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카리나|{{{#!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if 넘어옴1 != null
'''유지민'''{{{#!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유지민(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지민(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지민(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카리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카리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카리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유지민(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지민(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지민(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다른 뜻: }}}[[카리나(동음이의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카리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카리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aespa|
]]
aespa
에스파
에스파
- [ 한국 음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해외 음반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or=#b2bbed> ||
- [ 일본 음반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width=25%> ||<width=25%> ||<width=25%> ||
[[Hot Mess| Hot Mes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755A4;"
}}}}}}}}} ||
- [ 기타 음반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or=#b2bbed> ||
- [ 리믹스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 <colbgcolor=#091EA9,#091EA9><colcolor=#FBF150,#FBF150> 카리나 KARINA | |
| | |
| 본명 | 유지민 (劉知珉, Yu Jimin) |
| 출생 | 2000년 4월 11일 ([age(2000-04-11)]세) |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지동[1] | |
| 출신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
| 국적 | |
| 본관 | 강릉 유씨 (江陵 劉氏)[2] |
| 신체 | 168cm[3]|B형[4]|230mm |
| 가족 | 아버지 유철[5][6], 어머니[7], 언니(1995년생)[8] |
| 학력 | 성남신기초등학교 (졸업) 정자중학교 (졸업) 한솔고등학교 (중퇴) 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 (합격)[9] |
| 종교 | 가톨릭 (세례명: 카타리나)[10] |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 소속 그룹 | aespa |
| 소속 유닛 | GOT the beat |
| 포지션 | 리더 |
| 데뷔 | 2020년 11월 17일 aespa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4f3b76"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데뷔일로부터 [dday(2020-11-17)]일, [age(2020-11-17)]주년) (그룹) |
| 2022년 1월 3일 GOT the beat {{{#!wiki style="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d3d8db"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데뷔일로부터 [dday(2022-01-03)]일, [age(2022-01-03)]주년) (유닛) | |
| 전투 스킬 | Rocket Puncher[11] |
| 상징 | 💙 |
| 캐릭터 | 카랑이 |
| MBTI | ENTP / ENFP[12] |
| 별명 |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
| 서명 | |
| 링크 | |
1. 개요
대한민국의 가수. SM엔터테인먼트 소속 4인조 걸그룹 aespa의 멤버로 팀에서 리더를 맡고 있다.2. 데뷔 전
| |
| ▲ 고등학교 1학년 시절 |
- 중학생, 고등학생 시절 교내 댄스 동아리에서 활동했다.
| ▲ 카리나의 과거 인스타그램 피드 |
- 과거 일반인 기준으로 많은 인스타그램 팔로워를 보유했었다. 인스타그램 DM을 통해 캐스팅 제안을 받아 고민 끝에 승락한 후 카메라 테스트까지 받았으나, 얼마 뒤 그 캐스팅 담당자가 퇴사했다고 한다. 그래서 카리나는 난처한 상황이 되었는데, 그 후 SM의 다른 직원에게 같은 방식(DM)으로 또 한 번 제의가 와서 입사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 SM한테만 두 번이나 캐스팅을 당한 것이다.
- 2020년, 현대자동차와 SM엔터테인먼트의 컬래버레이션 버추얼 쇼케이스 'Beyond DRIVE - The all-new TUCSON'에 카이와 함께 출연하였다.
3. 포지션
- 비주얼, 리더, 보컬, 랩, 댄스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능력치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많이 받는 올라운더이다.
3.1. 리더
- 인터뷰 때마다 멤버들을 살피거나, 뒤에 있는 멤버를 앞으로 나올 수 있게 챙겨주고 부딪히려는 스태프를 챙겨주는 등 리더다운 모습을 자주 보인다. 특히 혼잡한 공항에서 이러한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팬들과 멤버와 스태프는 물론, 인파 속에서 넘어질 뻔한 기자들까지 챙기는 모습을 보인다.
- 연습이나 리허설할 때도 다른 멤버들의 동선이나 위치를 봐주거나, 멤버들에게 무대에 대한 의견을 내고 들어주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 멤버들의 고민상담소이다. 힘들고 지칠 때 옆에서 위로 해주고 감정적으로 잘 조절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한다. 이러한 따뜻하고 다정한 모습으로 인해 멤버들도 항상 의지한다고 한다.
3.2. 보컬
| <rowcolor=#FBF150,#FBF150> ▲ 리무진 서비스 | ▲ Recording Behind |
-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포지션은 서브보컬.[15]
- 데뷔 전, 다니던 학원에서 지인들과 함께 FAME 커버 영상이 발굴되어 큰 기대를 모았다.
- 중저음의 보컬 톤을 가진 보컬리스트로 굉장히 매력적이고 개성이 강한 보컬 톤을 가지고 있어 카리나의 보컬을 이야기할 때 이 톤에 대한 칭찬이 자주 나온다. 특징 있는 음색과 쫀득한 톤으로 도입부와 첫 코러스를 주로 담당하며, 그 외 임팩트 있는 파트들을 많이 맡는다.
