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6:18:21

이란-시리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이라크·시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다자관계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시리아·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이라크·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이란 시리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문화 교류4. 군사 교류5. 대사관6.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하메네이 아사드.jpg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

이란시리아의 관계. 양국은 정권이 시아파 정권[1]이고 국민들도 종교적으로도 시아파를 믿는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많이 존재한다. 이 둘은 이스라엘과 철전지 원수이며, 미국의 경제제재를 받는 반미 · 친러 국가라는 공통점도 있다. 그렇기에 관계가 좋은 편에 속한다.

2. 역사적 관계

서기 4~6세기 사산조 페르시아동로마 제국과의 전쟁 과정에서 종종 시리아 속주 일대를 침공하고 주민들을 노예로 잡아갔다.

2.1. 20세기

원래 서로 소 닭보듯 하던 사이였으나[2] 이란이 이란 혁명 이후 강경 반미, 반이스라엘 국가가 되면서 협력하기 시작했다.

2.2. 21세기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다. 시리아가 세속적 종교 정책을 취하면서 한때 이란은 시리아와 갈등이 있었지만, 같이 이스라엘에 이를 갈고 튀르키예를 견제한다는 점으로 뜻이 맞고 시아파의 성지가 꽤 많은 시리아에 이란 관광객이 많이 오는 점 때문에 2013년 시리아 반정부 사태에 시리아 정부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시리아를 지원하면서 군대도 파견했으며 미국이 영국, 프랑스와 함께 시리아를 공습하자 시리아의 알아사드 대통령과 이란의 로하니 대통령이 전화를 하면서 시리아 공격을 맹비난했다.# 그리고 대항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이 이란을 방문했는데 내전이 터진 후 알아사드의 외국 방문은 러시아 이후 두 번째다. 해당 방문에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와 회담하였고 특히 하메네이와 면담할 때는 서로 포옹하는 장면까지 추가로 공개됐다. 지금까지 하메네이가 외국 정상을 면담하는 장면은 비슷한 각도의 사진밖에 공개하지 않았던걸 감안하면 상당히 이례적인 일로 그만큼 시리아를 특별대우 해준다는 의미이다.

2015년에는 러시아가 시리아와 이란편에서 군사 개입을 선언했으며, 이로써 시리아 내전에서 ISIL은 소멸했으며 정부군의 영토는 65%가량 회복한다.

2020년 5월 5일 이란이 시리아에 파견한 군 병력을 줄이며 철수시키고 있다고 이스라엘 언론이 보도했다.#

2022년 5월 8일 아사드 대통령이 이란을 방문했다.#

2023년 1월 15일, 이란이 경제난으로 인해 시리아로 공급하던 원유 가격을 2배로 올렸다.#

2024년 10월 5일, 이란 외무장관이 시리아를 방문했다.#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결과 12월 8일에 아사드 정권이 패망하면서 이란의 대외 정책은 심각한 타격을 맞았다. 다마스쿠스가 함락되던 상황에서 주시리아 러시아 대사관은 멀쩡했는데, 이란 대사관은 약탈을 당했다.# 반군 입장으로도 비록 러시아가 공습 등 아사드 정권을 비호해줬어도 미국과 서방이 수교 등 밀착해주지 않으면 일단 뒷배가 필요한데다가 괜스레 러시아 대사관을 공격했다가는 러시아가 이를 빌미로 아사드를 옹위하여 군대를 보낼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리아 채권 회수도 불가능해서 이란 내 여론이 안 좋게 돌아가고 있다.#

3. 문화 교류

양국은 시아파 정권이기 때문에 종파에서 공통점이 존재한다. 다만, 전술했다시피 이란은 12이맘파에 속하고 시리아는 알라위파라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란측에선 알라위파를 시아파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란인 관광객들이 시리아로 자주 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

4. 군사 교류

양국간의 군사교류가 활발하다. 이란과 시리아는 미국, EU와는 갈등이 존재하고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아랍권 국가들과도 갈등이 있다보니 군사적으로 협력이 활발하다.

1997년에 이란이 시리아와 군사첩보 분야의 협력을 모색했다.#

2018년 8월 26일에 이란의 국방장관이 시리아를 방문했고 군사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 7월 8일에 이란군은 시리아와 시리아의 대공방어망을 증강하는 데 이란이 지원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5. 대사관

다마스쿠스에 주 시리아 이란 대사관, 테헤란에 주 이란 시리아 대사관이 존재한다.

6. 관련 문서



[1] 다만 같은 12이맘파에서 갈라졌다곤 허나 시리아는 알라위파이고 이란은 자파리파이다.[2] 12이맘파 자파리파의 대학자 셰이크 투시는 시리아의 알라위파를 이슬람의 일파가 아닌 아예 다른 종교로 분류한 바 있었다.(순니파 한발리파이븐 타이미야가 알라위파를 보는 관점과도 대동소이했다.) 이란에서 알라위파를 이슬람의 한 종파로 인정하게 된 것은 1970년대이며 그것도 신학적인 이유보다는 정치외교적 이유에서로 비롯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68
, 8.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68 (이전 역사)
문서의 r2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