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3 02:01:04

전선을 간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창모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전선을 간다(창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가사3. 기타

1. 개요

대한민국 국군군가 중 하나.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공군으로 복무한 사람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특히, 공군 기훈단에서는 훈련병들에게 다른 군가는 잘 안 가르쳐줘도 '전선을 간다' 와 '푸른 소나무' 만큼은 대부분 가르쳐준다. 특유의 비장한 음악과 가사 덕분에 전방사단에서는 최후의 5분과 함께 가장 인기 있는 군가다.

대한민국 국방부 정훈국에서 1980,81년에 군가 및 진중가요를 공모했을 당시 군가 부문에서 가작으로 선정된 작품이었다.# 이후 국군홍보관리소에서 제작한 영화 <종군수첩>에 삽입되었고, 임권택 감독 신일룡 정윤희 남궁원 주연 영화 <아벤고 공수군단>의 주제가로도 쓰였다.

작곡자는 로보트 태권 V의 주제가를 작곡한 최창권[1]. 비단 그 때문만은 아니겠지만, 다른 군가들과 비교해 보아도 오케스트레이션이 상당히 박진감 있게 잘 짜여져 있다.

작사가 우용삼에 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많지 않다. 다만 박종세 아나운서의 회고에 따르면 본인이 국방부 홍보관리소에서 <국방뉴스> 해설을 담당할 당시(1966~1996) 우용삼이 감독이었다고 한다.# 이런 기록으로 미루어볼 때, 아마 우용삼은 국방부 직원 신분으로 최창권과 함께 공모전에 응모했던 것 같다.

2. 가사

의정부 콘서트 콰이어 합창 버전
(지휘:배윤경)
제3 회 국방부장관상 군가합창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한 제21보병사단의 합창
대한민국 국군에서 공식적으로 사용 중인 버전
전선을 간다


1절
높은 산 깊은 골 적막한 산하
눈 내린 전선을 우리는 간다
젊은 넋 숨져간 그 때 그 자리
상처 입은 노송(老松)은 말을 잊었네[2]

2절
푸른 숲 맑은 물 숨쉬는 산하
봄이 온 전선을 우리는 간다
젊은 피 스며든 그 때 그 자리
이끼 낀 바위는 말을 잊었네

후렴
전우여 들리는가 그 성난 목소리
전우여 보이는가 한 맺힌 눈동자
최후의 5분이 강렬하다면, <전선을 간다>는 비장하다. 내용은 어느 겨울, 혹은 어느 봄, 배치된 전선에서 죽어간 어느 전우를 추억하며 그 원한을 되새김질한다는 것.

3. 기타



[1] 세 아들 최명섭, 최귀섭, 최호섭도 모두 음악을 했는데, 이들이 바로 그 '세월이 가면'을 작사, 작곡, 노래한 주역들이다. 최명섭과 최귀섭은 콤비로 활동하며 원준희의 '사랑은 유리 같은 것'을 작사, 작곡하기도 했으며, 최명섭은 1980년 MBC 대학가요제에 밴드 '샤프'로 출전해 직접 작사, 작곡한 '연극이 끝난 후'로 은상을 수상했다.[2] 과거에 그 곳에서 전투를 목격했을 오래된 소나무, 민족의 조상, 젊은 장병들의 희생을 지켜본 고위 지휘관 등으로 해석된다.[3] 전선을 교체한다라는 뜻이 그냥 전선을 간다라고 말해도 되기 때문이다.[4] 장석조 감독이 직접 불렀다. 다만 가사 대신 허밍으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