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국가기관·협회·동맹 | |
<colbgcolor=#cccccc,#444444><colcolor=black,white> 국가기관 | 국가체육지도위원회 · 문화성 · 체육성 | |
위원회·협회 | 조선올림픽위원회 · 조선축구협회 · 조선태권도위원회 | |
직업동맹 |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조선작가동맹 · 조선미술가동맹 · 조선음악가동맹 · 조선영화인동맹 · 조선연극인동맹 · 조선무용가동맹 · 조선사진가동맹 · 조선작곡가동맹 | |
기타 | 조선미술작품보급사 · 광명음악사 · 대외전람총국 | |
주요 예술체육단체 | ||
종합 | 국립민족예술단 · 만수대예술단 · 평양학생소년예술단 | |
가극·교예 | 평양교예단 · 피바다가극단 · 금강산가극단 | |
만화 |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 | |
미술 | 만수대창작사 · 중앙미술창작사 | |
영화 | 조선영화문학창작사 · 조선예술영화촬영소 ·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 |
음악 | 조선국립교향악단 · 만수대예술단 (공훈여성기악중주조) · 모란봉악단 · 보천보전자악단 · 사회안전성협주단 · 삼지연관현악단 · 왕재산경음악단 · 윤이상관현악단 · 은하수관현악단 ·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 · 조선인민군군악단 · 조선인민군협주단 · 청년협주단 · 청봉악단 · 평양음악무용대학 관현악단 | |
체육 | 2.8체육단 · 4.25선수단 · 기관차체육단 · 압록강체육단 · 평양시체육단 · 월미도체육단 · 경공업성체육단 | |
교육기관 | ||
전체 |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 평양연극영화대학 · 조선체육대학 · 조선미술대학 · 금성학원 · 만경대학생소년궁전 · 평양학생소년궁전 ·평양국제축구학교 · 평양미술학교 | |
}}}}}}}}} |
한자: 旺載山輕音樂團
영어: Wangjaesan Light Music Band
왕재산예술단의 2016년 12월 평양 공연 |
[clearfix]
1. 개요
왕재산예술단은 북한 최초의 경음악단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에 의해 1983년 7월 22일 결성됐으며 김일성의 혁명 전적지인 왕재산 혁명 전적지에서 이름을 따왔다. 왕재산예술단은 경쾌하고 명랑한 경음악과 노래, 현대 무용 작품들을 많이 창작하고 있으며 경음악의 특성을 살리면서 전자 악기가 배합된 특색 있는 악기 편성으로 민족적 선율의 고유한 정서와 흥취를 잘 나타내고 있었다.[1]1980년대 후반에는 장윤희, 김화숙이 주로 활동했고 1990년대에는 렴청, 오정윤, 황숙경, 김순희 등 여러 가수들이 무대에 오르며 인기를 끌었다.
왕재산경음악단은 2000년대부터 침체기에 있던 보천보전자악단과 달리 공백기 없이 활동하였으며 2011년 왕재산예술단으로 이름 개칭후 현재까지도 활동하고있다.
2. 악단의 구성
왕재산경음악단은 삼태성조, 삼일포조 , 여성전자기악조인 목란조와 같이 악기 구성을 달리하는 여러 기악조와 무궁화무용조, 백일홍무용조 등 몇개의 무용조로 구성되었다.또한 악단 구성에서 새로운 가수들의 투입과 교체가 보천보전자악단과 달리 비교적 유동적이였다.
당시 일반 대중들을 위한 공연과 김정일이 주최하는 당, 정 고위 간부들의 모임이나 외국인이 참석하는 행사 등에서도 공연하였다. 안무가 한금이, 무용배우로서 양창남, 정석범, 리영숙 등이 알려져 있었다.
