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22:14:15

오딘(벽람항로)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일:AzurLane_KR_Logo.jpg캐릭터
샤른호르스트급 전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선행 설계안 1번함 2번함 META
파일:벽람항로오딘.png 파일:벽람항로샤른호르스트.png 파일:벽람항로그나이제나우.png 파일:벽람항로샤른호르스트META.png 파일:벽람항로그나이제나우META.png
오딘 샤른호르스트 그나이제나우 샤른호르스트(META) 그나이제나우(META) }}}}}}}}}


오딘
KMS Odin / オーディン
파일:azur_odin.png
<colbgcolor=#a48252> 세력 파일:메탈 블러드 로고.png
등급 Priority
PRY
함종 순양전함
일러스트 RAN
원본 함선 샤른호르스트급 전함 선행 설계안 오딘[1]
성우 마츠오카 유키
획득 방법
입수 경로 개발 도크에서 개발
건조 종류 건조 불가

1. 개요2. 설정3. 성능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개발 효과 / 함대 기술3.2. 스킬
4. 스킨
4.1. 휘호창설
5. 대사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등장인물. 작중 신분은 철혈 소속 순양전함이며, 월드 오브 워쉽오딘을 콜라보한 캐릭터다.

2. 설정

「지휘관, 총력전에 휴식따윈 없을 텐데.」

됭케르크급에 대항하기 위해 설계된 고속전함 계획안의 하나.
지휘관인 당신을 보좌하기 위해 순양전함으로서 구현된 그녀는
말 그대로 「선봉에 섬」으로써 승리를 가져다 줄 것이다. #

3. 성능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일:AzurLane_KR_Logo.jpg캐릭터 능력치
SSR 이상 전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내구 장갑 장전 포격 뇌장 회피 대공 항공 소비 주포 부포or
어뢰
대공포
SSR
전함
노스캐롤라이나 7852
(重)
159 421 0 33 400 0 15 130% 200%
(구축포)
100%
워싱턴 8080
사우스 다코타 8031 414
매사추세츠 7783 156
앨라배마 154 418 408
킹 조지 5세 7970 156 423 35 264 135% 200%
프린스 오브 웨일즈 7967 422 230
듀크 오브 요크 153 421 225
하우 159 418 258 140%
로열 오크 7794 156 417 29 230 130%
미카사 5372 163 334 25 172 14 150% 150%
(구축포)
나가토 8117 146 419 37 182 15 135% 210% 100%
카가(전함) 8303 149 423 217 39 187 200% 90%
토사 8056 145 36 199
키이 7945 421 283 37 367 100%
스루가 8229 139 213 215
오와리 8476 145 283 39 368 140%
비스마르크 8762 152 423 0 33 208 130% 180% 90%
티르피츠 8401 150 217 200%
리토리오 8367 154 421 0 35 243 100%
비토리오 베네토 8491 159 429
로마 8738 156 426 241
소비에츠카야 러시아 8324 139 427 247 135%
리슐리외 8428 167 447 42 293 160%
장 바르 8036 179 419 241 70%
클레망소 8150 168 450 304
가스코뉴(μ장비) 7851 429 37 237 170%
SSR
전함
(개장)
웨스트버지니아改 7696 174 439 30 246 14 145% 200%
(구축포)
105%
넬슨改 7894 169 437 33 249 200%
SSR
순양
전함
컨스텔레이션 8373 중형
(中)
170 419 181 40 420 15 135% 200%
(구축포)
100%
후드 8445 159 343 0 37 323 14 140% 150%
(구축포)
아마기 7654 148 421 213 41 187 15 135% 180% 90%
뤼초 7622
(重)
164 390 181 32 268 14 125% 170%(구축포) 90%
자이틀리츠 7362 149 384 179 33 264 140% 70%
브륜힐데 7421 164 375 240 42 309 200% 100%
환창 6786 중형(中) 159 343 0 35 321 130% 150%
UR
전함
(개장)
워스파이트改 8023 중(重) 179 446 33 290 15 140% 200% 115%
UR
전함
뉴저지 9520 170 447 39 427 17 150% 210%
(구축포)
130%
뱅가드 9466 176 417 38 426 145% 180% 160%
무사시 10860 154 473 36 230 155% 220% 100%
울리히 폰 후텐 9513 178 448 27 252 210% 90%
비스마르크 Zwei 9429 170 28 279 200% 110%
소비에츠키 소유즈 9981 164 452 35 252 150% 120%
알자스 9155 174 450 42 309 145% 100%
PR
전함
모나크 7967 168 423 33 230 16 210% 110%
이즈모 8607 146 428 37 237 140% 90%
조지아 8297 163 436 30 409 165% 200%
(구축포)
110%
가스코뉴 7863 168 430 36 241 180% 200% 80%
샹파뉴 6896 중형
(中)
181 454
마르코 폴로 8422
(重)
156 432 40 258 145% 120%
플랑드르 8604 167 436 39 270 110%
PR
순양
전함
오딘 7126 171 361 241 36 337 140% 200%
(어뢰)
110%
DR
전함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9886 157 449 0 24 241 19 160% 220% 100%
DR
항공전함
키어사지 9176 153 432 37 333 392 140% 200%
(전투기)
구분 내구 장갑 장전 포격 뇌장 회피 대공 항공 소비 주포 부포or
어뢰
대공포
  • (구축포) : 장비로써 구축포 만 장비 가능
  • (어뢰) : 장비로써 어뢰 만 장비 가능
  • (전투기) : 장비로써 전투기 만 장비 가능
  • 윗첨자 : 장비로써 구축포 또는 대공포를 장비 가능
}}}}}}}}} ||


