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2:43:00

재승차 환승 할인

재승차 할인에서 넘어옴

1. 개요2. 수도권 전철
2.1. 동일역 5분 재개표 요금제2.2. 지하철 하차 후 15분 이내 재승차 환승적용(서울시 운영 노선)2.3. 간접환승을 이용한 편법(GTX-A 환승역)2.4. 공항철도 독립운임구간 편법
3. 부산 도시철도4. 대구 도시철도
4.1. 10분 내 운임 환불 제도4.2. 간접환승을 이용한 편법(대경선 환승역)

1. 개요

전철 이용 도중 개표구 밖으로 나가야 할 일[1]이 있을 때 나간 후 5~15분[2] 내로 다시 승차하면 환승으로 인정해주는 환승할인 제도이다. 단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광역전철, 대구 도시철도, 대경선, 대전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는 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3]

버스에도 '동일 노선 및 동일 차량 환승'이라는 비슷한 개념이 존재한다. 의성군 농어촌버스[4], 예천군 농어촌버스에서만 제공된다.

2. 수도권 전철

2.1. 동일역 5분 재개표 요금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전철#s-4.2|4.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전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2년 6월 16일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예시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 승차 →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 하차 →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 재승차(이 모든 것이 5분 이내) 가능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 승차 → 파일:Seoulmetro1_icon.svg 회기역 하차 → 파일:Seoulmetro1_icon.svg 회기역 재승차 불가(기본 운임 새로 부과)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 승차(10:00) →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 하차 →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역 재승차(10:10) 불가(기본 운임 새로 부과)
파일:Seoulmetro2_icon.svg 선릉역 승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선릉역 하차 → 선릉역 재승차 불가(기본 운임 새로 부과)

2.2. 지하철 하차 후 15분 이내 재승차 환승적용(서울시 운영 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전철#s-4.3|4.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도권 전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년 7월 1일부터 10분 이내 재승차 환승적용으로 시범 운영되었다가 2023년 10월 7일부터 15분으로 확대하여 정식 운영되는 제도이다.

서울시 산하의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지티엑스에이운영[5] 구간과 진접선, 별내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하남선에서만 가능하다. 정부 산하 공기업인 한국철도공사 1호선 지상구간이나 과천선, 안산선, 일산선, 경춘선, 경강선, 서해선, 수인·분당선이나 경의·중앙선, 7호선 부천·인천 구간등에서는 불가능하다.

기존 동일역 5분 재개표 요금제와의 차이점은 할인 인정구간 범위가 좁은 대신 하차와 재승차만 동일 역 동일 노선 개찰구를 이용한다면 승차역은 상관없다는 점, 환승 인정 시간이 더 길다는 점이다.[6]

[ 15분 이내 재승차 환승적용 적용 구간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fff,#1f2023> 노선 || 구간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창동,
청량리 ~ 서울[7][서울]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전 구간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지축 ~ 오금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진접 ~ 남태령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전 구간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응암순환 ~ 봉화산[9]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장암 ~ 온수
파일:Seoulmetro8_icon.svg 8호선 전 구간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전 구간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복정[10]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옥수[11]
파일:SillimLine_icon.svg 신림선 전 구간
파일:UiLine_icon.svg 우이신설선 전 구간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A 전 구간[GTX-A]

예시
파일:Seoulmetro6_icon.svg 이태원역 승차 → 파일:Seoulmetro6_icon.svg 공덕역 하차 → 파일:Seoulmetro6_icon.svg 공덕역 승차(하차 후 15분 이내) 가능
파일:Seoulmetro6_icon.svg 이태원역 승차 → 파일:Seoulmetro6_icon.svg 공덕역 하차 → 파일:Seoulmetro5_icon.svg 공덕역 승차(하차 후 15분 이내) 불가(기본 운임 새로 부과)

2.3. 간접환승을 이용한 편법(GTX-A 환승역)