이 카리나 특유의 톤은 날카롭게 세워서 부를 때 기계음 같은 메탈릭한 소리가 나기도 하는데, 이런 음색은 aespa의 정체성, 소위 쇠맛에 최적화된 음색이다. 대중음악평론가 정민재는 "aespa 음악을 '쇠맛이다'라는 이야기를 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음색이 카리나 같다"라고 이야기 했다.
카리나의 음색은 메탈릭한 컬러뿐만 아니라 다른 색깔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프로듀서 윤일상은 본인의 유튜브 콘텐츠에 초대하고 싶은 게스트를 묻는 질문에 카리나라고 답변하며 "보컬 톤이 굉장히 내 취향이다. 여러 색깔을 많이 가진 것 같다."라고 카리나의 보컬을 칭찬한 적이 있다. 드라마 도적: 칼의 소리의 ost 'Sad Waltz'의 가수로 참여하게 된 계기 또한 해당 드라마의 음악 감독이 꼭 카리나의 목소리여야 한다고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 지지음역(Supported Range)도 훌륭한 편인데, 현재까지 보여진 것에만 의하면 1옥타브 솔#(G#3)/라(A3)부터 2옥타브 시b(Bb4)까지 성대를 붙여서 소리를 내며 컨디션이 가장 좋으면 2옥타브 시(B4)까지도 가능하다.
- 닝닝, 윈터의 보컬과 대조되는 느낌으로, 에스파의 곡을 다이나믹하게 만든다. 카리나가 도입부와 킬링 파트에서 중심을 잡아주면 지젤이 애드리브와 코러스를 넣어 곡을 다채롭게 만들고, 그 위에 닝닝과 윈터가 현란하게 날아다닐 수 있는 구조. 'Savage' 댓글 중 소프라노인데 낮게 누르는 느낌으로 부르는 닝닝, 윈터와 원래 목소리 톤이 낮아 밑에서 끌어올리는 느낌의 카리나 음색 대조가 좋다는 댓글이 큰 공감을 얻었다.
- aespa의 도입요정이다. 도입부는 곡의 분위기를 설정하고 듣는 이에게 그룹과 노래에 대한 첫인상을 남기는 역할이기 때문에 주로 노래를 잘하는 보컬 멤버나 그룹이나 곡에 잘 맞는 이미지를 낼 수 있는 멤버에게 가는 편이다. 데뷔곡 'Black Mamba', 'Next Level', 'Savage' 등 계속 도입부를 소화해내고 있다. 'Girls' 컴백 전 타이틀곡 가사가 앨범 프리뷰를 통해 유출되었을 때, 도입부를 카리나가 어떻게 살릴지 팬들의 기대를 받았다.
- 유영진의 발라드 곡인 'Forever (약속)'에서 카리나가 맡은 파트를 듣고 놀란 반응이 많았다. 프리코러스, 코러스, 클라이막스 등 빌드업을 하며 단단하게 부르는 부분들을 맡았다. 팀 내 유일한 알토라는 이유로 유알토라는 별명도 생겼다.[16] 이 허스키하면서 낮고 독특한 음색 덕에 소속사 선배인 보아의 목소리에 태연을 한 스푼 정도 추가한 느낌이라는 평도 더러 있다.
- 딥한 톤을 살려서 힘 있게 부르는 것도 자주 사용되는데, 이는 곡을 빌드업하고 고조되게 만들거나 고조된 분위기를 유지시키며 곡을 마무리 짓는 파트에 사용되기 좋다. 'Savage'의 2절 프리코러스나, 'Girls'의 마지막 파트에서 그런 식으로 사용해 곡을 입체적이게 만든다.
- 이런 목소리 톤과 창법 덕에 R&B/힙합 스타일이 잘 어울린다. 아는 형님에서 커버한 '어른아이'에 대한 반응이 상당히 좋았고, '가시', 'I'll Make You Cry' 등에서 그런 매력이 특히 더 잘 산다.
- 또한 R&B 기교가 가미된 꺾기도 잘 소화한다. Savage 후렴구, Madeleine Love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톤을 부드럽게 살려서 부를 때는 분위기 있고 몽환적인 스타일의 곡에 어우러지는 보컬 색을 내기도 한다. 'Dreams Come True', '자각몽 (Lucid Dream)', 'Hot & Cold (온도차)', '도깨비불 (Illusion)' 등에서 들어볼 수 있다.
- GOT the beat의 'Stamp On It' 앨범에서 맡은 모든 보컬 파트에 대한 반응도 매우 좋았다. 특히 '가시'와 'Outlaw'라는 곡의 보컬이 인상적이다.
- 코러스의 메인으로 깔리는 경우도 꽤 많다. 'YEPPI YEPPI', 'ICONIC' 'Alter Ego' 등이 그렇다. 백보컬을 따서 들어보면 센터 팬에 더 선명하게 들린다.