최초로 등장한 PR등급 순양전함. 순양전함임에도 이례적으로 중(重)장갑을 보유하였으며, 내구도도 그렇게 낮지는 않은 편. 반면에 포격치는 풀강 만렙 기준으로도 360을 겨우 넘기는 물화력으로, 동기인 샹파뉴와는 정반대의 특징을 가진다.

특이하게도 두번째 장비슬롯에 부포가 아닌 어뢰를 장비한다. 어뢰 쏘는 전함들이 다 그렇듯 뇌장치는 그리 높지는 않지만, 어뢰 보정률이 200%로 매우 높은지라 실제로는 대략 벨파스트스위프트슈어와 비슷한 위력을 보인다. 다만 어뢰 선 장전도 어뢰 장전 수 증가도 없는 데다가 저 멀리 후열에서 어뢰를 발사하기 때문에 적중률마저 떨어지므로 전열함선과 동급의 어뢰성능을 내기는 힘들다. 이 적중률 문제 때문에 어뢰 장비는 반드시 자성어뢰를 장비하는 것이 좋다.

이름 주포 위력 장비 내 보정률[2] 장전시간 조준거리 탄종 장갑 보정률
경장갑 중형장갑 중장갑
128mm 연장포
(오딘 부포)
21X4 115% 1.50초 90 철갑탄 100% 100% 100%
150mm 3연장포
(오딘 부포)
21X6 115% 2.74초 65 100% 100% 100%
150mm TbtsKC/36 연장포 21X4 105% 3.00초 65 100% 80% 60%
데이터 출처

장비슬롯에 부포를 장비하지 못하는 대신 강화레벨 10에 어뢰순양함의 기본 부포와 비슷하게 장비칸에 따로 부포를 장비하지 않아도 발사되는 내장형 특수 부포가 추가된다. 그냥 봐서는 알아채기 힘들지만 특수 부포는 2종류가 존재하며, 조준거리가 길고 쿨타임이 짧은 2연장포와 조준거리가 짧고 쿨타임이 긴 3연장포로 이루어져있다. 양쪽 다 장갑 종류에 관계 없이 일정한 대미지를 넣을 수 있으며, 전함급의 화력치와 겹쳐져서 웬만한 2포좌 경순들을 훨씬 능가하는 부포 딜링이 가능하다.[3]

