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레져헌터 소속 크리에이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JAM2 HOUSE 재미하우스 | 가재맨 | 김경섭 | 긍정맨 | 김리하 | 김인호 |
| 김준표 | 김채옹이 | 김켄지 | 꾹TV | 꿀꿀선아 | 나기 | |
| 네자매모먼트 | 다인이공 | 단미호 | 대륙남 | 도로시 | 뚱치땅치 | |
| 띠미 | 마진가TV | 마이린 TV | 멋지다 김소선 | 박틸다 | 방앗간 비둘기 | |
| 비치키 | 뽀식이의 궁튜브 | 서담 | 소개해주는 남자 | 솔이 | 쇼갱 | |
| 심자몬 | 쌈무이 | 안산저격수 | 얀콘 | 억텐션 | 에드머 | |
| 예또세상 | 예씨 | 유말랑 | 유소나 | 유진씨 | 유후의 피아노래 | |
| 윤루트 | 이루의 마인크래프트 | 잉여맨 | 잡재홍 | 정치왓수다 | 젼언니 | |
| 쥐늑대 | 지피티 | 진영민 | 채채 | 청담언니 | 취한무드등 | |
| 코어 오브 아이디어 | 파동TV | 팡이요 | 펭귄몬스터 | 표림 | 풋군 | |
| 프로즈 | 플레임TV | 홍성오빠 | 황룡갑 | |||
| 전체 소속 크리에이터 | ||||||
| <colbgcolor=#868e96><colcolor=#fff> 이루 Leru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마인크래프트 스킨 ▼ ] {{{#!wiki style="margin: -6px -1px -32px" | <colbgcolor=#fff,#191919> | |
| 본명 | 비공개[1] | ||
| 출생 | 2005년 5월 6일 ([age(2005-05-06)]세) | ||
| 서울특별시 | |||
| 국적 | | ||
| 신체 | 179cm[2] | ||
| MBTI | INFP | ||
| 첫 방송일 | 2023년 7월 4일 ([dday(2023-07-03)]일째, [age(2023-07-03)]주년) | ||
| 닉네임 | unique_leru (마인크래프트) | ||
| 소속 | 트레져헌터 | ||
| 플랫폼 현황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구독자 | 46.5만 명 | ||
| 조회수 | 3.93억 회 | ||
| 동영상 | 499개 | ||
| 개설 일자 | 2023년 7월 4일 | ||
| 구독자 | 7.8천 명 | ||
| 조회수 | 5.55만 회 | ||
| 동영상 | 1개(고정) | ||
| 개설 일자 | 2024년 1월 12일 | ||
| 팔로워 | 1.3만 명 | ||
| 팔로워 | 3.67만 명 | ||
| 좋아요 | 110만 개 | ||
| 기준: 2025년 9월 4일 | |||
| 관련 링크 | |
| 플랫폼 | |
| SNS | |
| 커뮤니티 | |
1. 개요
마인크래프트 행위 예술가
'이루의 마인크래프트' 유튜브 설명란
대한민국의 마인크래프트 유튜버. 해외의 마인크래프트 밈을 차용한 쇼츠를 시작으로 다양한 마인크래프트 영상을 제작하고 있다.'이루의 마인크래프트' 유튜브 설명란
2. 특징
재밌는 컨셉과 깔쌈한 편집으로 유튜브 쇼츠에서 큰 인기를 얻어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채널을 개설한 지 72일 만에 구독자 1000명, 107일 만에 구독자 10만명을 달성하였다.학연으로 연결된 친구들인 민재, 상우, 규민과 함께 영상을 제작한다.[5] 거의 모든 영상에 친구들이 출연하며, 가끔은 이루가 전혀 등장하지 않는 영상도 있다. # 친구들이 영상 편집을 하기도 한다는 언급이 있는 것을 보면, 친구들이 채널 운영에 꽤나 많이 참여하는 듯하다.
최근 자주 올라오는 롱폼 영상에서는 본인들만의 유행어를 사용하거나 디스와 억까가 난무하는 등 넷의 실친 케미가 돋보인다. 많은 시청자들이 이 케미를 좋아하며, 넷을 '이민상규'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이루의 채널 중 하나인 이루의 야생일지 채널은 야생일지 ep.2예고편이 나온 후 약 1년 동안 영상이 업로드 되지 않았다. ([폐쇄예정] 참고)
3. 콘텐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루(인터넷 방송인)/콘텐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루(인터넷 방송인)/콘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방송 역사
- 2023년 7월 4일: 채널 개설
- 2023년 7월 4일: 첫 Shorts 영상 업로드[7]
- 2023년 9월 13일: 구독자 1,000명 달성
- 2023년 9월 27일: 구독자 10,000명 달성
- 2023년 10월 18일: 구독자 100,000명 달성
- 2023년 12월 17일: 구독자 200,000명 달성
- 2024년 1월 18일: 유튜브 누적 조회수 1억회 달성
- 2024년 3월 1일: 구독자 300,000명 달성
- 2024년 7월 3일: 유튜브 누적 조회수 2억회 달성
- 2024년 12월 2일: 구독자 400,000명 달성
- 2024년 12월 30일: 유튜브 누적 조회수 3억회 달성
5. 유행어
단어 자체보다도 특유의 톤이 특징이다.[8]- 도움! 도움![K][A]: 도움을 요청할 때 사용한다. 하지만 아무도 도와주려고 하지 않고[11] 오히려 더 위험하게 만들 때도 있다. 유래는 친구들끼리 롤을 할 때 정글을 부르기 위한 신호였다고 한다. 쇼츠 영상에서 자주 사용하지만 롱폼에서도 가끔씩 사용한다.
