으며, 덕분에 알자스-로렌 방면의 독일군이 반격해서 상실한 지역을 되찾은 것도 모자라 오히려 국경선을 넘어서 일부 프랑스 영토를 점령하는 등의 흑역사로 남겨지게 된다. 한마디로 말해서 안한 것만 못한 결과로 남았다.
하지만 정말로 이 계획이 성공했더라면 프랑스군이 너무 멀리 진격한 덕분에 마른 전투에 제때 병력을 투입하지 못해서 오히려 프랑스가 전쟁에서 패배했을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