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2:51:58

용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몽골야생말
, 서울동물원
,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 bordercolor=#fff> 파일:KAZA 로고.png KAZA 가맹
국내 동물원 · 수족관
}}}
{{{#!wiki style="margin: 0 -12px -7px; min-height: 3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px -9px"
구분동물원
주사무소관할서울동물원 공영
KAZA 주사무소 회장기관
서식지외보전기관
에버랜드 주토피아 민영
KAZA 부회장기관
서식지외보전기관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나라 공영
인천대공원 어린이동물원 공영
충청·전라 지회대전 오월드 공영
KAZA 분사무소
청주동물원 공영
KAZA 부회장기관
서식지외보전기관
국립생태원 국영
KAZA 부회장기관
우치공원 동물원 공영
KAZA 부회장기관
전주동물원 공영
아산시생태곤충원 공영
경상 지회달성공원 동물원 공영
KAZA 분사무소
진양호동물원 공영
울산대공원 동물원 공영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영
KAZA 홈페이지 회원 안내 페이지에서 KAZA 회원사 상세 내역 열람 가능.
한국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홈페이지 지역별 지부 안내 페이지에서 서식지외보전기관 상세 내역 열람 가능.
}}}}}}}}}

<colbgcolor=#96644d><colcolor=#ffffff> 용보
勇寶, Yong Bo
파일:몽골야생말_용보.jpg
출생 2011년 6월 15일

[[대만|]][[틀:국기|]][[틀:국기|]] 타이베이동물원
거주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서울동물원 (경기도 과천시 대공원광장로 102)
사망 2024년 5월 3일 (12세)
몽골야생말
성별 수컷
혈통번호 3639
가족 아빠 알종(Al Zhong, 혈통번호 4119)
엄마 니용(Ni Yong, 혈통번호 4868)
여동생 연건(Youn Ghun, 혈통번호 3640)

1. 개요2. 생애3. 폐사4. 국내에서 보유했던 몽골야생말5.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몽골야생말 용보-2013.2.22.jpg

대만 타이베이동물원에서 태어나 서울동물원 낙타사에 거주했던 몽골야생말. 국내 마지막 몽골야생말이었다.

이름 뜻은 날랠 (), 보배 ().

2. 생애

파일:P-horse-studbook14.png
파일:P-horse-studbook_15.png
국제 스터드북[1]에 등록된 용보의 프로필
파일:P-horse-studbook16.png
국제 스터드북에 등록된 용보의 가계도

2011년 6월 15일 대만 타이베이동물원에서 태어났으며, 번식을 위해 2012년 12월 4일 서울동물원에 왔다. 당시 서울동물원에서는 동물원에서 자체 번식된 암컷 3마리와 캐나다 토론토 동물원에서 기증받은 수컷 미샤(Misha)가 있었지만, 유일한 수컷인 미샤가 열심히 교미해도 10년 넘게 번식을 못하자[2] 번식 성공을 위해 용보를 새로 도입했다.

용보는 무진동 차량에 실려 무사히 서울동물원에 도착했고, 며칠 간의 적응기간을 두고 방사장에 풀려났다. 데려온 직후에는 1살 밖에 안돼서 번식 작업을 못하고 다른 개체들과 따로 격리되어 지냈다.[3]

당시 용보는 아직 어렸지만 암컷들이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암컷 3마리 모두 노령에 가깝거나 노령이었는데도 나이는 숫자에 불과했던 모양이다.[4] 흥미로운 것은 다른 수컷 미샤의 반응이었다. 미샤는 용보가 왔을 당시 20살을 넘긴 노령개체였는데, 10년 넘게 암컷 3마리를 거느리다가 용보가 새로 도입되자 하루아침에 뒷방 늙은이 신세가 된 것이다.
네이버쥬니어 사파리에 나온 미샤와 암컷 3마리
파일:몽골야생말_미샤.png
미샤
파일:몽골야생말_서울동물원.png
미샤와 암컷들

미샤는 용보를 심하게 견제했다고 한다. 용보가 다른 칸에 격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샤가 울타리를 넘어 무모하게 공격하려고 하다가 스스로 다치기까지 했다고 한다. 평소 몸이 약해서 거의 누워만 있었는데, 용보를 견제하느라 없는 힘까지 쥐어짜냈다고 한다.

견제가 심해 보이지만 수컷 몽골야생말이 다른 수컷을 견제하는 건 매우 당연한 현상이다. 특히 암컷을 거느리는 늙은 수컷은 젊은 수컷에게 상당히 예민하고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 야생에서는 하렘을 놓고 격렬하게 싸우다가 사망하는 일도 종종 발생한다.

용보를 암컷 3마리와 교미시키려면 다른 수컷을 격리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었으므로 위기감을 느낀 미샤가 용보를 격렬하게 견제하는 것도 당연한 일. 하지만 용보가 오고 몇 개월 뒤에 미샤는 노환으로 숨을 거두었다.

미샤가 죽은 뒤 용보와 암컷 3마리를 교미시키기 위해 본격적으로 합사를 진행했으나, 계속 2세 소식이 들리지 않았다. 나중에 용보마저 유전자 문제로 번식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졌다.

또한 불행히도 암컷 3마리가 모두 2015~2018년 사이에 불의의 사고 및 노환으로 숨을 거두었고[5], 2018년부터는 용보 혼자 남아 몽골야생말 방사장을 꿋꿋이 지켰다. 그 기간이 상당히 길었던 데다 대전오월드에 살던 암컷 몽칠이마저 2019년에 노환으로 세상을 떠나자 용보는 국내에 유일하게 남은 몽골야생말이 되었다. 서울동물원에서는 새로운 개체를 도입하지 않았으므로 용보는 수년 동안 혼자 살았다. 몽골야생말은 무리생활이 필수인 동물이라 일각에서는 오랫동안 홀로 살아가는 용보가 혹여나 스트레스 받지 않을지 우려하기도 했다. 용보가 외롭지 않도록 얼른 새로운 개체를 데려오길 바라는 사람들도 있었으나...