- 소코마데다[K][A][구]: '거기까지다' 라는 뜻의 일본어. 주로 다른 사람의 트롤을 말리기 위해 사용한다.[15]
- 두카티~[L]: '드가자'의 변형이다. 워낙 자주 쓰이는 유행어라 두루미, 두꺼비, 두리안, 두갈래길, 두두, 두릅 등의 또 다른 변형이 생겨 났다. 이루가 먼저 사용하면 다른 멤버들이 드립을 붙이는 방식이다. [17]
- (음~) (○○) 야미~[G]: 주로 좋은 아이템을 발견했거나 남의 아이템을 뺏어먹을 때 사용한다.
- (아니) 므야??[K][A]: 놀람을 표시하는 말로 사용한다.[21][22]
- 건실하게 해: 말 그대로 착실히 하자는 뜻. 트롤로 과열된 분위기를 식힐 때 사용한다.
하지만 씹히는게 대부분... - 레전드 ○○[L]: 무언가를 강조하기 위해 말버릇처럼 사용하는 말이다. 레전드 판단, 레전드 마을, 레전드 동굴, 레전드 방공호 등으로 활용된다.
- 보통 ○○한 게 아니야: 무언가가 심상치 않거나, 단순히 무언가를 강조할 때 쓰는 말이다. '레전드 ○○'와 연계되어 사용되곤 한다.[24]
- (애가) 아쉽냐?[L][K]: 상대방의 실력이나 센스 따위를 디스할 때 사용한다. 그러나 억까일 때가 많다.[27]
- (바로) 그거야 (○○아)[A]: 상대방에게 동조하거나 상대방을 칭찬하기 위한 리액션으로 쓰인다.[29]
- 그거티비~[A][G][구]: '그거야'의 변형
- 격출~[G][구]: 출격을 거꾸로 말한 것으로 추정된다. 드가자와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35]
- 대꼴[L][K]: '대가리 꼴아박기'의 준말. 리스폰을 적극 활용하여 게임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38][39]
- 꼴이 좋아[A][G]: '꼴 좋다'를 찰지게 말하기 위해 변형한 것.
- 나 안해[A][G]: 삐졌을 때 게임을 나가면서 사용한다.
- 내 말이 바로 그 말이야[K][A]: 강한 긍정과 공감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46][47]
- 손해 좀 보자[A]: 원한의 대상 혹은 억까의 대상에게 사용한다.
- ○○ 할 수박이다[L][구]: ○○ 할 수밖에 없다.[51]
- 우리 마크 유튜버야[L]: 주로 한 멤버가 게임 쉽게 하려고 할 때 나머지 멤버들이 하는 말.
- 야이 쓰레기 인간말종(등등)[L][K][A]: 한 멤버가 실수를 했을때 주로 사용한다.[56]
- 디아몬드: '다이아몬드'의 변형. 다이아몬드를 발견했을때 주로 쓴다.[57]
- 빠꾸[A]: 동굴을 발견했을때 답이 없거나 몹이 많으면 쓰는 말.
- 안 돼(연속)[L][K][G]: 절망적인 순간일때 연속으로 발음한다. (말투도 절망적인 것이 특징이다.)
- 아니지 상우야[K][G]: 상우를 억까시킬때 주로 사용한다.
- 확인했다/확인[L][A]: 서로 답을 주고받을때 흔하게 사용되는 말.
- 청산: 모든 아이템을 잃었을때 붙이는 말.
- 눈맞싸[구]: 눈 마주치면 싸대기의 준말. 엔더맨에게 주로 사용한다.[67]
- 나ㅏㅏㅏㅏ이스~[L][K]: 매우 희망적일때 사용한다.
- 이런 ○○같은 새끼야[K]: 장난칠 때 주로 사용하지만 진행이 힘들게 하는 짓을 했을때 쓰기도한다.
- 야 쟤 빼[K][G]: (주로) 이루나 상우가 신난 말투로 뭔가를 말하면 나머지 멤버가 사용하는 유행어.[73][대화예시]
- 사소해[A][L]: 말 그대로 문제가 발생했을때 사소하면 사용한다.[77][78]
- 레츠 고/레츠 기릿[A][G]: 오프닝이나 엔드포탈에 들어갈 때 사용한다. '두카티~'보다는 빈도가 낮지만 레츠 고규민, 레쓰비, 레미[81] 등 변형이 생겨났다.
- 쨔쓰~~[L][A]: '나ㅏㅏㅏㅏ이스'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 지랄 하지마(세요)[A][G]: 게임이
신박한억까를선보였을때사용한다. - 씹무암 델타[A][G][구]: 현무암 삼각주(바살트 델타)를 비하하는 언어.
- 또 너야?[K][G][구]: 옛날 영상에 가끔씩 나오는 상우 억까 대사이다.[92]
- 돈 땃쥐[L][구]: '돈 터치'의 변형. '건들지 말라'는 뜻이다.
- ○○해버리기~: 주로 어떤 행동을 할 때 하는 유행어
- 산데비스탄[구]: /tp 명령어를 표현한 언어.