- 'Thirsty'에서는 드디어 고음 애드립까지 맡았으며 '리드보컬의 정석'이라는 칭찬도 자자했다.
- 솔로곡 'UP'에서 카리나의 보컬에 대해서 호평이 매우 높다. 특유의 시원하면서도 까랑까랑하고 쫀득한 본인의 보컬을 잘 보여줬다는 평이 많다.
3.3. 랩
-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포지션은 리드래퍼.
- 'Next Level'에서 중저음 톤을 살린 랩 파트를 맡아 호평을 받았다.
- 'Savage'에서 빠르고 비트감 있는 랩을 소화했다. 해외 팬들에게 가장 반응이 좋은 파트이기도 하다.
- 'Dreams Come True'에서는 지젤과 함께 외계인 랩을 맡았다.
- 'Girls'에서도 보컬과 랩 파트를 소화했다.
- GOT the beat의 'Stamp On It' 앨범에서 맡은 모든 랩 파트에 대한 반응이 매우 좋았다. # 그 중 'Alter Ego', '가시', 'MALA' 가 특히나 좋았고, 앞으로 에스파 앨범에서도 카리나가 이런 식으로 랩 실력을 보여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반응.
- 리마스터링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매 된 '시대유감 (時代遺憾) (2024 aespa Remake Ver.)'에서 랩메이킹에 참여했다.
3.4. 댄스
| <rowcolor=#FBF150,#FBF150> ▲ <Whiplash> 음악중심 직캠 | ▲ 콘서트 직캠 |
-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포지션은 메인댄서.
- 안무가의 의도를 잘 살리고 강약 조절도 좋다. 디테일이 좋고 선이 고우며 빠른 비트에도 버리는 동작 하나 없이 힘이 손 끝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유연성, 파워, 리듬감, 공간 사용이 모두 좋은 편이다. 춤선이 중성적이라는 평이 다수 존재한다.
- 상체를 부드럽게 잘 사용함과 동시에 하체를 힘있게 사용한다. 기초 힘이 매우 좋고 그걸 잘 컨트롤 하기 때문에 공간 사용이 넓고 스피드와 스텝이 굉장히 좋다. 이걸 합쳐 전체적인 그림을 봤을 때 동작이 물 흘러가듯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를 잘 보여 주는 예가 도깨비불 안무 영상, 주간 아이돌에서 춘 SM 노래 메들리에서도 NCT 127의 '영웅 (英雄; Kick It)'을 비롯해 다양한 장르를 알맞게 잘 소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 Drama 활동 당시 음악중심 직캠을 본 한 네티즌이 커뮤니티에 쓴 '영애처럼 입고 대공처럼 춤추네'라는 글이 타 SNS에도 전해져 많은 공감을 끌어냈을 정도로 파워풀하고 공간 장악력이 특기인 멤버이다.
- 연습생 시절 때도 소속사 선배인 태민의 WANT 음악 방송 무대의 댄서로 올라 독무 파트를 맡았다. 현대자동차 버추얼 쇼케이스에서는 카이와 함께 재지한 페어 댄스를 소화하는 등 데뷔 전부터 춤추는 모습이 공개되었다.
- 'Savage' 'Girls' 댄스브레이크에서 센터를 맡았고 잘 살렸다고 호평을 받았다. 'Savage' 카메라워크 가이드와 도깨비불 안무영상이 공개되었을 때 각종 플랫폼 반응이 "매 프레임에서 잘 춘다" 였다.
- 역대 SM 아이돌 댄스 탑으로 꼽히는 보아, 효연, 슬기 등과 함께 한 GOT the beat 활동 때도 춤에 대한 호평이 쏟아졌다. 특히 안무 영상 반응이 상당히 좋았다. 스텝백 스템프 온 잇
- 'Black Mamba', 'Next Level' 등 댄스의 포인트가 잘 돋보이는 노래들의 후렴구에서 각과 튕기는 느낌을 잘 살려내는 점 덕에 센터에 계속 세우는 이유를 알겠다는 반응이 많다.
- 댄스와 별개로 무대 자체도 잘 하는 아이돌로 꼽히는데, 'Black Mamba'의 데뷔 무대가 자주 거론된다. 카리나 본인도 찢었다고 생각한 무대로 이 날을 뽑았다.
- 에너지와 텐션을 유지하는 능력이 굉장히 좋아 aespa의 퍼포먼스를 리드하고 있으며 특히 콘서트 무대에 설 때 중요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17] aespa 컨셉 특성상 댄스브레이크가 많을 수밖에 없으며 기존의 안무들 중 일부는 댄스브레이크 없이 가더라도 고강도인 데다 디스코그래피가 거의 통째로 텐션을 높게 유지해야만 하는 곡들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연에서 끝까지 힘이 풀어지거나, 텐션이 떨어지는 것 없이 끝까지 유지해 aespa의 퍼포먼스를 완성 시켜주는 존재이다.