위의 재승차 환승할인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GTX-A 환승역에서는 간접환승을 이용하여 재승차 환승 할인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수도권 전철의 다른 노선과 GTX-A 간에는 30분[환승시간] 안에만 환승한다면 환승 할인 처리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30분[환승시간] 내에 GTX-A 게이트를 찍고 오는 것이다. 서울역의 경우 경의·중앙선 ↔ 타 노선 간에도 간접환승이므로 경의선 게이트를 찍고 와도 상관없으며, 이 경우에는 추가 요금이 없으므로 150원이 추가되는 GTX-A 게이트보다는 경의선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용이 가능한 역은 다음과 같다.
예시
파일:SBLine_icon.svg 수서역 하차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서역 승차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서역 하차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서역 승차 가능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대곡역 하차 →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곡역 승차 →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곡역 하차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대곡역 승차 가능
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울역 하차 → 파일:GJLine_icon.svg 서울역 승차 → 파일:GJLine_icon.svg 서울역 하차 → 파일:Seoulmetro4_icon.svg 서울역 승차 가능

2.4. 공항철도 독립운임구간 편법

3. 부산 도시철도

동일역 5분 내 재개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부산 도시철도에서 시행중인 제도로 부산교통공사 관할 노선에서만 가능하며, 기타 광역전철인 동해선이나 김해경전철에서는 재개표 서비스를 운영하지 않는다.
예시
파일:Busan1.svg 초량역 승차 → 파일:Busan1.svg 초량역 하차 → 파일:Busan1.svg 초량역 승차(이 모든 것이 5분 이내) 가능
파일:Busan1.svg 서면역 승차 → 파일:Busan1.svg 서면역 하차 → 파일:Busan2.svg 서면역 승차(이 모든 것이 5분 이내) 가능
파일:Busan1.svg 초량역 승차 → 파일:Busan1.svg 서면역 하차 → 파일:Busan2.svg 서면역 승차 불가(기본 운임 새로 부과)

참고로 동남권의 경우에는 이전에 이용했던 교통수단은 중간에 다른 수단을 끼워 타도 환승이 불가능하고 기본요금이 새로 부과되므로, 수도권/대구권과는 달리 간접환승 편법은 불가능하다.

4. 대구 도시철도

4.1. 10분 내 운임 환불 제도

대구교통공사 관할 1~3호선의 경우, 전산상으로 재승차 환승 할인은 되지 않지만, 횡단 불가 역에서 반대편으로 넘어가거나 환승역에서 환승 통로를 착각하고 잘못 하차한 경우 등으로 운임을 두 번 지불한 경우 10분 이내에 직원에게 문의하면 1회분의 운임을 환불해 준다. 사실상 수동 방식의 재승차 환승할인제도가 있는 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초 승차 태그 후 10분 이내에 열차를 타지 않고 직원에게 환불 문의하면 운임을 환불해 준다.

단 환불 신청 후 버스로 환승한 경우에는 환불되지 않는다.

대경선은 해당되지 않는다.

4.2. 간접환승을 이용한 편법(대경선 환승역)

위의 운임 환불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대경선 환승역에서는 간접환승을 이용하여 재승차 환승 할인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대구 도시철도와 대경선 간에는 33분 안에만 환승한다면 환승 할인 처리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33분 내에 대경선 게이트를 찍고 오는 것이다.

다만, 750원이 추가 부과되며 대경선 환승은 막장환승이므로 경우에 따라서 버스로 환승하는 편이 더 나을 수 있다. 또한 대경선은 중간에 대구 도시철도를 끼워도 환승이 단절되므로, 대경선은 이러한 방식으로 재승차가 불가능하다.

이용이 가능한 역은 다음과 같다.
예시
파일:Daegu1.svg 대구역 하차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구역 승차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구역 하차 → 파일:Daegu1.svg 대구역 승차 가능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구역 하차 → 파일:Daegu1.svg 대구역 승차 → 파일:Daegu1.svg 대구역 하차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구역 승차 불가(기본 운임 새로 부과)