- 뺑끼를 치다[K][G]: 게으르다, 하는 게 없다를 표현한 유행어.[98]
- ○○하게 들어가자~[L][K]: 주로 pvp나 게임 시작 때 쓴다.[101]
- 이이이이잉: 최근에 많이 쓰는 유행어이다.
그냥 많이 쓰는 듯 하다[102] - 본래 인터넷의 유행어를 가져온 경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석 나가네[A]: 절망스러운 일을 당했을 때 사용하는 말[104]
- 한잔해 한잔해[A]: 원조 유행어처럼 '○○했잖아 한잔해'로 쓰인다.
- 슈웃![A][G]: 낙법을 하거나 엔드 포탈에 들어갈 때 자주 사용한다.
- 아이고 이렇게 맛있는 게 나에게[구]: 야미~와 비슷한 용도로 쓰인다.
- 응 ○○하면 그만이야~[K][A][G]: '너가 뭘 할 수 있는데'와 붙여쓰기도 한다.
- 어 형이야~[L]: 낙법을 성공하거나 진행에 도움이 되는 일을 했을때 사용한다.
- 니가 뭘 할 수 있지?[A][G]: 몬스터를 놀리는 말로 쓴다.[115]
상우한테도 쓴다.. - ○○하셨잖아~[구]: 한 멤버를 누군가 억까할 때 쉴드치는 용도로 사용한다.
- ○○는 (역시) ○튜브[L][G]: 한 멤버가 그닥 재미있진 않은 드립을 쳤을 때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 쓰는 말.[119]
}}}
6. 자주 쓰이는 음악
채널에서 직접 나오는 원본만 쓰이고 있다.- ▶ 패트와 매트 인트로: 롱폼을 시작할 때 '자 얘들아 오늘 할 것~' 멘트 부분에 쓰인다.
- ▶ 추노 OST - 비익련리: 상우가 억까당할 때 주로 쓰인다.[120]
- ▶ 칫티 - 내려간다: 브릿징에 실패했을 때 등의 상황에 낙사하거나 용암에 빠질 때 쓰인다.
- ▶ 삼거리극장 - 똥 싸는 소리: 트롤을 할 때(보통 누군가가 다른 사람을 일부러 죽일 때) 쓰인다.
- ▶ Christopher Lennertz - I Can Do Anything / Finale: 바이올린 소리가 나오는 그 브금. 엄청난 위기 상황이나 설명할 수 없는 이상한 현상이 발생했을 때, 롱폼에서는 누군가 치트로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전환할 때 등에 쓰인다.[121]
- ▶ Rüdiger Piesker - Jingle Bells (Happy Sing Along): 마을, 용암 호수, 네더 요새 등을 찾을 때처럼 게임에 큰 진전이 있는 좋은 일이 일어났을 때 쓰인다.
- ▶ 엔니오 모리코네 - City of Joy: 위의 징글벨과 비슷한 용도로 쓰인다.
- ▶ Nat Keefe & BeatMower - Bro Time: 게임을 건실하게 진행할 때 재생된다. 롱폼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재생되는 음악.
- ▶ dante sings California girls: 장거리 이동 중 짧게 쓰인다.
- ▶ VML - Grassland: Shorts 동영상에서 많이 사용된다.
- ▶ Pocket monster RED BGM Remix: 몬스터와 싸울 때 재생된다.
- ▶ 아기공룡 둘리 - 비누방울: 구멍에 빠질 때 재생된다.
- ▶ Ikoliks - Let the Show Begin: 오프닝에서 쓰인다.
- ▶ Christopher Young - Spider man 3 Black suit Theme: (보통 억까로) 죽었을 때 쓰이는 브금이다. 왕벌의 비행은 난장판인 상황에서 죽었다면 이 노래는 갑자기 보이지 않던 스켈레톤에 맞아 죽는다거나 했을때 노래가 나온다.
- ▶ 아따맘마 - 잘 있어요: 갑자기 몬스터가 튀어나왔을 때 '안녕하세요' 부분만 잘라서 재생된다.
수많은 링크가 있어 원본을 찾기 어려운 브금
- 바흐 - Cello Suite No.1 in G Major, BWV 1007 I. Prelude(첼로 무반주 1번 전주곡): 누군가 길게 욕을 할 때 대신 재생된다.
- 바흐 - Minuet in G Major: 마찬가지로 누가 길게 욕을 할 때 대신 재생된다.
- 림스키 코르사코프 - 왕벌의 비행: 게임이 개판일 때 나온다.
7. 여담
7.1. 멤버
주로 이 멤버 네 명을 줄여 이민상규라고 한다.7.1.1. 민재
| <colbgcolor=#f6be68><colcolor=#fff> 민재 Minjae | |
| | |
| 본명 | 김민재 |
| 출생 | 2005년 1월 6일 ([age(2005-01-06)]세) |
| 신체 | 165cm |
| MBTI | INTP |
| 닉네임 | K_1b (마인크래프트) |
대 황 민 재
멤버중에 게임 실력이 가장 좋아 붙여진 별명
파란 머리에 초록색 공룡 옷을 입은 스킨을 사용하는 멤버.[124] [125]멤버중에 게임 실력이 가장 좋아 붙여진 별명
게임 실력이 멤버들 중 가장 뛰어난 편이기에 주로 건실하게 진행하면서 협동 콘텐츠에서 꽤나 많은 기여를 하지만, 상우를 괴롭힐 때만큼은 트롤링도 일삼는 편이다.[126] 트롤링 횟수가 적다고는 할 수 없지만 온갖 트롤링이 난무하는 것이 일상인 이루의 컨텐츠 멤버들 중에서는 이루와 함께 건실한 멤버라고 칭해졌었다. 이후 채널 초창기에 비해 이루의 트롤링 비중이 늘어나면서 억까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많아지면서, 가장 건실한 멤버의 타이틀은 민재가 가져가게 되었다.