- 댄서 바다가 춤을 잘 춘다고 생각하는 아이돌 중 한 명으로 카리나를 뽑았다.
4. 개인 활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리나/활동#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리나/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캐릭터
5.1. 비주얼
- 4세대 걸그룹 대표 비주얼 중 한 명[18]으로 꼽히며[19] 팀 내 공식 비주얼 멤버이다. 팀의 정체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심볼 멤버로 SM엔터테인먼트의 여자 아이돌 비주얼 센터 계보[20]를 잇고 있다. 특히 캐치프레이즈가 비주얼 리더이다.
- 갸름하고 날렵한 얼굴형을 가졌다. 특히 V자가 그려진 상당히 얇은 턱선과 얼굴형, 장두형에 가까운 두상으로 스트레이트 헤어를 잘 소화한다. 또한 올백머리를 해도, 굴욕이 없는 상당한 비주얼을 가졌다.
- 입술 밑 점이 카리나의 시그니처 중 하나로 꼽힌다.
- aespa의 Blake Mamba, 사이버 펑크, sf, 퓨처리즘 등의 콘셉트와 매우 잘 어우러 맞아 aespa의 핵심·상징·정체성 멤버 등으로 꼽힌다. 그러나 화장법에 따라 청순한 분위기 등 다양하게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천의 얼굴이기도 하다.
- 카리나의 아바타인 æ-KARINA와 비교하여 AI보다 더 AI 같다는 소리를 듣는 AI상, CG상이다. 2020년에 카리나가 연예계에 데뷔한 후 AI상이라는 유행어가 본격적으로 정착되었다. 처음엔 다소 난해할 수도 있었던 aespa 콘셉트를 대중들에게 납득시킨 것은 카리나의 비주얼 몫이 컸다. AI 같은 영상 AI 같은 영상2 AI 게임 캐릭터 같은 영상
- 한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말하길 카리나는 고양이 같다가도 강아지 같은 느낌이 나는 게 특징이라고 했는데, 메이크업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는 얼굴을 가지고 있다. 2022 시즌 그리팅 촬영과 'Girls' 활동 당시 '도깨비불 (Illusion)' 무대에서 선보인 투머치한 블러셔 메이크업도 잘 소화해 큰 호평을 받았으며 카리나 데뷔 이래 '레전드 직캠' 이라고 호평이 자자했다.# #
- 쨍한 색을 잘 받으며 퍼스널컬러는 겨울쿨톤이다. 세부톤은 브라이트계열. 닝닝이 뽑은 aespa에서 쌩얼이 가장 예쁜 멤버이다.
- 보통 많은 이들이 떠올리는 카리나의 이미지 속 헤어 세팅은 흑발에 긴 생머리, 혹은 웨이브를 넣은 장발 헤어이다. 이러한 이미지가 각인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이러한 스타일링이 정석적인 스타일링이라서 그만큼 비주얼 센터들이 자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인데 같은 이유로 염색할 때도 확 튀는 색보다는 보라색, 카키색, 블루블랙색, 와인색 등 어두운 색 계열로 통일하는 편이다.
- Spicy 활동할 때 그동안 흑발 긴머리만 해왔는데 금발로 탈색을 했다. 금발 또한 인형같은 외모라며 칭찬이 많았다. 하지만 본인은 탈색으로 인한 머리 손상과 머릿결 관리가 힘들어 다신 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 얼굴이 무척 작고 키가 크고 다리가 곧다. 비율이 한마디로 AI 수준이라고 한다. 실존하는 인물중에 가장 비현실적이라고, 한다. 차린건 쥐뿔도 없지만의 호스트 이영지는 실물을 봤다는 네티즌이 알려준 카리나의 얼굴 크기에 대해 언급하며 직접 실험해보고 감탄하였다.
- 멤버들은 카리나의 첫인상이 굉장히 예뻤다고 한다. 모델 같았다고 말했는데 카리나는 키가 168cm[21]로 팀 내 최장신에 목과 다리가 길어 비율이 좋으며 매우 글래머러스한 몸매와 넓은 골반[2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술한 얼굴의 크기뿐만 아니라 체구도 작은데 이러한 요소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멤버들에게 이러한 인상을 주는 데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뛰어난 피지컬을 활용해 다양한 패션 스타일링을 스타일의 종류에 상관하지 않고 보여주고 있다. 특히 aespa의 컨셉상 자주 보게 되는 테크웨어나 연말 시상식에서의 드레스 등 특별한 의상들 또한 훌륭히 소화해내 찬사를 받기도 한다.
