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계열사 | ||
<colbgcolor=#f0f0f0,#000> SM Studios | SM C&C | 키이스트 | 미스틱스토리 | 디어유 | SM라이프디자인그룹 | ||
그룹 컴퍼니 | 드림메이커 엔터테인먼트(Beyond LIVE) | SM Japan(스트림 미디어) | SM USA | SM & KAKAO ENTERTAINMENT AMERICA | 크리에이션뮤직라이츠 | SM Brand Marketing | SMTOWN PLANNER | SM컬처파트너스 | 스튜디오 리얼라이브 | SM Universe | 갤럭시아SM | 에스팀 | SM True | ||
레이블 | <colbgcolor=#f0f0f0,#000> SM | ScreaM Records | SM Classics | KRUCIALIZE | LABEL V | |
KMR | 모노트리 | SMASHHIT | THE HUB | BADX | Kustomade | ||
프로젝트 | |||
SMTOWN 음반 | SMTOWN LIVE | S.M. THE BALLAD | S.M. The Performance | I AM. | SMTOWN WONDERLAND | SMTOWN WEEK | SUPERSTAR SMTOWN | THE AGIT | WINTER GARDEN | SM STATION | 눈덩이 프로젝트 | Beyond LIVE | iScreaM 프로젝트 | SM Culture Universe | KWANGYA | 리마스터링 프로젝트 | SMTOWN 2022 : SMCU EXPRESS | Girls On Top(GOT) | NCT LAB | NCT Universe : LASTART | Made in Korea: The K-Pop Experience | 30 YEARS AND MORE |
<rowcolor=#223055> Girls On Top | 걸스 온 탑 Girls On Top (GOT) | |
<colbgcolor=#ffe1e8><colcolor=#223055> 프로젝트 발표 | 2021년 12월 27일 |
프로젝트 종료 | 2023년 3월 31일 |
소속사 | SM엔터테인먼트 |
링크 |
[clearfix]
1. 개요
Girls, bring it on
Girls On Top(GOT)은 SM엔터테인먼트 소속 여성 아티스트들이 테마별로 새로운 조합의 유닛을 선보이는 신개념 프로젝트이다. 다양한 조합과 매력의 유닛들을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프로젝트 발표 1년 3개월 만에 해당 프로젝트가 종료되면서 무산되었다. 해당 프로젝트명은 보아의 히트곡들 중 하나인 Girls On Top에서 유래되었다.2. 유닛
2.1. GOT the beat
- [ 관련 문서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0> Girls On Top(GOT) ||
보아 소녀시대 aespa
3. 디스코그래피
<rowcolor=#223055> 발매일 | 앨범아트 | 앨범명 | 타이틀 곡 | 유닛 | 비고 |
<rowcolor=#223055> 2022년 | |||||
1월 3일 | | Step Back | Step Back | GOT the beat | [F] [D] |
<rowcolor=#223055> 2023년 | |||||
1월 16일 | | Stamp On It | Stamp On It | GOT the beat | [M] [L] |
4. 프로젝트 종료
- 본 프로젝트의 유닛인 GOT the beat의 리더이자 멤버였던 태연이 2023년 3월, 한 팬사인회에서 '우리의 처음이자 마지막인 팬사인회가 끝났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더 이상의 활동은 없을 것으로 추측, 사실상 종료된 프로젝트로 보이며 이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주축이자 전 총괄 프로듀서였던 이수만과 유영진 프로듀서가 회사 내 경영권 분쟁으로 퇴사하게 되면서 더 이상 프로젝트를 유지시킬 필요가 없었고 가장 큰 이유는 이들의 흔적 지우기와 낮은 수익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5][6] 이로써 2022년 1월 3일에 야심차게 시작했으나 2023년 3월 31일에 조용히 활동을 마치면서 사실상 1년 2개월 만에 Girls On Top 프로젝트도 동시에 종료되었다. 이후 유튜브 콘텐츠 '이쪽으로 올래'[7]에 출연한 태연이 GOT the beat의 추후 활동 재개 가능성이 열려 있냐는 질문에 단단하게 닫혀 있는 것 같다는 답변으로 다시 한 번 쐐기를 박으며 프로젝트는 완전히 끝난 것으로 보인다.
5. 여담
- SM의 팬들에게는 굉장히 흥미로운 이벤트가 되었다. SuperM을 보면서 SM의 여자 가수들도 어벤져스 느낌으로 비슷하게 연합 유닛이 나온다면 어떤 모습일지 호기심과 판타지가 있었는데 정말로 이루어졌다는 반응이 많다. Girls On Top 프로젝트 유닛에 대한 팬들의 반응은 꽤 호의적이다.
- 다른 대형 기획사들도 소속사의 컴필레이션 앨범[8]을 낼 만큼의 인재들은 많지만 현재까지 아이돌계에서 실질적으로 소속사 컴필레이션 앨범을 내고 활동하는 곳은 SM 밖에 없어서 아쉬워하는 K-POP 팬들이 많다.[9]
- 프로젝트 공개 당시엔 여러 유닛들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1년 2개월 만에 프로젝트가 종료되면서 GOT the beat가 유일한 그룹으로 남게 되었다.
[F] 첫 유닛[D] 데뷔 앨범[M] 첫 미니앨범[L] 마지막 앨범[5] 동 소속사 걸그룹 Red Velvet은 2022년 두 장의 EP가 모두 초동 40만 장을 넘겼고 aespa는 초동만으로 112만 장을 판매한 엄청난 성과를 내보였는데, 그 중에서도 핵심 멤버들을 차출해서 낸 GOT the beat의 Stamp On It은 적지 않은 프로모션을 했음에도 초동으로 10만 장도 넘기지 못하는 극도로 부진한 성과를 내면서 프로젝트를 계속 밀어붙이기 어려운 상황에 봉착했던 것으로 파악된다.[6] 특히 aespa의 경우 당시 연차가 가장 낮은 그룹으로서 자체적인 활동을 늘려야 할 상황에 GOT the beat로 동원되는 것에 대한 팬들의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7] SUPER JUNIOR의 은혁과 동해가 새로운 소속사를 설립한 후 개설한 채널의 첫 번째 콘텐츠.[8] 한 기획사 내의 아티스트들이 연합해서 발매하는 음반을 의미한다. 특히 힙합 신에서 활발하다.[9] JYP나 YG에서는 JYP nation이나 YG family라는 이름으로 과거에는 대형 기획사들이 컴필레이션 앨범을 자주 냈었다. SM은 약 15년만의 SMTOWN 음반, SM STATION, 그리고 자체 콘텐츠로 소속사 아티스트와 선후배 간의 교류를 보여 주는 콘텐츠를 많이 늘려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