[1] 개표구 밖의 공중화장실에 볼일을 보러 가야 하는 경우, 직거래 물품교환, 혹은 반대 방향으로 잘못 탔을 때 등등..[2] 지역 및 노선에 따라 인정되는 시간이 다르다.[3] 재승차 환승 할인이 되지 않더라도, 화장실 이용이나 반대편 횡단은 직원을 호출하면 웬만하면 비상게이트를 열어준다.[4] 2025년부터 요금 무료화 시행[5]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이므로 사실상 서울시 산하 공기업이다.[6] 온수역, 가산디지털단지역은 1호선, 7호선 모두 개찰구가 있지만 7호선 개찰구로 나가 다시 7호선 개찰구를 이용해 1호선을 이용하면 15분 재승차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반대로 왕십리역에서도 2호선 개찰구로 나가 2호선 개찰구를 통해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을 이용하거나 모란역에서도 8호선 개찰구로 나가 다시 8호선 개찰구를 통해 수인분당선을 이용하면 동일하게 15분 재승차 환승할인이 적용된다.[7] 1호선 창동역은 한국철도공사 관할이지만, 한국철도공사 게이트 없이 서울교통공사의 4호선 게이트만 있으므로 1호선을 이용하더라도 재승차가 가능하다.[서울] 1호선 서울역은 서울교통공사 게이트(지하역) 한정이며, 한국철도공사 게이트(지상역)로는 불가능하다.[9] 신내역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지만 6호선 개찰구 없이 한국철도공사의 경춘선 개찰구만 있으므로 해당되지 않는다.[10] 수인·분당선 복정역은 한국철도공사 관할이지만, 한국철도공사 게이트 없이 서울교통공사의 8호선 게이트만 있으므로 수인·분당선을 이용하더라도 재승차가 가능하다.[11] 경의·중앙선 옥수역은 한국철도공사 관할이지만, 한국철도공사 게이트 없이 서울교통공사의 3호선 게이트만 있으므로 경의·중앙선을 이용하더라도 재승차가 가능하다. 다만, ITX청춘 환승용 승하차 처리기는 한국철도공사의 단말기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GTX-A] GTX-A는 10분 이내이다.[GTX-A] [14] 예를 들어, 1km 이동한 후 반대편 열차를 잘못 탄 걸 알고 50km 이동한 경우에는 그냥 처음부터 잘 탔거나 하차 태그 없이 반대편으로 이동 후 탔다면 49km 이동한 거라 거리 초과 운임이 안 나오는 걸 51km 이동한 게 되어 거리 초과 운임이 부과된다는 뜻이다. 개찰구 통과 없이는 반대편 이동이 불가능한 역이라면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호출벨을 누르고 비상게이트를 이용하는 편이 낫다.[15] GTX는 승차역과 하차역이 다를 경우 별도부과운임과 거리요금이 부과된다.[환승시간] 정확한 환승 인정 시간은 다음과 같다.
05:54:00 ~ 06:26:59 하차: 06:59:59까지 환승 가능,
06:27:00 ~ 19:54:00 하차: 33분 후까지 환승 가능,
19:54:01 ~ 20:26:59 하차: 33분 후까지 환승 가능하고 이후 21시까지 불가능하다가 21:00:00부터 하차 66분 후까지 환승 가능,
20:27:00 ~ 05:53:59 하차: 66분 후까지 환승 가능
[환승시간] [GTX-A] [GTX-A] [20] 서울역에서도 이 방법을 쓸 수 있으나, 경의선을 이용하면 무료로 재승차가 가능하므로 경의선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환승시간] [환승시간] [환승시간] [환승시간] [25] 다만 굳이 그럴 필요가 없이 그냥 게이트 찍고 들어가자마자 그 게이트로 다시 나오는 것이 가장 빠르다.[환승시간] [환승시간] [환승시간] [29] 1호선 게이트가 가장 가까우므로, 1호선 게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최선이다.[환승시간] [31] 다만 굳이 그럴 필요가 없이 그냥 게이트 찍고 들어가자마자 그 게이트로 다시 나오는 것이 가장 빠르다.[32] 쉽게 말해서, 이동 도중에 청라국제도시역을 통과해 가는 경우[33] 환승역의 경우 타 노선의 개집표기에서 재개표해도 환승 처리된다.[34] 다만, 정기권으로 5분 재개표 후 다시 하차 후 승차하는 경우 '15분 재개표' 페널티가 부여되며 15분동안 정기권으로 승차가 불가능해진다.[35] 대구권에서는 최대 환승 횟수가 2회이므로 이전에 환승 횟수가 차감되지 않은 경우에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