5.2. 성격
- 시크한 냉미녀상 외모이지만, 이미지와는 정반대로 다정다감하고 세심한 스타일이다. 팬들에게 잘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다정함의 대명사인 최수종과 하희라 부부의 이름을 따 '카수종'과 '마(MY)희라'라는 별명도 생겼다.#
- 버블을 센스있게 잘 하고 자주 와주는 아이돌로 꼽힌다. 자필로 글을 쓸 때는 자주 귀여운 그림을 그려 넣거나 모바일로 글을 쓸 때는 이모티콘을 즐겨 사용하고, 매번 팬들을 부르며 글을 시작하고 MY들에게 소소한 TMI를 알려 주는 등 글에서도 그런 성격이 엿보인다.
- 멤버들에게도 스윗한 면모를 많이 보인다. 멤버들에게 매번 칭찬도 많이 하고 # 여러모로 표현을 제일 많이하는 편. 지젤, 윈터, 닝닝 모두 가장 다정한 멤버로 카리나를 뽑았다. # 학창 시절에 즐겨했던 ASKfm나 동창들 인증 글들만 보더라도, 친구들에게 애정 표현을 원래 굉장히 잘하는 편이었던 듯하다.
-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침착하다. 여유로움과 높낮이 거의 없이 적당히 밝은 텐션을 유지하는 편이다.
- 사람들을 웃기는 게 너무 좋고 자기 때문에 웃으면 그 하루가 너무 기분이 좋다고 할만큼 타고난 장난꾸러기다.# 장난을 많이 치는 성격 때문에 연예계 데뷔 전부터 친하던 친구들에게 짱구를 닮았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한다. 개그욕심도 많아 멤버들과 있을 때는 늘 적절한 타이밍만 보면서 웃기고 장난치고 있다. 말도 조리 있게 잘하고 감초를 잘 치는 편이다.
- 리액션봇이다. 멤버들이나 라디오 DJ 등 사람들 말에 하나하나 반응을 잘해주고 드립도 잘 받아준다. 유재석이 앞니로 낳은 딸이라는 댓글도 달린 적 있다.[25]
- 하기로 마음 먹은 건 끝까지 해내고 할 수 있는 건 다 해보고 바쁘게 한번 살아보자는 성격이라고 한다. # 어려서 부터 하고 싶은 게 많았고 발발거리고 돌아다니는 걸 좋아하고 사람을 너무 좋아했다고 하며 # 다른 아티스트들이 협업이나 콜라보 제의가 들어오면 부족할지언정 다 잘해보고 싶어한다. #
- 높은 곳을 무서워 한다. 발판이 있는 곳은 좀 괜찮고, 짚라인처럼 발이 떠있거나 바닥이 보이면 더 무섭다고. 무서운 놀이기구도 별로 선호하지 않는다. 놀이공원에 가면 롤러코스터 등을 섭렵하고 다니는 동생즈와 반대로 지젤과 함께 회전목마를 선호한다고 밝혔다. 닝닝의 말에 의하면 멤버들이 놀이기구를 탈 동안 밑에서 기다려 주며, 혼자 뭘 먹고 있다고 한다.
- 무섭거나 잔인한 영화는 잘 못 본다. aespa 넷이서 공포영화를 보면 카리나와 지젤은 중간에 사라진다고 한다. 하지만 에스파의 싱크로드에서 분장한 귀신을 만났을 때는 크게 무서워하지 않았다.
- 벌레와 뱀을 무서워하지 않지만, 조류 공포증이 심한 편이다.# 비둘기를 피하며 등교하느라 인생 처음으로 지각한 적도 있다고 한다.[26] 근데 치킨은 좋아한다. # 물고기도 좀 무서워한다고 한다. 조석의 웹툰 조의 영역을 본 이후 그렇게 됐다고.
- MBTI가 E인만큼 외향적인데 또 낯을 가려 수줍은 E, 소문자 e라고 한다.# 이 수줍음 때문에 갑자기 얼굴이 빨개지는 일이 자주 있으며 특히 칭찬을 들을 때 얼굴이 빨개진다. 심할 때는 목까지 빨개진다고 한다.
- MBTI로 따지자면 고민 상담을 해줄 때 본인 그리고 자신과 가까운 지인들에게는 T 성향으로 대하고 거리가 좀 있는 사람들에게는 극F 성향으로 대한다고 한다.