한편 화력치가 전함급이라고는 해도 전함류 중 밑바닥 수준이므로 주포에 의한 딜링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특히 부포를 장비하지 못하는 관계로 그만큼 실제 화력치가 낮아지므로 최종 주포 성능은 그 후드보다도 낮아지게 된다. 특수탄막 역시 크게 좋은 성능은 아닌데, 번개탄막의 위력 자체는 높고 범위도 가로로 넓긴 하지만 그래봤자 1히트씩밖에 안 들어가므로 적 1체에 대한 탄막 위력은 그다지 높지 않다. 실질적으로 특수 부포를 주력으로 보는 것이 좋다. 그러나 부포도 저 멀리 후열에서 발사함에도 탄속은 평범한 철갑 수준이라 빠른 적을 상대로는 풀히트를 기대하기도 힘들고, 순양함이나 전함처럼 멀리서 스폰되는 양산형을 잡지 못해서 쫄전에선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다만 보스전에선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보스는 크기가 커서 탄속문제가 상쇄되고 거리도 절묘해서 보스전 내내 최대딜을 넣을 수 있다. 한방 한방은 그렇게 강하지 않지만 누적딜이 엄청나서, 여왕 버프를 받은 개장 워스파이트의 딜량조차 넘는 일도 간간히 보인다. 단, 크기도 작은데 앞으로 나오지도 않는 일부 보스전에선 사거리가 닿지 않아 부포가 장식이 되는데, 그나마 이벤트나 대형작전에선 이런 일은 없다.

잠수함 대응용 스킬은 대잠 개편 이후로 구축과 경순이 소나를 기본 탑재하게 되었으므로 두 함종 중 하나라도 포함된 함대에선 있으나 마나라는 평을 듣고 있다. 단, 구축함과 경순양함, 그리고 잠수함이 등장하는 일반 해역 14장 후반에서는 소나 스캔에 덤으로 딸린 전열 함대의 어뢰 피격 대미지 경감 옵션이 상당히 유용하므로 오토 전투로 파밍을 할 경우 그로세와 더불어 곧잘 채용되곤 한다.

또한 최초로 배치위치 변경을 스킬로 갖고 있는 함선으로, 함대 내 어느 자리에 배치하든 무조건 후열 중앙 앞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적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부포의 실질적인 조준거리 및 사거리가 증가하며, 특수탄막이 반드시 세로축 중앙에서 전개된다. 한편 자신도 적의 중거리 공격에 맞을 수 있으며, 특히 연습전에서 기함이 맞을 공격을 자신이 대신 맞아주는 효과가 생긴다. 이러한 특성은 항모를 기함으로 놓고 육성할 때 특히 빛을 발하는데 자폭선 등에서 항모를 안정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고, 오딘 자신도 중앙에서 탄막 등의 효과를 최대로 살릴 수 있기 때문.

용골편찬을 하면 특수탄막이 두 번 발사되고(잠깐의 간격을 두고 한 번 더 발사된다.) 바늘 탄막 역시 실드를 관통하게 된다.

14지역 출시 이후 위치 변경 스킬로 인해 기함으로서의 안정성이 높다는 이유로 초기 오토덱에 기용되었었다. 주로 보스파티에 시나노, 엔터프라이즈, 뉴저지 등과 함께 썼던 것이 초기 빌드 활용법. 2023년 초 기준으로는 그 어떤 컨텐츠에서도 1순위로 사용될 일이 없고, 오로지 위치 이동으로 인한 조커픽의 가능성조차도 UR들 대비 낮은 내구도 + 낮은 생존기 + 비교할수 없을 정도의 딜량으로 밀려서 현재로써는 그냥 수집률 점수 대상 이상은 못하는 상태.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개발 효과 / 함대 기술