미니게임 쇼츠에서 최다 우승을 차지하고 있으며, 야생능력자 개인전 컨텐츠에서도 우승하였기 때문에 멤버들 중 게임 실력이 가장 좋다고 인식되는 편이다. 다만 뛰어난 실력을 가졌음에도 운이 매우 나쁘기에 다른 멤버들과의 밸런스는 어느 정도 맞춰지는 편이다.
전적이 매우 화려한 편인데, 유튜버 꼬예유 주최 시참 pvp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혼자서 28킬을 따냈다.[127] 술래가 바뀌는 술래잡기에서도 피 반칸만으로 장비도 더 뛰어났던 데다 체력 상황도 훨씬 좋았던 규민의 체력을 절반이나 깎으며 거의 잡을 뻔 하기도 했다. 또 혼자서 상우와 규민을 2:1로 이긴 적도 있으며,[128] 아이템이 크게 차이나는 상황에서도 지긴 했지만 나름 상우를 고전시키기도 하였다.[129][130] 이 때문에 마인크래프트 프로 게이머를 하라는 주접 댓글도 가끔 달린다.
이제는 막힌 마크에서 재접속시 3초 무적이 되는 기능[131]을 자주 활용했다. #
이루의 마인크래프트 멤버 중에서 가장 키가 작다.
상우와 케미가 잘 맞기도 하지만, 규민와 같이 억까를 시키곤 한다.[132]
멤버십 디스코드 방에서 가끔식 롤이나 발로란트 파티를 구하여 시청자와 같이 게임을 한다.
사과 알러지가 있다.
최근 발로란트 티어가 다이아몬드에서 플래티넘으로 강등당했다.[133] 이후 치지직에서 오멘 폐관수련 방송을 간간이 진행하고 있다.
7.1.2. 상우
| <colbgcolor=#accaad><colcolor=#fff> 상우 Sangwoo | |
| | |
| 본명 | 김상우 |
| 출생 | 2005년 5월 10일 ([age(2005-05-10)]세) |
| 신체 | 181cm |
| MBTI | INFJ |
| 닉네임 | _Aharks (마인크래프트) |
멤버들 사이에서는 탱킹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편인데, 많은 트롤링과 소위 억까를 당하는 역할이다.[138] 협동 콘텐츠에서는 본인은 트롤링을 거의 하지 않고
멤버들 사이에서도 먹을 것과 몸무게에 관하여 억까를 당하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는데, 시청자의 입장에서만 보면 상우의 체중에 대한 오해를 가질 수 있으나 멤버들의 증언에 의하면 상우의 돼지 이미지는 초등학생 때의 이미지가 현재까지 이어졌을 뿐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몸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는다고 한다. 다만 규민의 증언[139] [140]에 따르면 체격이 큰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억까는 시청자들에게서도 당하는데, 이는 주로 댓글에서 볼 수 있다. 몬스터 스폰율을 뻥튀기 시킨 콘텐츠에서는 몬스터가 상우 몸무게 급으로 많이 나온다는 댓글이 달렸고, 넉백을 뻥튀기시킨 콘텐츠에서는 아무리 넉백이 늘어나도 상우가 밀리는 게 말이 안 된다든지, 먹을 것을 빼앗긴 상우처럼 달려왔다든지, 상우가 먹는 속도보다 빠르게 왔다든지,[141] 새벽에 배고픈 상우처럼 왔다고 하는 등 많은 놀림을 당한다. 심지어는 AI에게도 억까를 당해서, 나쁜 말을 하면 AI가 분석하여 죽이는 콘텐츠에서 “김상우”라는 말이 모욕적인 느낌을 주기에 죽인다는, 사상 초유의 억까를 당하기도 하였다.
억까당할때 채널 초창기때는 가만히 있었다.[142] 그러나 참다참다 폭발했는지 최근에는 욕설을 내뱉기도 한다.[143][144]
억까 기믹 말고도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공통적으로 욕설과 드립 실력이 뛰어나다는 의견이 많다. 이민상규 중 욕설 빈도가 가장 잦은 멤버이기도 하지만 그것 외에도 그냥 욕을 할 때 발음 자체가 찰지다는 말들이 많고, 다른 멤버들과는 무언가 결을 달리하는 듯한 약빤 드립을 치는 것이 백미. 특히 한번 시동이 걸리면 드립에 연쇄작용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다.
이루가 3년만에 머리를 잘랐다는 언급을 통해 원래는 장발이였던듯 하다
이민상규 중 이루를 제외하고 유일한 대학생이라고 한다. 어느 대학인지는 불명.