6. 별명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383b40><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91EA9,#091EA9><rowcolor=#FBF150,#FBF150><width=20%> 별명 || 설명 ||
| 찌만 | 본명인 지민을 귀엽게 부르는 별명. 버블에서 스스로를 지칭할 때 자주 사용한다. 참고로 지만은 카리나의 학창 시절 별명 중 하나였다. |
| 지만 | |
| 찌민 | |
| 디민 | |
| 고양이 | 고양이상에 가까워 생긴 별명. 고양이를 좋아하는 카리나가 좋아하는 별명 중 하나. |
| 카냥이 | |
| 쿠로미 | 산리오 캐릭터 중 쿠로미를 닮았다. 지젤은 '카로링'이라고 부른다. |
| 카로미 | |
| 메추리알 | 얼굴이 너무 작아서 달걀도 아닌 메추리알 같다는 유튜브 댓글에서 유래한 별명. 윈터는 카리나가 차에서 졸고 있을 때 "언니 메추리알 깨지겠다."라며 드립을 치기도 했다. 얼굴이 빨개지면 양념 메추리알이라고 부른다. |
| 메추리나 | |
| 족제비 | 작은 얼굴, 긴 목, 깜찍한 얼굴 등이 족제비과 동물을 닮아 생긴 별명. 팬들이 선물한 메세지북 컨텐츠 중 닮은 동물 투표가 있었는데 고양이 다음으로 많은 표를 얻었다. 그걸 본 카리나는 족제비파가 많다는 사실에 신기해 했다. 차쥐뿔에서도 최근 닮은꼴 동물로 가장 많이 듣고 있다고 언급했다. |
| 도토리 | 카리나를 직접 본 일본팬이 카리나의 작은 얼굴을 '안면 도토리'였다고 표현해서 생긴 별명. |
| 대장 | Black Mamba 안무 영상에서 aespa 요원들의 대장 역을 맡았고, 리더여서 생긴 별명. |
| 리나 | 불리고 싶은 애칭으로 언급한적 있다. |
| 망고스틴 | 팬들이 작은 손을 놀리면서 붙은 별명이다. 처음엔 "망코스틴이라니!"라고 하면서 발끈했지만 받아들였다. |
| 먹짱 | 잘 먹어서 붙은 별명. 버블로 먹은 음식 사진을 자주 보내주는데 정말 잘 먹는다. |
| 메텔 | 'Salty & Sweet' 트랙 비디오와 엠카에서 금발에 베레모를 착용했는데 그 모습이 메텔 같다고 붙은 별명이다. |
| 병아리콩 | 카리나의 영어 선생님이 카리나의 작은 얼굴이 병아리콩 같다고 해서 생긴 별명. |
| 대장꼬부기 | 알이 작은 선글라스를 꼈을 때 수상해보이고 대장꼬부기처럼 보여서 붙은 별명. |
| 아기뱜 | 데뷔곡인 Black Mamba 콘셉트와 맞물려 흔치 않은 뱀상 미녀로 불렸다. 뱀중에서도 아가뱜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은 별명. |
| 애기구미호 | 스튜디오 춤 영상 속 카리나의 홀리는 얼굴과 흩날린 머리카락이 구미호처럼 보여 생긴 별명. 원본 트윗 |
| 월요요정 | 팬들의 월요병 치유를 위해 매주 월요일 버블에 사진 또는 영상을 보내준다. |
| 유가네 막내딸 | 카리나의 가족을 유가네라고 부르며 막내여서 붙은 별명. |
| 유다정 | 평소 멤버들이나 팬들을 대하는 모습이 매우 다정해서 생긴 별명. |
| 유알토 | 라디오에서 지젤이 카리나를 휴대폰에 '유알토'로 저장했다고 언급했다. 다른 멤버들은 모두 목소리가 소프라노인 반면, 카리나 혼자 알토이기 때문이라고.[27] |
| 유자 | 학창시절 별명이었다. 중국 팬들이 사용하는 애칭(柚)이기도 하다. 카리나 역시 자신의 중국어 별명을 유자(柚子)라고 적었다.# |
| 유자몬 | |
| 유체리 | 자신의 빨개진 얼굴이 양념 메추리알 같다고 하였는데, 이에 팬들이 체리 같다고 해서 생긴 별명. 카리나는 부끄러우면 쉽게 얼굴이 빨개지는 편이다. 체리마루와도 닮았다. |
| 유카리나 | 유지민 + 카리나 |
| 젭냥이 | 족제비 + 고양이. |
| 짐만보 | 짐(지민) + 잠만보. 잠이 많아서 생긴 별명. 가장 많이 잔 시간은 18시간. |
| 징밍잉 | 지민이를 귀엽게 발음한 버전. 2022년 만우절, 카리나가 버블 프사를 아기때 사진으로 바꾸며 함께 바꾼 닉네임이었다. 팬들이 아기 시절 카리나를 지칭할 때 자주 사용된다. |
| 카깅이 | 카리나 + 애깅이. |
| 카랑둥 | 카리나 + 사랑둥이. |
| 카리더 | 카리나 리더. |
| 카수종 | 카수종과 마(MY)희라. |
| 카복치 | 평소 깜짝깜짝 잘 놀라 개복치라고 불린다. 실제로 공식 대형상 카리나가 윈터와 닝닝 사이인데, 둘이 목소리가 커서 중간에서 깜짝깜짝 놀라며 고통받는 중이다. 심지어 자신이 친 할리갈리 종 소리에도 놀란다. # |
| 태봉산 날다람쥐 | 한때 윈터 폰에 저장되었던 저장명. 카리나는 어린시절 아버지와 집 근처 태봉산으로 등산을 자주 다녔는데, 거기서 날아다녔다고 한다. |
