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1:23:52

제14무장척탄병사단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무장친위대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SS기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SS기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SS기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4SS경찰장갑척탄병사단 엠블럼.svg
1 SS기갑사단
LSSAH
2 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3 SS기갑사단
토텐코프
4 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파일:제5SS기갑사단 비킹 엠블럼.svg 파일:제6SS산악사단 노르트 엠블럼.svg 파일:제7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 엠블럼.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1px-8th_SS_Division_Logo.svg.png
5 SS기갑사단
비킹
6 SS산악사단
노르트
7 SS의용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
8 SS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0px-9th_SS_Division_Logo.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46px-10th_SS_Divsion_Logo.svg.png 파일:제11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12SS기갑사단 엠블럼.svg
9 SS기갑사단
호엔슈타우펜
10 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11 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노르트란트
12 SS기갑사단
히틀러유겐트
파일:13th_SS_Division_Logo.svg.png 파일:제14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15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16SS기갑척탄병사단 엠블럼.svg
13 무장산악사단
한트샤르
14 무장척탄병사단
갈리치엔
15 무장척탄병사단 16 SS기갑척탄병사단
라이히스퓌러
파일:제17SS기갑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18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19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0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17 SS기갑척탄병사단
괴츠 폰 베를리힝겐
18 SS의용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베셀
19 무장척탄병사단 20 무장척탄병사단
파일:제21무장산악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2SS의용기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3무장산악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3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엠블럼.svg
21 무장산악사단
스칸데르베크
22 SS의용기병사단
마리아 테레지아
23 무장산악사단
카마
23 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파일:제24무장산악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5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6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27SS의용척탄병사단 엠블럼.svg
24 무장산악사단
카르스트예거
25 무장척탄병사단
훈야디
26 무장척탄병사단
웅가리아
27 SS의용척탄병사단
랑에마르크
파일:제28SS의용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카민스키 여단 엠블럼.svg 파일:제29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0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28 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
29 무장척탄병사단
(제1러시아인사단)
29 무장척탄병사단
(제1이탈리아인사단)
30 무장척탄병사단
(제2러시아인사단)
파일:제30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1SS의용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2SS의용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3무장기병사단 엠블럼.svg
제30무장척탄병사단
(제1벨라루스인사단)
31 SS의용척탄병사단
발로니엔
32 SS무장척탄병사단
1월 30일
33 무장기병사단
파일:제33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4SS의용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5SS경찰척탄병사단 엠블럼.svg 파일:디를레방어 여단 엠블럼.svg
33 무장척탄병사단
샤를마뉴
34 SS의용척탄병사단
란트슈토름 네델란트
35 SS경찰척탄병사단 36 무장척탄병사단
파일:제37SS의용기병사단 엠블럼.svg 파일:제38SS척탄병사단 엠블럼.svg
37 SS의용기병사단
뤼초프
38 SS척탄병사단
니벨룽겐
}}}}}}}}}
<colcolor=#fff><colbgcolor=#000> 제14무장척탄병사단
14. Waffen Grenadier Division der SS (galizische Nr.1)
14-та Гренадерська Дивізія СС (1а галицька)
14-я Гренадерская Дивизия СС (1а галицкая)
파일:제14무장척탄병사단 엠블럼.svg
창설일 1943년 4월 28일
해체일 1945년 5월 10일
소속 무장친위대
규모 사단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2. 역사3. 전후4. 전쟁범죄5. 여담

[clearfix]

1. 개요

무장친위대에 속해 있던 외인부대 중 하나.

2. 역사

이 부대는 초기에는 SS저격사단이라고 불리다가 루테니안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1945년 3월에는 우크라이나 제1사단으로 개칭되었다. 구성 병력은 29/30/31SS 척탄병 연대, 정찰대대, 돌격포대대, 공병대대, 통신대대, SS경보병대대 등으로 편성되어 있었고 주 전역은 동부전선이었다.

이 부대는 우크라이나인 중에서도 2차 대전 이전에는 폴란드 영토였던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령 갈리치아 출신자를 주 구성원으로 하여 1943년 4월부터 편성되었다. 그것은 이들이 아리안 인종에 더 가깝다는 이유였고 슬라브계인 순수 우크라이나인은 받지 말라는 힘러의 지시가 있었다. 우크라이나인 부대가 편성된다는 것은 우크라이나 독립의 전조라고 보고 이 부대의 편성을 반긴 지원자가 상당히 많았다고 하며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모병한 지원자의 수가 81,999명 정도였다. 노병들까지 부사관으로 복무하겠디고 자원하는 등 모병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자원자 수를 늘이기 위해 신장 제한도 165cm에서 161cm로 완화했다고 하며 최종적으로 입대한 자원자의 수는 13,000명 정도라고 한다. 장교로는 독일인과 네덜란드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있었으며 우크라이나인 장교 중에는 우크라이나 인민군폴란드군 예비역 장교 출신자가 섞여 있었다. 나중에는 사단 구성원으로 슬로바키아인도 일부 합류한다.