7.1.3. 규민
| <colbgcolor=#e99ca8><colcolor=#fff> 규민 Gyumin | |
| | |
| 본명 | 고규민 |
| 출생 | 2005년 1월 11일 ([age(2005-01-11)]세) |
| 신체 | 182cm |
| MBTI | ISTP |
| 닉네임 | GXUMXN (마인크래프트) |
4인 중 주로 담당하는 역할은 트롤링과 치팅이다. 특히 치트는 모든 멤버들을 통틀어 압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150] 보통 트롤링을 하는 경우에는 침대를 부수는 등의 트롤링을 하여 3명 모두에게 피해를 주지만 이 중에서도 억까 담당인 상우가 가장 큰 피해자이며, 상우에게 집중적으로 트롤링을 하기도 한다.[151][152] 다만 이런 마인크래프트 컨텐츠에서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발로란트 실력이 매우 뛰어나다. 베타 때부터 플레이한 고인물이며, 생방송에서 자주 플레이한다. 최고 티어는 무려 레디언트.
상우를 상대로 온갖 트롤링을 일삼으며 컨텐츠 진행 내내 괴롭히지만, 사실 상우와 케미가 가장 잘 맞는 멤버이다. 상우의 드립을 잘 못 받아주는 이루와는 반대로 상우의 약을 빤 듯한 드립들을 굉장히 잘 받아주며 티키타카가 매우 잘 된다. 이 때문에 둘이 합심하고 트롤링을 저지를 경우 컨텐츠 진행이 아예 불가능한 수준이 되어버리기도 한다.
레미라는 반려견을 키우고 있다.사진
멤버 중 유일한 흡연자이며, 이루의 영상에서도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담배를 한 대 태워야겠다는 드립을 치기도 했다.
본인을 스켈레톤에 빗대어 셀프 디스를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마른 체형으로 짐작되며, 이루의 영상(23:10~23:24 부근)에서 상우와 실제로 싸우면 자신이 압도적으로 진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보아 상우와 키는 같지만 체급 차이가 심하게 나는 것으로 보인다.
한때 생방송중 발언과 인스타그램 활동에 관해 논란이 생겨, 사과문을 올리기도 하였다. 이후 치지직 방송을 중단하기도 했지만 몇 달 후 재개하였다.인스타그램 사과문 전문
7.2. 개인 관련
- 본인 관련
- 2024학년도 수능을 치르고 #, 24학번으로 대학교에 재학 중이다.
- 콘텐츠에 활용되는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를 직접 작성한다. 스크립터 플러그인으로는 Denizen Script와 Skript를 사용한다. [153]
- 초등학교 2학년 때에 개발을 처음 접했다. JavaScript로 마인크래프트 스크립트를 만드는 것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 이공계열 학과 전공자이다. 정확한 학과명은 밝히지 않았지만 컴퓨터공학과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한다.
- 손이 예쁘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고 한다. #
- 초창기 영상과 생방송을 포함하면 본명이 노출된 적이 꽤나 많다. 그러나 본인이 신상이 공개되는 것을 별로 원치 않아 공식적으로 본명을 공개한 적은 없다.
- 과거 얼굴 공개에 대한 질문에 공식적인 공약은 아니지만 50만이 되기 전에는 할 것 같다고 말하였으나, 최근 방송에 따르면 주변에서 반대가 심해 얼굴 공개는 안할 것 같다고 답변했다.[154]
- '이루'라는 닉네임은 초등학생 시절 쿠키런 무료 크리스탈 받기 앱의 닉네임을 정할 때 천지인 자판을 무작위로 연타하다가 나온 글자인 '이루이루'에서 따왔다고 한다.
- 자취를 했으나, 12월 10일 치지직 생방송에서 밝힌 바로는 현재 본가로 이사를 갔다고 한다.
- 젤리와 츄잉캔디를 매우 좋아한다.
- 핸드폰 기종은 아이폰 15 Pro이다.[기준]
- 고향은 서울이지만 부모님의 영향으로 경상도[156] 사투리를 때때로 사용한다.
- 주량은 혼자 먹을 때 기준 소주 한 병 정도라고 밝혔다.
- 삼 형제 중 막내이다. 작은 형과 약 10살 차이가 날 정도로 늦둥이이다.
- 본인 피셜, 고3 수능 전에 몸무게 앞자리 ' 4' 였다고 한다..#
- 컨텐츠에서 멤버들과 시청자들에게 날먹한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본인은 부인한다.
- 요즘 억까도 많이 당한다…
- 멤버 관련
7.3. 채널 및 방송 관련
- 영상에 나오는 주민 목소리는 본인이 코를 막고 녹음한 후 AI처리 한다고 한다.
- 영상에 나오는 주민 집 상자에 항상 하얀 가루[158]가 있다.
- 유튜버 겜마톡이 운영하는 마카오톡 서버에 친구들과 함께 참여하였다.#
- 밈 모음집 영상이 해외 유튜버 Notvixios의 영상 스타일과 너무 비슷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대해 이루가 유튜브 커뮤니티에서 직접 해명하였는데#, 이루의 밈 모음집과 비슷한 영상은 해외 인스타와 틱톡에서 유행하는 하나의 포멧이었으며, Notvixios의 고유한 영상 스타일이 아니었고 원조도 아니라고 한다. 또한 Notvixios는 이루의 마인크래프트 채널 공개 구독자이며 디스코드 서버에도 있고, 심지어 이루에게 부탁해서 이루의 실버버튼을 하나 더 사 집에 들일 정도로[159] 친분이 있는 사이다.
- 유튜브 프로필 사진은 규민의 작품이며[160], 치지직과 디스코드 프사는 팬아트이다.
