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01:22:59

우보

우보(삼국지)에서 넘어옴
牛輔
(? ~ 192년)

1. 개요

후한 말의 인물로 동탁의 사위다.

2. 정사 삼국지

겁이 많아서 늘 병부를 쥐고 도끼를 주변에 두어 스스로 강한 것처럼 보이고자 했으며, 손님을 만날 때는 먼저 관상가를 시켜 그의 상을 보게 해 반기가 있으면 상대조차 하지 않고 점을 쳐서 길흉을 알게 한 연후에야 손님을 만났다.

후에 중랑장 동월이 우보에게로 오자 우보가 점을 치게 해 태하리상(兌下離上)의 점괘를 얻어 점쟁이 왈, "불(火)이 쇠(金)를 이기니 바깥 사람이 안에 있는 사람을 도모하는 괘입니다."라 하자 즉시 동월을 죽였으며, 또한 사치가 지나쳐 20여 병금과 대백주영을 목에 주렁주렁 달았다고 한다.

자신의 직위 또한 중랑장으로 주 임지는 사례 홍농군 섬현. 진류영천을 정벌할 때에는 이각, 곽사, 장제를 시켜 공격하게 한다.

192년에 동탁이 살해되자 여포는 동탁의 사위 우보를 죽이기 위해 이숙을 시켜 섬현을 공격하게 하는데, 우보는 이에 맞서 싸워 이숙은 패퇴하고 여포에게 처형된다.

그런데 밤중에 탈주병 몇 명이 달아나는 것을 보고 몽땅 다 배반했다고 여겨 평소 과하게 대우해 가보를 아낌없이 주던 복호적아와 몇 명과 함께 금은보화만 챙겨서 하수를 넘어서 달아나다가, 복호적아가 준비한 말을 타다가 떨어져서 허리를 다쳐 움직이기 힘들게 되자 보물에 눈이 먼 복호적아는 우보의 목을 잘라 장안으로 보낸다.

3. 삼국지연의

동탁하진의 포고로 장안으로 올 때 협서를 수비하는 역할을 맡으며, 동탁이 죽었을 때는 이각, 곽사, 장제, 번조가후의 계책으로 군사를 모아 장안으로 가는 길에 합류하나 여포에게 패해 보물만 들고 달아나다가 심복 복호적아에게 살해당한다. 여기서는 그 심복 복호적아도 여포에게 항복했다가 죽는다.

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external/kongming.net/375-Niu-F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06.jpg
삼국지 12, 13, 14

동탁 휘하의 무장으로 등장한다.

동탁의 사위가 아닌 아들로 등장하는데, 시스템상 사위를 구현하기 어려워서[1] 아들로 설정한 듯하다. 때문에 동탁이 자연사했을 때 동탁의 친동생 동민이 멀쩡히 살아있는데도 우보가 군주 자리를 물려받는 상황이 생긴다.

능력치는 언제나 영 좋지 못한 D급 이하의 장수. 무력 하나만 60대에 다른 능력치는 모두 매우 낮으며, 자신이 격파한 이숙보다도 통솔이 낮을 때가 많다.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그 뒤로 쭉 출연이 없다가 삼국지 7에서 다시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60/지력 20/정치력 25에 병법은 돌파 1개 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63/지력 12/정치력 18/매력 27에 특기는 돌격 1개 뿐. 지력과 정치력이 전작에 비해 하락했다. 동탁과 같은 일족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죽였다가는 동탁 일가를 모조리 원수로 돌리게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8/무력 60/지력 21/정치력 26/매력 37이고 특기는 없다. 통솔력이 5 하락했지만 지력과 정치력이 약간 상승했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정사의 기록대로 도끼를 들고 허세를 부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일기 3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일기이고 전법은 기속강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1, 무력 60, 지력 19, 정치 21, 매력 37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3 상승한 대신 지력이 2, 정치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경솔, 나약, 주의는 아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경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4.2. VC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CG 군-동탁 퍼스트덱 문서
4.1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화봉요원

파일:attachment/우보/ed.jpg
원본 인물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모든 매체 중 가장 멋지고 정상적으로 나온다. 아내와 아들을 사랑하는 애처가이며, 이런 아내를 만나게 해준 장인 동탁에게 큰 충성심을 가지고 있다.

동탁의 복수를 위해 군을 일으켜 여포군을 장안에서 몰아내려 하나, 공성이 쉽지 않아 전황이 불리해지자 목숨을 내걸고 가후의 계책, 공자헌두[2]의 희생양이 되길 자처한다.

우보는 가후에게서 자신의 심복인 복호적아여포 측의 자객이란 걸 들었지만, 그걸 알면서도 복호적아와 단 둘이 있을 자리를 만들어 일부러 암살당한다. 우보의 죽음에 기세등등해진 여포는 전군을 출진시켜 전면전에 들어간다. 여포군은 우보의 잘린 머리를 적진에 내던져 사기를 떨어뜨리고는 이각과 곽사의 영채를 격파, 우보의 주 영채까지 진격한다. 하지만 그곳은 가후가 만반의 준비를 해놓은 사지였고, 가후는 여포군을 몰살하며 병력의 겨우 1할만을 잃고 장안에 입성한다.[3]

4.4. 삼국지평화

우신(牛信)으로 나와 동탁이 서량부의 도적을 평정하자 우신(우보)이 10만을 이끌고 서량부를 지키게 되었다.


[1] 사위 관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동탁의 딸이자 우보의 아내인 인물을 등장시켜야 하는데 이 인물에 대한 기록이 딱히 없어서 우보 하나를 위해 완전 창작으로 여자 무장 하나를 추가하긴 어렵다. 그리고 이런 식으로 삼국지 시리즈에서 전통적으로 같은 가문 내의 친척 관계는 비교적 충실하게 구현되어있으나 인척 관계는 엉성하게 구현되어 있다. 때문에 유비손상향과 결혼한 상태에서도 손씨 일족과의 대화문이 별로 달라지지 않는다.[2] 형가자진 공자헌두(荊軻刺秦 公子獻頭). 형가진시황을 암살하려고 할 때, 연나라의 공자 단이 그 미끼로 번오기의 머리를 바친 일화에서 따온 것.[3] 다만 이각과 곽사는 이런 식으로 우보와 자신들을 이용해먹은 가후를 눈엣가시로 여겼고, 실제로 가후는 이각과 곽사를 쳐낼 생각이었다. 포악하지만 나름 개혁자의 면모가 있었던 동탁과는 달리, 서량 군벌 대부분은 관직만 가진 도적이나 다름없었기 때문. 그런 이유로 가후는 얼마 지나지 않아 장안에서 쫓겨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