1944년 2월부터 작전에 들어간 갈리치엔 사단은 경험은 부족해도 장비는 좋은 편이었다고 하며 발터 모델 원수 휘하에서 대빨치산 전투에 종사했으나 이해 여름의 바그라티온 공세를 맞아 박살났다. 철수에 성공한 생존자는 3천 명 가량으로, 이 부대를 재편성한 독일군은 이들을 1944년 9월에 발생한 반독 봉기 진압에 투입했다. 이후에는 1945년 2월부터 3월까지 슬로베니아-오스트리아 국경에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을 소탕하고 소련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임무를 맡았다가 4월에 대규모 병력 보충을 받아 오스트리아로 들어온 소련군과 격전을 벌여 큰 손실을 입었다. 1945년 4월부터는 우크라이나 국민군 1사단으로 개칭된다. 이를 통해 명목상으로나마 무장친위대의 외국인 부대가 아니라 독일이 대표성을 인정한 우크라이나 국가위원회 예하 부대로 재지정되게 된다. 그리고 5월 10일에 영국군미군에게 항복하면서 이들의 전쟁은 끝을 맺었다.

3. 전후

이들에게 정말 다행이었던 것은 항복한 뒤 이탈리아로 이송된 갈리치엔 사단 병사들이 자유 폴란드군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들을 전쟁 전 폴란드 국민으로 간주한[1] 자유 폴란드군 사령관 브와디스와프 안데르스 장군은 이들의 소련 송환을 막기 위해 나섰고 이들이 소련으로 가면 겪게 될 뻔한 운명을 알고 있었던 바티칸에서도 송환을 막으려고 나섰다. 사단 병력 중 176명은 아예 안데르스의 폴란드 2군단에 입대했고 7,100명에 달하는 갈리치엔 사단의 투항병들은 1947년에 영국캐나다로 이주할 수 있었다. 이들의 명단은 영국 정부에 의해 봉인되었으며 각계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한 번도 공개되지 않았다. 전쟁이 끝난 뒤의 반공주의 분위기를 탄 덕이라고 봐야 할 듯. 물론 소련 당국에서는 이를 열심히 씹었다. 전후 비참한 최후를 맞은 나치의 다른 외인부대들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4. 전쟁범죄

위키백과에도 세 건의 학살 사건이 등재되었으며 일부 부대는 바르샤바 봉기 진압에 투입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바르샤바 봉기가 아니라 바비야르 학살 때 적극적으로 독일군에 협조했던 것이 우크라이나 지원병들이었다.

하지만 갈리시아 부대가 바르샤바 봉기에 투입되었다는 기록은 없는데, 봉기 직전 소련군에게 참교육당해 박살나 후퇴해서 재편성 중이었기 때문. 실제 바르샤바의 학살은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들이 섞인 제29무장척탄병 사단 "RONA" 와 우크라이나 자위군 또는 제31우크라이나 보조경찰대대에 의해 자행되었는데, 이 대대가 나중에 갈리치아 사단으로 흡수되었으며 실제 바르샤바에 있던 갈리치아 부대원은 봉기 직전 포즈난의 SS학교에서 교육중이던 생도 10여명 가량으로, 생도부대가 통째로 바르샤바로 투입되었고 이들은 통역관 노릇을 했다고 한다. 오해가 퍼진 건 당시 폴란드 봉기군이 외국 SS 부대원들을 죄다 '우크라이나인'들로 부른 것과 볼린 학살로 대표되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이 벌인 깽판이 폴란드인들 사이에 이미 널리 퍼졌기 때문이었다.

문제는 사단의 기간이 된 일부 병력은 1943년 한참 이전부터 우크라이나 방위군 소속으로 독일군 편에 선 이들이었다는 것이다. 독일군이 조직한 이런 지역 치안유지 부대들은 독소전 초기 유대인 박해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독일군 부대가 유대인들을 체포해 집결시키면 이 치안부대 대원들이 사살하는 식으로 업무 분장을 이룰 정도였다.

총살 집행을 맡은 독일군 병사들의 정신이 PTSD로 맛이 가기 시작했기 때문에 독일인들은 자신들 병사도 아낄 겸 하여 반유대주의 성향이 강한 우크라이나인들을 앞세워 유대인들을 총살한 것. 후에 이들 우크라이나 대독협력자들은 서우크라이나 지방의 폴란드인들을 대량학살하는 것에도 동참했는데 이 학살에 갈리치엔 사단이 가담했다. 1943년 부터 시작된 이 대량학살로 인해 12만여 명에 이르는 폴란드인들이 학살당했는데도 안데르스 사령관은 고국의 동포들을 학살한 이들을 역으로 용서하고 보호해주었다.

5. 여담


[1] 2차대전 전의 폴란드는 현재의 폴란드와 달리 다민족 국가였다. 우크라이나인들은 당시 폴란드 영토의 남동쪽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었다.[2] 우크라이나 국가위원회는 스테판 반데라와 안드레이 멜니크 같은 굵직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지도자들의 지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