- 2024년 6월 26일 올린 쇼츠의 추천영상이 비공개로 업로드되었는데, 모스부호가 담겨 있다.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NZFFIBYYPBSGPHOACFIPREBSSGIDIZZJXBJSMXKVSIEBBRGTORIHFMAZTCURIJDACEMTOHFZWSXEODS
댓글에선 "2 left"라고만 작성되어 있는데, 무슨 뜻인지는 불명. BASE64로 디코딩해봐도 의미 없는 무작위 문자열만 나오며, 한글 모스부호라고 하기에도 첫 시작이 "ㅛ"인지라 말이 되지 않는다.
{{{#!folding 정답 [ 펼치기 · 접기 ]
FIRSTTWOPEOPLEWHOSENDSMEANEMAILWITHIMAGEOFMINECRAFTTNTWILLGETBBQCHICKENGIFTCAR
적절하게 단어를 나누면 아래와 같다.
FIRST TWO PEOPLE WHO SENDS[161] ME AN EMAIL WITH IMAGE OF MINECRAFT TNT WILL GET BBQ CHICKEN GIFTCARD[162]
즉 이메일로 마인크래프트의 TNT 사진을 전송하는 선착순 2명에게 BBQ 치킨 기프티콘을 주는 이벤트였다. 현재는 상품 지급이 끝났다.
}}}
- 생방송은 치지직을 단독 송출한다. 최근에 치지직에 불만이 있었는지, SOOP 이적이 마렵다고 지나가듯이 말한 적이 있다.
- 유튜브 편집은 이루, 민재, 상우가 같이 한다. 민재의 게임 세상 채널은 민재가 혼자 편집한다. 이루는 언젠가 규민에게 편집을 가르치겠다고 하였다.
- 초창기에 편집자 출신 유튜버 조릴루에게 편집 소스를 제공받아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한다.
- 본인들이 마크 유튜버라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최근 영상에서는 누군가가 연속으로 죽거나 낙법을 실패 하면 '마크 유튜버 사퇴해'라고 하기도 하는가 하면 위험한 상황에 밤을 넘기지 않거나 멤버들이 너무 많이 죽어 시청자들이 모드 밸런스 패치가 필요한 것 같다고 하면 '저희 마크 유튜버에요' 라며 그대로 진행한다. -
그러고 다 죽는다- - 최근들어 멤버중 이루가 드래곤잡기 컨텐츠에서 -
천연-트롤[163]을 자주한다. 그래서 그런지 고의 트롤을 하던 규민조차도 민재를 따라 건실하게 진행하고, 함께 상우만 까다가 이젠 이루도 포함됐다.[164] - 11월 30일에 이루와 멤버들의 캐릭터로 굿즈가 출시되었다. 유튜브 프로필로 된 키링과 그립톡은 상시 판매, 겨울 굿즈는 1달간 한정 판매하였다. 굿즈 판매처[165]
- 이루, 민재, 상우의 스킨은 팬이 제작하였다. [166]
[1] 영상 곳곳에 이루의 이름이 노출된 적이 있었으나 이루 본인이 신상공개는 원치 않다고 설명했기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이루의 본명을 서술하지 않는다.[2] 신검 기준이다. 본인은 180cm를 호소하고 있다.[폐쇄예정] 이루 본인이 이루의 야생일지 채널은 폐쇄 예정이고, 앞으로는 본채널에 업로드하겠다고 언급한 바가 있다.[종료] 트위치의 한국 사업 철수를 계기로 생방송 플랫폼을 치지직으로 옮겼다.[5] 이루, 민재, 상우는 초등학교 동창.
민재, 상우, 규민은 중학교 동창.
이루, 민재 / 상우, 규민은 고등학교 동창.[폐쇄예정] [7] 채널 개설 당일 영상을 업로드하였다.[8] 대부분의 유행어는 옛 영상에서 많이 쓰이나, 더 옛날에 쓰였다면 [구]로 표시한다.[K] 주로 민재가 사용한다.[A] 주로 상우가 사용한다.[11] 딱 한 번 도와준 경우가 있다.#[K] [A] [구] [15] 주로 규민'에게' 사용한다.[L] 주로 이루가 사용한다.[17] 멤버십 영상에서 나온 밈#[G] 주로 규민이 사용한다.[K] [A] [21] 원래 편집스타일은 '므야?'였지만 최근에 '뭬ㅔㅔㅔ'로 바뀌었다.[22] 실제 발음은 '므에' 혹은 '뭬ㅔㅔ'에 더 가깝다.[L] [24] 예: 보통 건실한 게 아니야[L] [K] [27] 상우가 가장 많이 당한다..[A] [29] 비슷한 유행어로는 '그거다(임마)'가 있다.[A] [G] [구] [G] [구] [35] 드가자의 변형인 두카티와도 비슷하게 사용한다.[L] [K] [38] 쉽게 말해 죽으면서 진행하는 것.[39] 네더에서 블레이즈를 잡을 때나 엔더 드래곤을 잡을 때 자주 쓴다.[A] [G] [A] [G] [K] [A] [46] '내말바그' 혹은 'ㄴㅁㅇㅂㄹㄱㅁㅇㅇ'로 줄이기도 한다.[47] 최근에는 민재가 "내 말이 바로 그 말이고 그 말이 바로 내 말이면서.." 라고도 한다.[A] [L] [구] [51] 또는 아닐 수박으로도 쓰인다.[L] [L] [K] [A] [56] 쓰레기, 인간말종, 폐기물, ㅈ밥, 버러지, 찌끄레기, 세상이 내일 멸망하면 당장 오늘 죽여야할 새끼야 등등 표현이 많다. 