| 토미에 | 외모상으로 매우 흡사하다. 같은 소속사 김희철은 카리나를 처음 보고, 이수만에게 토미에를 닮은 멤버가 있다고 말한 적이 있다고 한다. 이수만은 토미에가 누군지 몰랐다고 한다. 앞머리 가발을 쓰고 나온 'Girls' 활동때 한 번 더 토미에를 닮았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
| 팔척 베이비 | 키가 크고 비율이 좋아 생긴 별명. 비슷한 별명으로 팔척 갓기, 팔척 쿠로미 등이 있다. |
| 하짱얼슬 | 하는 짓은 짱구인데 얼굴은 이슬이 누나라는 뜻. 냉미녀같은 외모와 달리 짱구처럼 장난기 많은 성격때문에 붙은 별명. 참고로 카리나는 짱구를 무척 좋아하고[28], 감기에 걸리면 짱구 목소리가 된다. |
| 유짱구 | |
| AI보다 더 AI | 카리나 자신의 AI 캐릭터인 æ-KARINA 보다 더 비현실적으로 생겼다며 붙은 별명. |
| CG보다 더 CG | |
| 신 | 실력, 인성, 외모 3박자를 모두 갖춰 국내 K팝 팬들 사이에서 모든 것이 완벽하다는 의미의 신으로 불리는 모습을 자주 찾을 수 있다. MY KARINA 영상에 카리나는 신이에요라는 대사가 있다. |
| stupid cheese cat | 단어의 유래는 한국팬들이 'Spicy' 활동 전, 그리고 활동 기간 동안의 금발 카리나의 귀여운 모습들을 보고 붙였던 '바보치즈냥/바보치즈고양이'이다. 한국 팬이 쓴 SNS 게시글에 언급되었던 '바보치즈고양이'가 구글 번역기를 통해 번역되어 해외 팬들에게도 이 별명이 알려지게 되었다. 현재는 해외 팬들이 금발 카리나를 이야기할 때나 카리나가 엉뚱한 모습을 보일 때마다 언급할 정도로 자주 사용하는 애칭이다. 카리나 본인도 이 별명을 아는지 인스타그램 라이브에서 "I'm stupid cheese cat"이라고 이야기하였다. |
| 김더스티 | 머리가 너무 이상해서 지젤에게 거울 셀카를 보냈는데 지젤이 뭔가 김 씨 같은 먼지 같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 지젤이 연락처에 카리나를 김dusty라고도 저장해두었다. |
| 잔퀸신종 | Supernova에서 카리나가 맡은 '잔인한 Queen 이며 Scene 이자 종결'이라는 가사 파트를 줄여쓰는 말이다. 대표적인 킬링파트인 데다 가사의 표현 자체가 카리나와 잘 어울려 카리나를 지칭하는 별명으로도 사용하게 되었다. 이 중 'Scene'같은 경우에는 그 자체의 의미로도 사용되지만 발음상 카리나의 별명인 '신(神)'처럼 들려 별명으로 사용할 때는 중복된 의미를 담고 있다.[29] |
| 날카리나 | 싱크로유에서 추리력이 날카롭다고 세븐틴의 호시가 지어 준 별명이다. |
| 가리나 | 2025.01.09 위버스 라이브 중, 민낯이어서 카메라를 킬 수 없다며, 지금은 카리나가 아니라 가리나라 하여 붙은 별명이다. |
| 카리나사우루스 | 큰 몸에 비해 손이 작은 티라노사우루스처럼 큰 키에 비해 팔이 짧아서 붙은 별명. |
7. 수상 경력
| <rowcolor=#FBF150,#FBF150> 날짜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2024년 | |||
| 12월 21일 | | 쇼·버라이어티 부문 신인상 | 싱크로유 |
| 2025년 | |||
| 1월 7일 | | 여자솔로가수 부문 | |
| 예능돌(여) 부문 | |||
| 5월 8일 | | 광고모델(여) 부문 | |
8. 논란 및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spa/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espa/논란 및 사건 사고#카리나|카리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여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리나/여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리나/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역대 프로필 사진
| Girls | |||
| Stamp On It | Drama | ||
| Supernova | Armageddon | Whiplash | |
| | |||
| Dirty Work | Rich Man |
10.1. 직접 쓰는 프로필
| 〈직접 쓰는 프로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21.05.26 주간아이돌 |
| }}}}}}}}} |
11. 둘러보기
- [ 관련 문서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0> Girls On Top(GOT) ||
보아 소녀시대 aespa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1.0em; word-break: keep-all" | <bgcolor=#000,#000> 시리즈 | |
