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군 | ||
'''70 박진만 [[틀:삼성 라이온즈 감독| ★ ]] · 73 정대현 · 75 손주인 · 77 배영섭· 84 강영식 · 85 이진영 · 90 박찬도 · 97 강명구 · 98 채상병 · # 이종욱''' | |||
2군 | |||
71 조동찬 · 74 박한이 · 79 정민태 · 87 박희수 · 92 정병곤 · # 이흥련 · # 최일언 [[틀: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 ]] | |||
(3군) 육성군 / 재활군 | |||
82 김정혁 · 88 정현욱 · 91 다바타 | |||
컨디셔닝 파트 | |||
00 정연창 · 72 나이토 · 81 권오경 · 83 윤석훈 · 86 한흥일 · 93 윤성철 · 95 박승주 · 96 허준환 · 08 김용해 · 09 염상철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1군 엔트리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정병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2013 |
LG 트윈스 등번호 4번 | ||||
박용근 (2007~2010) | → | <colcolor=#fff> 정병곤 (2011~2012) | → | 박용근 (2013)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번 | ||||
손주인 (2010~2012) | → | <colbgcolor=#c0c0c0> 정병곤 (2013~2014) | → | 김영한 (2015)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2번 | ||||
김성훈 (2016) | → | 정병곤 (2017~2018) | → | 공민규 (2019. 5. 3.~2020. 6. 7.) |
두산 베어스 등번호 35번 | ||||
김도현 (2018) | → | 정병곤 (2019) | → | 전태준 (2020) |
두산 베어스 등번호 79번 | ||||
김민재 (2019~2020) | → | 정병곤 (2021~2022) | → | 박정배 (2023~)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92번 | ||||
김승현 (2016) | → | 정병곤 (2023~) | → | 현역 |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삼성 라이온즈 No.92 | |
정병곤 鄭炳坤 | Jung Byeong-Gon | |
출생 | 1988년 3월 23일 ([age(1988-03-23)]세)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1]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내당초(삼성리틀) - 경복중[2][3] - 경북고 - 단국대 |
신체 | 173cm, 73kg |
포지션 | 유격수, 2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1년 9라운드 (전체 66번, LG) |
소속팀 | LG 트윈스 (2011~2012) 삼성 라이온즈 (2013~2018) 두산 베어스 (2019) |
지도자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수비코치 (2020) 두산 베어스 2군 수비·작전코치 (2021~2022)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야수코치 (2023) 삼성 라이온즈 2군 수비·주루코치 (2024~) |
병역 | 공익근무요원 (2014~2016) |
[clearfix]
1. 개요
前 LG 트윈스, 삼성 라이온즈, 두산 베어스 소속 내야수. 現 삼성 라이온즈 2군 주루코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정병곤/선수 경력 | ||
LG 시절 | 2013년 | 2014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2020년 한 해 동안 모교인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를 맡다가, 2021년부터 현역 마지막 팀이었던 두산 베어스 코치로 영입되었다. 경북고에서도 수비 코치를 맡았고 현역 시절에도 수비력에 강점이 있었으며, 때마침 두산도 조성환 코치의 이적으로 수비코치 자리가 빈 만큼 1군이든 2군이든 수비코치 역할을 부여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2군 수비코치로 내정되었다.2023년부터 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야수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4. 플레이 스타일
172cm/74kg의 상당히 왜소한 체격을 가진 수비 전문 백업 내야수이다. 타격은 단국대 시절에도 2할 초중반[4]을 왔다갔다 할 정도로 안 좋았고, 정말 수비 하나로 프로에서 10년 가까이 살아남은 선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북고 시절 2006 봉황대기 도루왕을 차지한 경력이 있기는 하나 프로 통산 도루가 단 한개에 그칠 정도로 기본적인 주력은 있으나 대주자로서의 활용도가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한 마디로 수비 원툴 플레이어. 대학 때 수비 하나만으로 대학리그 최고 교타자 백상원을 밀어냈다는 사실만 봐도 이 선수의 수비력이 어느 정도인지 체감할 만 하다.단대 시절 아마추어 무대에서 유일하게 3루수 방향 깊은 타구를 캐치해 노스텝으로 1루에 뿌려 아웃시킬 수 있는 유격수였다는 평이 있으며, 타구 판단 능력이 좋고 수비 범위가 엄청나게 넓어 정병곤 주변으로 오는 웬만한 타구는 글러브에 걸릴 정도였다고. 이는 프로에 와서도 변하지 않아 수비 하나로 1군 백업 요원으로 생존하고 있다.