모든 단어를 한번에 이어서 말하는 것이 특징이다.[57] 발음은 띠아몬드에 가깝다.[A] [L] [K] [G] [K] [G] [L] [A] [구] [67] 규민의 치지직 닉네임이다.[L] [K] [K] [K] [G] [73] 정확히는 바보 말투[대화예시]이루: 얘들아 같이 ○○하자~ | 규민: 야 쟤 빼.[A] [L] [77]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는데도 바로 고쳤을때 사용하기도 한다.[78] 절망적이라면 이 대사 이후 바로 죽는다.[A] [G] [81] 규민의 반려견이다.[L] [A] [A] [G] [A] [G] [구] [K] [G] [구] [92] 이때 한정으로 민재가 '그냥 도움이 된 적이 없어요~~'라고 한 적이 있다.[L] [구] [구] [K] [G] [98] 비슷한 유행어로는 '꺼드럭대다'가 있다.[L] [K] [101] 멤버에 따라 말이 다르다. 이루는 이지까까하게 들어가자, 민재는 스근하게 들어가자가 주 언어다.[102] 이걸 한 직후 평경장 밈이 나오기도 한다.[A] [104] 예) 동굴 좀 석이 나가는데요[A] [A] [G] [구] [K] [A] [G] [L] [A] [G] [115] 예) 엔더맨에게 눈을 마주쳤을때 강에 들어가면서 사용한다.[구] [L] [G] [119] 비꼬는 용도 혹은 치켜 세우는 용도로 모두 사용된다. 주로 멤버들이 (또는 상우가) 무지성 드립을 친 후 "드립은 역시? 상튜브"라는 자막으로 많이 사용된다.[120] 일명 상우 주제가.[121] 이 브금에 관련된 유행어는 '도움!'과 '소코마데다'가 있다.[122] 주로 다른 멤버의 행동에 놀랐을 때. 상황이 엄청 좋을 때와 나쁠 때 모두 사용한다.[123] 백덤블링 동작을 할 때[124] 그래서 민재가 가끔 트롤링을 할 때 “초록 대가리”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125] 긴장감 있는 상황에서 민재가 조용히 옆으로 왔을 때 크리퍼로 착각하고 놀라기도 한다.아씨 깜짝이야 크리펀줄 알았네[126] 특히, 상우와 같이 자원을 파밍하다가 갑자기 상우를 킬하고 가지고 있던 아이템들을 먹으며 티배깅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127] 이루 1킬, 상우 4킬, 규민 3킬[128] 심지어 이 때는 겉날개와 철퇴를 가지고 있던 팀원 이루가 아무 성과도 없이 낙사해서 상대적으로 아이템이 좋지 않았던 상우와 규민에게 좋은 아이템을 모두 헌납하는 대형 사고를 일으킨 후였다.[129] 이 때는 굉장히 좋은 갑옷을 입고 있던 팀원 규민이 이루의 철퇴에 한번에 처치당했고 이후 이루와 상우에게 자신의 모든 아이템을 뺏긴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불리한 상황들이 민재가 얼마나 운이 좋지 않은지를 보여준다. 실제로 매 pvp 컨텐츠마다 민재의 팀원은 항상 트롤링을 하거나 시작도 하기 전에 죽어버리고, 랜덤 아이템 컨텐츠에서는 항상 좋은 아이템이 나오지 않으며 팀원이 좋은 아이템을 얻어도 사용하지도 못한 채 잃어버린다.[130] 상우가 불사의 토템을 사용해야 할 정도로 몰아붙이기는 했지만, 역설적으로 이 때 이미 민재의 패배가 결정되었다. 불사의 토템에 달린 재생 효과 때문에 체력 회복 속도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 이 때문에 민재는 자신의 체력 상황이 좋지 않음에도 상우가 회복되기 전 빠르게 승부를 보기 위해 상우를 추격했으나, 상우가 침착하게 물러나며 체력을 회복한 후 다시 등을 돌려 싸웠고, 결국 패배하였다.[131] 일명 '나삼무(나가면 3초 무적)'.[132] (규민: 아니지 상우야 | 민재: ㄴㅁㅇㅂㄹㄱㅁㅇㅇ)[133] 이 날 이루 방송에서 상당히 표독해진 모습을 보였다.[134] 상우가 억까 당할 때 삽입되는 BGM. 최초로 사용하게 된 것은 규민의 아이디어였다고 한다.[135] 최근 이루가 억까당하는 비중이 늘어났지만, 이 음악은 오직 상우 전용 BGM이라서 이루가 억까당할 때는 사용되지 않는다.[136] 주로 다른 팀원이 피지컬 문제로 천연 트롤링을 저지를 경우에 사용한다.[137] “OO” 부분에 해당하는 빈칸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용어들이 들어가는데, 개새끼개새끼 열매라고 하거나 도리도리까까꿍 열매라고 하는 등, 그 어감이 심히 폭력적인 것이 특징이다.[138] 이로 인해 시청자들은 잘 참아주는 상우를 대인배라고도 하며 착하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139] 상우와 규민은 키가 181cm으로 같은데, 규민은 상우와 자신이 실제로 싸우면 자신이 압도적으로 진다고 말했었다.