3. 주요 가수
- 렴청[2]
- 김희옥[3]
- 황숙경[4]
- 정명신[5]
- 김명옥[6]
- 현송월[7]
- 장윤희[8]
- 김화숙[9]
- 이현숙[10]
- 장정애[11]
- 김성옥[12]
- 정순녀[13]
- 김순희[14]
- 오정윤[15]
- 박인옥[16]
- 김선희[17]
- 김옥순[18]
- 이옥화[19]
- 권미화[20]
- 박복희[21]
- 엄정녀[22]
- 염동선[23]
- 최광호[24]
{이 외의 가수들: 김정녀, 고경란, 정춘희, 한은정, 온춘실,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가수들}
4. 연주가 및 음악가
- 최문호[25]
- 김운룡[26]
- 한영철
- 박진국
- 임대술
- 정춘일
- 박철준[27] - 트럼펫
- 조명철 - 트럼펫
- 차현주 - 트럼펫
- 박인태 - 트럼펫
- 황승철 - 색소폰
- 김순길[28] - 색소폰
- 김철령 - 바이올린
- 최홍남 - 드럼 연주자
- 박주천 - 목조기타 연주자
- 고영철
- 장무길 - 트롬본 연주자
- 유원철 - 트롬본
- 김영란[29] - 일렉 기타
- 송은심 - 일렉 기타
- 한철수
- 전광수 - 바이올린
- 정원철
- 원윤철 - 바얀
- 전일 - 바이올린
- 이혜련 - 액시스[30]
- 정인경 - 액시스
5. 유명 연주곡
6. 왕재산예술단으로의 이름 변경
왕재산예술단(구 왕재산경음악단)은 보천보전자악단과 함께 1980~90년대 북한 대중음악의 양대산맥을 이루었으나 다소 침체 상태에 있다가 2011년 왕재산예술단으로 그 이름이 새롭게 변경되었으며, 또한 2015년 7월 청봉악단이 왕재산예술단 소속으로 새롭게 창단되었다. 현재 왕재산예술단은 음악무용단을 포함하여 남녀 독창가수들과 연주자들로 구성되어 있다.[1] 북한 문화예술 현황분석 연구(2011), 책임연구 박영정 · 공동연구 오양열 · 전영선, 한국문화관광연구원, ISBN 978-89-6035-274-2, 123~124 페이지[2] 인민배우, 강원도(북한) 원산시 출생, 조선인민군예술학원 성악2강좌 교원이며 대표곡으로는 '정일봉의 우뢰소리'가 있다[3] 공훈배우, 평양영화음악록음소 배우이며 대표곡으로는 '아름다운 생의 자욱을 새기여가자'가 있다[4] 평양시 동대원구역 출생,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대중가요강좌 교원, 대표곡으로는 '수령님 계신 만수대'가 있다[5] 평안남도 은산군 출생, 평양학생소년궁전 지도교원, 대표곡으로는 '장군님 백마타고 달리신다'가 있다[6] 강원도(북한) 창도군 출생, 만경대학생소년궁전 성악지도교원, 대표곡으로는 '효성은 조선의 가풍'이 있다[7] 평양시 출생, 삼지연관현악단 단장, 대표곡으로는 '장군님과 해병들'이 있다[8]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대중가요강좌 교원, 대표곡으로는 '심장에 남는 사람'이 있다[9] 대표곡으로는 '조국의 품'이 있다[10] 대표곡으로는 '병사가 받은 편지'가 있다[11] 모란봉악단 부단장, 대표곡으로는 '계수나무'가 있다[12] 1975년생, 대표곡으로는 '아뢰고싶어'가 있다[13] 전직 은하수관현악단 성악배우, 대표곡으로는 '나란히'가 있다[14] 함경남도 이원군 출생, 금성학원 성악강좌 교원, 대표곡으로는 '정일봉의 진달래'[15] 라선시 선봉구역 출생, 동안고급중학교 조기성악반 분과장, 부교장, 대표곡으로는 '단풍은 붉게 타네'가 있다[16] 공훈배우, 전직 은하수관현악단 성악배우, 대표곡으로는 '귀틀집 실물레'이 있다[17] 대표곡으로는 '황금을 뿌리어도 청춘은 못 사'가 있다[18] 김원균명칭음악종합대학 대중가요강좌 교원, 대표곡으로는 '나의 소원'이 있다.[19] 공훈배우, 후에 은하수관현악단, 모란봉악단에서 활동한다. 대표곡으로는 '세월이야 가보라지'가 있다 (성매매 알선 혐의로 숙청되었다는 소문이 있다)[20] 공훈배우, 후에 여러악단에서 활동, 대표곡으로는 '바다만풍가'가 있다.[21] 공훈배우, 대표곡으로는 '금강산타령'이 있다.[22] 김정일의 전속 요리사인 후지모토 겐지의 아내[23] 남성가수, 후에 만수대예술단에서 활동한다. 대표곡으로는 '전사의 길'이 있다.[24] 대표적인 남성가수[25] 공훈예술가 1958년 함경북도 무산군 출생[26] 현재 모란봉악단 부단장.[27] 공훈배우 1967년 황해도 재령군 출생 '너를 보며 생각하네' 를 연주한 사람으로 유명하다.[28] 인민배우[29] 원래 보천보전자악단 여성기악조 소속이였으나 왕재산경음악단 목란조 기타수가 되었다.[30] Roland의 숄더 키보드 AX시리즈의 전신, 1984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