타격은 정말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이지만, 단국대 시절 대학무대에서 통산 2할 초반대를 쳤던 것을 감안하면 프로에서 멘도사 라인은 간신히 기록하고 있으니 상당히 선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팬들도 워낙에 정병곤의 타격에 기대가 없다 보니, 가끔 뜬금 안타가 터지면 환호하는 팬들이 많다. 물론 정병곤 본인도 대수비 요원으로서 최소한의 타율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볼 수 있다.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2011 | LG | 11 | 20 | .200 | 4 | 0 | 1 | 0 | 2 | 1 | 0 | 0 | .300 | .200 |
2012 | 1군 기록 없음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2013 | 삼성 | 54 | 61 | .213 | 13 | 1 | 0 | 0 | 5 | 12 | 0 | 4 | .230 | .258 |
2014 | 1군 기록 없음 | |||||||||||||
2015 | 군복무 | |||||||||||||
2016 | ||||||||||||||
2017 | 74 | 74 | .216 | 16 | 0 | 0 | 2 | 7 | 16 | 1 | 6 | .297 | .275 | |
2018 | 6 | 15 | .067 | 1 | 0 | 0 | 0 | 2 | 1 | 0 | 0 | .067 | .063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2019 | 두산 | 20 | 27 | .185 | 5 | 1 | 0 | 0 | 4 | 6 | 0 | 4 | .222 | .290 |
KBO 통산 (5시즌) | 165 | 197 | .198 | 39 | 2 | 1 | 2 | 20 | 36 | 1 | 14 | .249 | .249 |
6. 기타
- 개리를 닮았다고 한다.
- LG 시절은 물론이고 삼성에서도 삽질 이미지와 류중일의 양아들 이미지 때문인지 한동안 좋은 의미의 별명이 거의 없었다. 그나마 위에서 말한 신의손이라는 별명이 나오기 전까지 정병곤이 가진 가장 좋은 별명이 "류병곤"일 정도였고, 못할 땐 당연히 정병신이라며 까였다. 특히 사자 사랑방에선 다른 선수 앞길을 막는다는 이유만으로 온갖 욕설을 섞어가며 깠다. 그러나 백상원의 처참한 수비력이 드러난 이후 여론이 제법 호전되어, 현재는 이름 끝 글자를 따서 '고니', 외야수 김헌곤과 구분해 '내야고니'라고 불린다.
- 시력이 좋지 않은지 일상생활에서는 안경을 쓰고 다니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
7. 관련 문서
[1] KBO 역대 등록선수 중 유일한 청송군 출신. 이후 성장은 대구광역시에서 했다.[2] KBO 홈페이지에서는 경북중으로 표시되어 있었으나 대구에는 경북중학교가 존재하지 않는다.(정확히 말하면 원래는 있었지만 경운중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즉 경복중학교가 정확한 표기. 현재는 경복중으로 수정되었다.[3] 2018년 협성중과 통폐합되면서 협성경복중으로 바뀌었다.[4] 대학 시절 타율 커리어하이가 .254다. 심지어는 졸업반 때에는 타율 .217로 공격력이 최악 수준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지명을 받았다. 그만큼 수비능력이 걸출했다는 것이다.[5] 정식 응원가는 아니다. 지못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