| 시즌 1 | 시즌 2 | |
| <bgcolor=#000,#000> 수사단원 | ||
| 이용진, 존박, 이은지, 혜리, 김도훈, 카리나 | 이용진, 존박, 혜리, 김도훈, 카리나, 가비 | |
| <bgcolor=#000,#000> 에피소드 | ||
| 악마의 사제 · 심해 속으로 | ||
| <bgcolor=#000,#000> 관련 문서 | ||
| TEO · 정종연 | ||
[1] 아랫 지역인 권선구 당수동에 강릉 유씨 집성촌이 있다. # 어린 시절부터 유치원을 포함한 모든 학창 시절을 분당에서 보냈지만 본인은 출생지인 수원 사람이라고 소개한다. 다만 분당에서 훨씬 오래 산 건 맞다고 한다.#[2] 좌랑공파(佐郞公派) 25세손, 시조 33세손. 아버지 유철은 24세손 영○(永○) 항렬이다.(#|#)[3] 팀 내 최장신. #[4] 팀 내 유일한 B형.[5] 족보명 유영철(劉永徹).[6] 해병대 출신이다. 일명 '유철동기 여식' 짤 때문에 일찍이 알려졌다.#[7] 직업은 간호사. #[8] 직업은 간호사. 카리나의 본가 위버스 라이브에 목소리로 한 번 등장한 적이 있다. #1 #2 언니와 사이가 매우 좋다고. 2025년 6월 14일에 분당성요한성당에서 결혼했으며, 결혼식에 카리나가 참석해 화제가 되었다. #[9] 윈터와 함께 같은 교실에서 시험을 봤다. #[10] 모태신앙이며, 묵주 반지를 착용한다고 언급했다. 예명 카리나는 세례명에서 따온 것이다.[11] 능력이 발현될 때 푸른색으로 빛나며 적을 펀치로 공격한다.[12] ENTP와 ENFP가 번갈아 나온다고 한다. #1 #2[13] 자퇴 전 친구들에게 편지를 쓰면서 2학년 잘 올라가라고 남겼다고 한다.[14] aespa 내 유일한 공식 포지션이다. SM 걸그룹은 대부분 전통적으로 최연장자가 리더를 맡는다. 소녀시대의 경우에도 생년월일이 가장 빠른 태연이 리더를 맡았다. SM 보이그룹에서는 SUPER JUNIOR의 이특이 희철을 생일 9일 차이로 누르고 리더가 되었다는 것도 유명하다. 심지어 이 법칙은 외국인이 최연장자일 때도 적용되어서 f(x)는 중국인 멤버인 빅토리아가 리더를 맡았다. 카리나는 지젤과 동갑이지만, 생일은 6개월이 빠르다.[15] 평균 보컬 수준이 좋은 aespa이기 때문에 서브보컬로 여겨지지만, 순수 가창력만 보면 리드보컬 이상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16] 그러나, 실질적인 성종은 소프라노이다.[17] 아무리 춤을 잘 추더라도 텐션을 유지하지 못하면 관객의 몰입도는 당연히 깨질 수밖에 없으며, 댄스가수 콘서트는 특히나 이것을 끌고 가는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지에 따라 공연 분위기가 천차만별로 갈린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기획사에서 곡의 후렴에는 후렴 안무를 소화할 댄스 실력을 보유함과 동시에 텐션을 떨어트리지 않고 터뜨릴 수 있는 멤버를 센터에 넣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aespa는 컨셉의 특징이 파워풀/걸크러쉬이다 보니, 공연 연출상 더더욱 카리나와 같은 멤버가 꼭 필요하다.[18] 장원영, 카리나, 설윤을 4세대 걸그룹 3대 천왕으로 부른다. 셋의 앞 글자만 따서 '장카설'이라 부른다.[19] #[20] S.E.S.의 유진 → 소녀시대의 윤아 → f(x)의 크리스탈 → Red Velvet의 아이린.[21] 한국 여성 키 평균보다 6cm 크다.[22] 고관절이 크지 않아서 골반 넓이가 부각이 안 되어 보이는 것 뿐이다.[23] 정확히는 김소연이 드라마 펜트하우스에서 맡았던 배역인 천서진과 닮았다는 이야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목소리 또한 비슷하다는 평을 종종 받았기 때문에 카리나는 주간아이돌에서 즉석으로 천서진 성대모사를 하기도 했었다.[24] 뱀상 미인의 대표격으로 잘 언급된다.[25] 그런데 2024년 5월 30일 핑계고를 통해서 유재석과 같은 강릉 유씨란 게 알려졌다.[26] 당시 카리나의 담임 선생님도 학생들에게 이를 언급했다고 한다.#[27] 어렸을 때는 정말 맑고 높은 목소리였다고 한다. 어느 순간 변성기가 세게 와서 지금의 낮은 목소리가 되었다고.[28] 짱구를 못말려 애니를 좋아하는 거지 짱구가 최애캐는 아니라고 한다. 최애캐는 맹구[29] 이 곡의 작사가인 켄지의 스타일상 이를 노렸을 가능성이 있다. 켄지는 작사를 할 때 곡의 주인인 아티스트를 묘사하거나 어울릴 만한 가사를 생각하고 쓰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