능력치
(레벨1/호감도50 → 레벨120/호감도100 → 레벨120/호감도200)
내구 1186 → 7126 장갑 중형(中) 장전 63 → 171
포격 69 → 361 뇌장 45 → 241 기동 8 → 36
대공 64 → 338 항공 0 명중 20 → 62
대잠 0 항속 30
행운 0(15)[4] 소모 9 → 16
<colbgcolor=#a48252> 장비 정보
번호 장비 종류 공격 횟수 (MIN/MAX) 장비 효율 (MIN/MAX)
1 전함주포 1 / 3 100% / 140%
2 어뢰 1 / 1 200% / 200%
3 대공포 1 / 1 100% / 110%
4 설비 - -
5 설비 - -
개발 효과[5]
{{{#!wiki style="margin: -16px -11px;" Lv.5 내구 +289 / 대공 +16 / 주포 효율 +5%
Lv.10 스킬 【안티 세이렌】 습득 / 주포 발사 수 +1 / 특수 부포 장착
Lv.15 내구 +579 / 대공 +31 / 대공포 효율 +10%
Lv.20 【안티 세이렌】강화 / 주포 효율 +15%
Lv.25 내구 +868 / 대공 +47 / 주포 효율 +5%
Lv.30 【안티 세이렌】강화 / 주포 발사 수 +1 / 주포 효율 +15%
함대 기술
함대 기술점수 획득 돌파MAX Lv.120
17 35 26
함대 추가 능력치 전함, 순양전함. 항공전함 내구 +2 전함, 순양전함. 항공전함 명중 +1 }}}

3.2. 스킬

스킬
미미르의 현안 전투 중 자신의 배치 위치를 변경[6]하고 자신이 받는 대미지가 5(20)% 감소한다.
15초 마다 소나 스캔을 실행한다.
  • 스캔된 적 잠수함의 위치가 5(10)초 동안 드러나고, 명중이 15(25)% 감소한다.
  • 5(10)초 동안 아군 선봉 함대가 받는 뇌격 대미지가 5(15)% 감소한다.
헤르테이트의 굉뢰 18초 마다 45(75)% 확률로 실드를 관통할 수 있는 뇌전을 포함한 특수탄막을 전개한다
(위력은 스킬 레벨에 비례).
자신의 어뢰 공격의 발사각도를 변경한다.[7]
헤르테이트의 굉뢰+
(용골편찬)
18초 마다 45(75)% 확률로 실드를 관통할 수 있는 뇌전을 포함한 특수 탄막+을 전개한다
(위력은 스킬 레벨에 비례).
자신의 어뢰 공격의 발사각도를 변경한다.
안티 세이렌Ⅰ/Ⅱ/Ⅲ 자신이 세이렌에게 주는 대미지가 5(15)% 상승한다.

4. 스킨

4.1. 휘호창설

파일:1024px-OdinNew_Year.png
가격 880다이아 스킨 소개 #
이런 "예술적 취미"와는 인연이 없을 것 같던 나에게, 이렇게 마음껏 글을 쓸 기회가 생기다니... 어때, 동방의 예술이라고 해도, 내 이름을 꺾을만한 위력은 없지 않아?