3. 폐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35007?sid=102

2024년 5월 3일 오후 5시 반 용보가 갑자기 폐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폐사 원인은 전신마취로 인한 다발성 장기 부전이라고 한다. 1년에 한 번씩 받는 발굽 관리 과정에서 전신마취를 받았는데 의식은 잘 회복했지만 일어서지 못해서 계속 기립을 시도하다가 결국 사망했다고 한다. 매년 받는 발굽 관리로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가 없었는데 올해 갑자기 이상이 생긴 것. 평소에는 건강한 개체였다. 부검 결과 신장, 심장, 다리 근육에 이상이 발견됐다고 하며, 이 같은 질병이 사인에 영향을 줬는지의 여부는 검사중이라고 한다. 멸종위기종 1급 동물인 데다 국내 유일한 몽골야생말이었기에 여러 언론에서 사망 보도가 되었다.

언론에 따르면 지금까지 사망한 몽골야생말 개체의 평균수명은 19살이라고 한다. 하지만 용보는 12살[6]에 폐사한 것이기에 평균수명도 못 채우고 사망한 것이다. 몽골야생말은 야생에서 약 15~25년 가량 살고, 동물원에서는 최대 30년 이상까지도 사는데 야생 기준으로도 수명을 다 못 채웠다.

앞으로 서울대공원에서 몽골야생말을 새로 도입할 것으로 보이지 않기에 용보는 사실상 국내 최후의 몽골야생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몽골야생말이 오래 전 한반도에서도 서식했다고 하고 한반도에 살았던 고대 말의 조상이기도 하기 때문에 종보전과 교육적 측면에서 몽골야생말을 다시 도입할 수도 있겠지만, 전 세계 개체수가 2500~3000마리 남짓인 희귀종인 데다 몇 년 전 기준으로 봐도 마리당 7천만원을 호가했다고 하니 새로 데려오기도 녹록치 않을 뿐더러, 새로운 개체를 굳이 도입하는 것이 필요한지도 생각해 봐야 할 일이다.

4. 국내에서 보유했던 몽골야생말

이름 성별 혈통번호 생년월일 거주지 사망한 나이
리타(Rita) 암컷 861 1979.08.05 서울동물원 약 18살(폐사일 : 1997.11.27)
비투스(Vitus) 수컷 1047 1982.05.09 서울동물원 약 13살(폐사일 : 1996.01.02)
베라(Vera) 암컷 1207 1984.04.28 서울동물원 약 16살(폐사일 : 2001.01.01)
불명 암컷 3671 1990.06.19 서울동물원 약 28살(폐사일 : 2018)
미샤(Misha) 수컷 2230 1991.07.03 서울동물원 약 22살(폐사일 : 2013.07.30)
불명 암컷 2276 1992.04.25 대전오월드 약 9살(폐사일 : 2002.04.03)
불명 수컷 5503 1993.08.30 서울동물원 미확인
넬리(Nellie) 암컷 2986 1994.05.03 대전오월드 약 24살(폐사일 : 2019)
낸시(Nancy) 암컷 2657 1994.05.06 대전오월드 미확인
불명 암컷 5573 1994.09.26 서울동물원 약 20살(폐사일 : 2015.09.17)[7]
불명 암컷 3629 1998.05.22 서울동물원 약 20살(폐사일 : 2018)
용보(Yong Bo) 수컷 3639 2011.06.15 서울동물원 약 12살(폐사일 : 2024.05.03)

국제 스터드북 캡쳐이미지는 몽골야생말 문서의 9.1 항목 참고.

프셰발스키 말 국제 스터드북에 등록된 개체들로서, 국내에서 몽골야생말은 서울동물원, 대전오월드에서 보유했었다.
파일:몽골야생말_낸시.png
낸시
파일:몽골야생말_몽칠이.png
몽칠이(넬리)

이름이 있는 개체들은 모두 국내에 오기 전 출생국에서 지어진 이름으로 보이며, 국내에 온 뒤 이름이 없어졌거나 다르게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미샤는 서울동물원에 온 뒤 이름 없는 개체로 살았다고 한다. 서울동물원에서 자체 번식된 수컷 1마리와 암컷 3마리도 이름이 없는 것으로 보아 서울동물원에서는 이름을 지어주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전오월드 개체들은 모두 캐나다 캘거리 동물원에서 반입한 것으로 보이는데, 넬리는 대전오월드에서는 몽칠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몽칠이가 2019년에 고령으로 사망하면서 대전오월드에도 몽골야생말이 사라졌다.

스터드북에 등록된 정보를 참고했으므로, 누락된 개체가 있을 수 있고 오류 가능성도 있다.

5. 여담


[1] https://przwhorse.zoopraha.cz/[2] 생식세포 검사 결과 정자가 아주 없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불임으로 판정됐다고 한다.[3] 수컷 몽골야생말은 2~3살쯤에 성적으로 성숙해지고, 5살에 성 성숙도가 최고조에 달한다.[4] 참고로 수컷과 암컷 모두 20살 넘어서까지 번식할 수 있다.[5] 대부분 고령으로 죽었으나 음수대에 빠져 죽는 사고도 있었다.[6] 기사에서는 13살이라고 나왔지만 국제 스터드북에 등록된 용보의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보면 12살이다.[7] 음수대에 빠져 복막 열상으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