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姜齊)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태공 | 제2대 정공 | 제3대 을공 | 제4대 계공 |
제5대 애공 | 제6대 호공 | 제7대 헌공 | 제8대 무공 | |
제9대 여공 | 제10대 문공 | 제11대 성공 | 제12대 장공 | |
제13대 희공 | 제14대 양공 | 제15대 공손무지 | 제16대 환공 | |
제17대 공자 무휴 | 제18대 효공 | 제19대 소공 | 제20대 제군 사 | |
제21대 의공 | 제22대 혜공 | 제23대 경공 | 제24대 영공 | |
제25대 장공 | 제26대 경공 | 제27대 안유자 | 제28대 도공 | |
제29대 간공 | 제30대 평공 | 제31대 선공 | 제32대 강공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제(齊)나라 21대 국군''' | |||
성 | 강(姜) | ||
씨 | 여(呂) | ||
휘 | 상인(商人) | ||
아버지 | 제환공(齊桓公) 강소백(姜小白)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609년 | |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12년 ~ 기원전 609년 |
1. 개요
제나라의 제21대 군주. 제환공의 아들. 공자무휴, 제효공, 제소공, 제혜공의 이복 동생. 형 제 소공의 아들인 제군사를 죽이고 제나라 군주가 된다. 어머니는 밀희.2. 치세에 일어난 일
제 의공 4년(기원전 609년) 봄, 제의공이 아직 공자(公子)였을 때 병촉(邴歜)[2]의 아버지 병원(邴原)과 사냥나가다가 사냥감을 가지고 다투었다가 졌던 것에 한을 품고 그 복수로 병원의 시체에 월형(刖刑)을 내리고[3], 병촉을 노비로 만들었다. 그리고 용식(庸職)[4]의 아내가 아름다워 그녀를 빼앗고는 용식을 수레에서 시중드는 이로 삼았다.그 해 5월 신지(申池)[5]에서 의공은 이들을 데리고 놀러갔는데, 병촉이 어떤 일로 용식을 때렸다. 그래서 용식이 화를 내자, 병촉이 욕을 했다.
남이 제 아내를 뺏어도 노할 줄 모르는 놈이 한 대 맞았기로서니 뭣이 기분 나쁘단 말인가?
용식도 화가 나서 말했다.아비 발을 자른 놈을 뒤치다꺼리하면서도 헤벌레하는 이는 또 어떤가?
이렇게 싸우고 나자, 이들은 갑자기 화가 치밀었다. 둘은 공모해서 의공을 죽이고는 대나무 밭에 버리고 돌아와 제나라에서 도망쳐버렸다.
그리고 위나라에 있던 공자 원 즉 강원(姜元)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제혜공(齊惠公)이다.
[1] 취소선 드립 해놨지만 바로 물건 사고파는 상인을 뜻하는 그 한자 맞다.[2] 여기서 歜은 병음으로 chù라 읽는다. 일명 병융(丙戎)이라고도 한다.[3] 발뒤꿈치를 자르는 형벌[4] 열국지에는 염직(閻職)으로 나온다.[5] 제나라 수도 임치성 서문 밖에 있던 연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