5. 대사

도감-자기소개
戦艦オーディンだ。私は鉄血海軍の構想の中でのみ存在していた。
運命が私とお前を出会わせたからには、お前を補佐し、お前の目標を実現することを我が使命としよう
전함 오딘이다. 난 그저 철혈 해군의 구상 속에서만 존재하고 있었다.
운명이 나와 널 만나게 해줬으니, 너를 보좌해, 네 목적을 실현시키는 것을 내 사명으로 삼도록 하지.
일반 대사
입수 私を呼び覚ましたのはお前か?鉄血戦艦オーディン、これよりお前の補佐をこなしてみせよう
네가 나를 깨운 건가? 철혈 전함 오딘, 앞으로 널 보좌하도록 하지.
로그인 よくぞ帰った。指揮官、次の計画はもう立てているのか?
잘 돌아왔다. 지휘관, 다음 계획은 이미 세웠나?
상세확인 妙だな。母港のみなはなぜこうもゆっくりしていられるのだ……
묘하군. 모항의 모두는 어째서 이리도 느긋히 있을 수 있는 건지......
메인1 シャルンホルスト級……願わくば会ってみたいものだな
샤른호르스트급...... 바라건대 한번 만나 보고 싶군.
메인2 計画が現実に追いつかないこともある。指揮官、何事も実行する前に熟考するのだぞ
계획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 지휘관, 무슨 일이든 실행하기 전에 숙고해 두도록.
메인3 人間の視野などたかが知れている。全てを見渡せないからといって人のせいにするんじゃないぞ
인간의 시야는 한정되어 있다. 모든 것을 상정할 수 없다고 해서 남의 탓을 하지 말도록.
터치1 うん?計画に変化があったか?
응? 계획에 변화가 있었나?
터치2 つ、続きは軍事法廷でしてもらおうか!
벼, 변명은 군사법정에서 듣도록 하지!
임무 任務だ。指揮官、それを放置するなど、賢明な選択だと思うまい?
임무다. 지휘관, 설마 이 임무를 방치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 생각하는 건 아니겠지?
임무완료 任務完了だ。指揮官、次の任務に着手しよう
임무 완료다. 지휘관, 다음 임무에 착수하도록 하지.
메일 メールだ。新しい情報か?
메일이다. 새로운 정보인가?
모항귀환 指揮官、総力戦に休息などないはずだが
지휘관, 총력전에 휴식따윈 없을 텐데.
위탁완료 委託組が戻ってきたな。よし、全ては計画通りだ
위탁을 다녀온 아이들이 도착했군. 좋아, 전부 계획대로다.
강화성공 実力あってこそ、計画の不確定要素を減らすことができるのだ
실력이 동반되어야 비로소 계획의 불확정요소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전투시작 逃げられるうちに逃げおおせるがいい――
도망칠 수 있을 때 도망치는 것이 좋을 거다――
승리 この勝利、初めから我らの手中にあったのだ
이 승리, 처음부터 우리의 수중에 있었다.
패배 ありえん……私の計画に、間違いなど……!
말도 안 돼...... 내 계획에, 결점따윈......!
스킬 もはや帰る場所などあるまい!
너희에게 돌아갈 장소따윈 없다!
큰 피해 応急方案、実行準備……!
응급 방안, 실행 준비......!
호감도 대사
실망 失望というより、お前のようなやつがどうやって指揮官になったかが気になるな
실망했다기보단, 너 같은 녀석이 어떻게 지휘관이 됐는지 궁금해지는군.
아는사이 むっ、たしかに名前や肩書などが力を証明するには物足りんな。だが安心せよ。時間が経てばお前の心配など無用だと知れ
흠, 확실히 이름이나 직책 따위로 힘을 증명하기엔 부족하겠지. 하지만 안심해라. 시간이 흐르면 네 걱정이 기우였다는 걸 알게 될 테니.
우호 死にゆく戦友のことを弔うか?進む足を止めて弔うばかりじゃ戦争には勝てんよ
죽어가는 전우를 위해 애도하는 건가? 전진을 멈추고 그저 애도만 해서는 전쟁에 이길 수 없어.
호감 仕事も戦闘も、私達のコンビネーションはどんどん良くなっているな。
…いかん、このままでは私が指揮官に依存するようになってしまうのではないか……!
일에서도 작전에서도, 우리들의 콤비네이션은 점점 좋아지고 있군.
...안 되지, 이대로 가다간 내가 지휘관에게 의존해 버리게 될 거야......!
사랑 誰かに依存するのは感心できないな。過ぎたる絆は戦争の中で足枷になり、人の判断力を損ね、計画に支障をもたらしてしまう……
私は一体何を言っているんだ…
확실히 의존하는 것은 탐탁지 못한 행위다. 지나친 정은 전쟁에서 족쇄가 되고, 판단력을 해치고, 계획에 지장을 주게 되겠지.....
내가 도대체 무슨 말을 하고 있는 거야...
결혼 了解した。これからはずっとお前を補佐し続ける。だから……ちょっと待て、これは……い、言っていたことと違うぞ!
……嫌なんてとんでもない!ただ心の準備が……と、とにかく!考える時間を――!
알았다. 앞으로는 계속 너를 보좌하마. 그러니까...... 잠깐만, 이건...... 들었던 것과 다르잖나!
......싫다는 건 아니야! 단지 마음의 준비가...... 아, 아무튼! 생각할 시간을――!