[140] 참고로 규민은 이루와 함께 이민상규에서 몸무게가 가장 적게 나가는 편이다.[141] 심지어 이 영상에서는 규민이 “이런… 소!” 라고 말하면서 소를 잡자 민재와 이루, 규민이 “이런… 돼지!“라고 말하며 차례대로 상우를 한 대씩 때리는 억까도 하였다.(13:47 부근)[142] 5:45초[143] 6:24초[144] 특히 이루에게 가장 많이 쓴다. (주로 천연 트롤, 억까로 인해 사용한다.)[145] 상우의 말을 끊고 억까하려는 시동을 걸 때.[146] 팀원의 아이템을 뺏어먹었을 때.[147] 일명 설레는 웃음소리. 규민이 큰 규모의 트롤링을 저지르기 전의 전조증상 같은 웃음소리다.[148] “넷 중 누가 가장 잘생겼나요?”라는 시청자의 질문에 두 명 모두 고민없이 규민이라고 답한 것으로 보아 외모가 굉장히 준수한 편인 듯. 실제로 규민은 연예인을 제외한 행인 중 자신보다 잘생긴 사람은 거의 본 적이 없다고 얘기한 적이 있다. 학창시절에 꽤 유명한 기획사에서 캐스팅을 당한 적이 있다고.[149] 방송에서 규민이 얼마나 잘생겼냐는 질문에 상우가 직접 "지금 님이 거울 봤을 때 100배 잘생겼다고 생각하시면 됨." 이라고 했다.[150] 많은 억까가 누적돼 짜증이 나있거나 죽기 직전의 급박한 상황일 때 치트를 자주 사용한다.[151] 이 때문에 가끔 규민을 고깝게 보는 일부 시청자들도 있긴 하지만, 방송적 재미를 위한 멤버들 사이에서의 늘 있는 WWE에 가깝다.[152] 사실 규민의 트롤링은 콘텐츠 외적에서도 이루어지는데 수면으로 인해 녹화에 불참하는 경우가 잦아 규바오, 규날두 등의 별명이 생기기도 하였다. 시청자들은 이마저도 규민답다며 유쾌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153] 대부분 깃허브에 공유된다.[154] 민재 피셜 이민상규는 오프라인이 온라인보다 재밌다고 한다.[기준] 2024. 5. 6.[156] 정확히는 부산[기준] 2024. 5. 6.[158]
[159] 이루 왈 한글이 들어간 실버버튼이 갖고 싶었다고 한다.[160] 그림판으로 그렸다고 한다.[161] 어법상으론 SEND가 맞다.[162] 해석) 선착순으로 먼저 저한테 TNT 사진 전송하는 분께 BBQ 기프트카드 드릴거임[163] 친구들이 넘사벽의 실력 가져서 그렇지, 이루도 게임을 잘하는 편이다.[164] 또한 상우의 억까도 예전보다 아주 조금 줄었다.[165] 하지만 수정한 날짜 2025년 1월 1일 기준 이루의 마인크래프트 채널 프사와 관련된 굿즈를 제외한 이민상규와 관련된 굿즈는 판매종료되었다.[166] 팬이 만든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팬에게 도용한다고 의심을 했다고 한다
민재, 상우, 규민은 중학교 동창.
이루, 민재 / 상우, 규민은 고등학교 동창.[폐쇄예정] [7] 채널 개설 당일 영상을 업로드하였다.[8] 대부분의 유행어는 옛 영상에서 많이 쓰이나, 더 옛날에 쓰였다면 [구]로 표시한다.[K] 주로 민재가 사용한다.[A] 주로 상우가 사용한다.[11] 딱 한 번 도와준 경우가 있다.#[K] [A] [구] [15] 주로 규민'에게' 사용한다.[L] 주로 이루가 사용한다.[17] 멤버십 영상에서 나온 밈#[G] 주로 규민이 사용한다.[K] [A] [21] 원래 편집스타일은 '므야?'였지만 최근에 '뭬ㅔㅔㅔ'로 바뀌었다.[22] 실제 발음은 '므에' 혹은 '뭬ㅔㅔ'에 더 가깝다.[L] [24] 예: 보통 건실한 게 아니야[L] [K] [27] 상우가 가장 많이 당한다..[A] [29] 비슷한 유행어로는 '그거다(임마)'가 있다.[A] [G] [구] [G] [구] [35] 드가자의 변형인 두카티와도 비슷하게 사용한다.[L] [K] [38] 쉽게 말해 죽으면서 진행하는 것.[39] 네더에서 블레이즈를 잡을 때나 엔더 드래곤을 잡을 때 자주 쓴다.[A] [G] [A] [G] [K] [A] [46] '내말바그' 혹은 'ㄴㅁㅇㅂㄹㄱㅁㅇㅇ'로 줄이기도 한다.[47] 최근에는 민재가 "내 말이 바로 그 말이고 그 말이 바로 내 말이면서.." 라고도 한다.[A] [L] [구] [51] 또는 아닐 수박으로도 쓰인다.[L] [L] [K] [A] [56] 쓰레기, 인간말종, 폐기물, ㅈ밥, 버러지, 찌끄레기, 세상이 내일 멸망하면 당장 오늘 죽여야할 새끼야 등등 표현이 많다. 모든 단어를 한번에 이어서 말하는 것이 특징이다.[57] 발음은 띠아몬드에 가깝다.[A] [L] [K] [G] [K] [G] [L] [A] [구] [67] 규민의 치지직 닉네임이다.[L] [K] [K] [K] [G] [73] 정확히는 바보 말투[대화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