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29:08

정재복(정치인)

<colbgcolor=#4f1d12><colcolor=#fff> 가나반공정당코리아 상임고문
정재복
鄭在福
파일:IMG_48130000.jpg
출생 1946년 5월 3일 ([age(1946-05-03)]세)
현직 가나반공정당코리아 상임고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소속 정당
파일:qksrhdwjdekd.png

약력 건국당 대표
가인친환경당 대표
겨레자유평화통일당 공동대표
가자코리아겨레자유평화통일당 상임고문
가자코리아 상임고문
가나코리아 상임고문

1. 개요2. 생애3. 여담4. 선거 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반공 민족주의 정당 가나반공정당코리아의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2. 생애

1946년 5월 3일에 출생하여, 민중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중당 소속으로 충청남도 제11선거구(서산군[1])에 출마하였으나, 758표(0.84%)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1991년, 1991년 지방선거에서 공명민주당[2]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1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명민주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301표(0.26%)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이후, 소속 정당인 공명민주당은 비례대표 득표율 미달로 강제 해산되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1동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683표(3.83%)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노년권익보호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제1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1,340표(3.77%)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년권익보호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출마하였으나, 101표(0.11%)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시민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482표(0.20%)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07년, 이래원과 함께 국제녹색당[3]을 창당하였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탈당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건국당[4] 소속으로 8년전에 출마하였던 서울특별시 종로구 제1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40표(0.62%)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출마하였으나, 68표(0.08%)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14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류승구와 함께 공동대표직을 역임중인 겨레자유평화통일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2,652표(0.95%)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가자코리아[5] 소속으로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53표(0.25%)의 득표율로 낙선하였다.

2016년 이후로는 어떠한 선거에도 출마하지 않아, 70세가 넘는 나이로 인하여 정계 미련을 버린듯 하다.

3. 여담

군소정당 소속인지라 단 한번도 당선된 적은 없지만 1971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 5번,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2번, 광역의회의원 선거 3번, 기초의회의원 선거 1번, 총 11번의 선거에 출마하였다.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11[6]

[[민중당(1967년)|]]
758 (0.84%) 낙선 (5위)
1991 1991년 지방선거 서울 동대문 1
파일:공명민주당글자.png
- 낙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동대문 갑 301 (0.26%) 낙선 (8위)
1995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노원 공릉1동

[[무소속(정치)|
무소속
]]
683 (3.83%) 낙선 (9위)
200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종로 1
파일:노년권익보호당.png
1,340 (3.77%) 낙선 (3위)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 101 (0.11%) 낙선 (7위)
2006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노원구청장
[[시민당(동음이의어)|
파일:시민당2006년.png
]]
482 (0.20%) 낙선 (7위)
2010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종로 1
파일:건국당.png
240 (0.62%) 낙선 (4위)
201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
파일:불화통당글자.png
]]
68 (0.08%) 낙선 (8위)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노원구청장
[[겨레자유평화통일당|
파일:겨레자유평화통일당.png
]]
2,652 (0.95%) 낙선 (3위)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중·성동 을
[[반공정당코리아|
파일:가자코리아 로고타입.svg
]]
253 (0.25%) 낙선 (5위)

처음으로 출마한 1971년 국회의원 선거를 제외하고는 모두 최하위로 낙선하였다.


[1] 현재의 서산시태안군 지역이다.[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후 득표율 미만으로 해산.[3] 현재는 한국독립당으로 당이 개편되었다.[4] 2009년 창당. 2011년 한화갑을 중심으로 창당했던 평화민주당에 흡수되었다. #[5] 겨레자유평화통일당에서 가자코리아로 바뀐 이후에는 공동대표직에서 물러나고, 상임고문직을 현재까지 맡고 있다.[6] 서산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