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29176e> 정령 正領 | |
육군 陸軍 | 길영수 | 노백린 | 어담 | 이건영 | 이근형 | 이민식 | 조철희 | 현흥택 | |
해군 海軍 | - | |
부령 副領 | ||
육군 陸軍 | 김익남 | 김정우 | 왕유식 | 유혁로 | 윤치성 | 이기동 | 장기렴 | 조민희 | |
해군 海軍 | - | |
참령 參領 | ||
육군 陸軍 | 김교준 | 김명환 | 김응선 | 김인수 | 김희선 | 김혁 | 남기창 | 민대식 | 박두영 | 박승환 | 박영철 | 양규열 | 유동열 | 이갑 | 이기표 | 이동휘 | 이두황 | 현상건 | 홍창걸 | |
해군 海軍 | -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황제·황태자 제외 | ||
※ 둘러보기 | | ||
}}}}}}}}} |
1. 개요
李根馨구한말의 군인. 최종 계급은 대한제국군 육군 정령이다.
2. 생애
1865년 4월 1일에 태어났다. 구식 군대에서 근무하다가 근대식으로 군제가 전면 개편되자 이동했다. 1900년에 참령 계급으로 원수부 회계국 부장(차장)이 되었다. 1903년에 부령으로 진급했으며, 대한제국군 시위대의 연대장이 되었다. 이후 내장원 경 등을 지내고 1905년에 정령 계급이 확인된다.1906년에 의친왕이 일본을 방문할 때 수행원 명단에 포함되었다. 그때 관병식 참관자 명단에 추가되기도 했다. 어담, 이근호와 귀국한 내용이 황성신문에 보도되었다. #
1907년 1월에 대한매일신보에서 징병제 관련된 기사에서 언급이 된다. 군부대신인 권중현이 부대장들을 소집해 모병제 대신에 징병제 도입을 이야기했는데, 이근형과 참령 김연시가 민심이 좋지 않다며 반대해 논의가 미결로 남았다. #
시위1연대장을 맡다가 1907년 4월 시위혼성여단이 설립되자 그대로 시위 보병1연대장으로 보직 명칭을 바꿨다. 여단에는 연대장이 2명이 있었고 2연대장은 조철희 정령이었다.
1907년에 9월에 대한제국군 해산으로 제대 조치되었다. 관보 등을 볼 때 제대 후 경술국치 이전까지 지방관으로 근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