6. 기타

도이칠란트급 장갑함을 토대로 설계된 순양전함이었다는 설정과, 도이칠란트급 자매를 담당했던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렸기 때문인지 전체적인 인상에서 도이칠란트, 그라프 슈피의 특징들이 반영됐다. 예를 들면 머리카락 길이는 도이칠란트, 머리색은 그라프 슈피를 반영했으며, 저 두 명처럼 브릿지를 했다.

원작 월드 오브 워쉽에서는 배틀 패스의 포지션에 선 개인선창 컨텐츠 한정 보상함이었다. 8티어 전함 답지 않은 작은 선체에 샤른호르스트와 비슷한 구경의 주포, 도이칠란트급과 같은 위치에 배치된 8문의 어뢰 발사관이 있다.

미미르의 현안(賢眼)은 오딘이 미미르의 샘에 눈을 바치고 지혜를 얻은 것에서, 헤르테이트(Herteitr)는 오딘의 별명 중 하나에서 유래하였다. 뜻은 전쟁의 기쁨. 오딘의 외눈을 반영했는지 일러스트에서는 오른쪽 눈이 가려져있다. 같은 진영에 안대를 낀 순양전함 캐릭터가 있으니 안대를 끼고 나올만도 했지만 캐릭터가 겹칠 수 있다고 봤는지 하지 않았다.

오만해보일 정도로 당당하지만 정작 지휘관이 들이대면 당황해서 어쩔 줄 모르는 갭모에 요소가 있다.

SD모션 중에는 토르묠니르를 불러오고 전기를 뿜어내는 모션이 있다.하긴 오딘이니까

경험치 수집 연구는 프리드리히처럼 철혈 후열로만 진행해야하므로 개발 난이도가 매우 높다. 그나마 프리드리히가 막 추가되었을 때와는 달리, 현재는 비스마르크와 최근에 진행된 부상한 작전 함선들을 제외한 모든 철혈 후열함이 상시화된 덕에 이전보다는 훨씬 나아진 상태이다. 여차하면 프리드리히로 경험치작을 해도 된다. 물론 반대도 가능.

2024년 10월 기준 현존하는 철혈 후열함은 다음과 같다.

7. 둘러보기


||<rowbg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 파일:AzurLane_KR_Logo.jpg ×파일:external/gamingwithdaopa.ellatha.com/World-of-Warships-Logo-300.png
특별계획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기수 등급 함선
<colbgcolor=#fff,#1f2023> 1기 PR 넵튠* | 모나크* | 이부키* | 이즈모* | * | 생 루이*
2기 DR 아즈마* |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PR 시애틀* | 조지아* | 키타카제* | 가스코뉴*
3기 DR 드레이크*
PR 체셔* | 마인츠* | 오딘* | 샹파뉴*
4기 DR 하쿠류* | 에기르
PR 앵커리지*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마르코 폴로*
5기 DR 플리머스 | 브레스트
PR 프린츠 루프레히트* | 치칼로프* | 하얼빈*
6기 DR 힌덴부르크 | 키어사지
PR 시만토* | 플랑드르* | 펠릭스 슐츠*
7기 DR 나폴리 | 어드미럴 나히모프
PR 다이센 | 할포드 | 바야르
8기 DR 하우덴 리우 | 메클렌부르크
PR 드미트리 돈스코이 | 캔자스 | 비토리오 쿠니베르티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bgcolor=#007FFF,#0060BF>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FF,#0060BF><tablebgcolor=#007FFF,#0060BF><width=40%>
파일:벽람항로 로고 배경 무색.png
||<width=60%>
순양전함 · 전함 · 항공전함 캐릭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함종 등급 함선
순양전함 PR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오딘 · 프린츠 루프레히트
SSR
USS
컨스텔레이션 ·
HMS
후드 ·
IJN
아마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뤼초 · 브륜힐데 · 알비트 · 어드미럴 젠커 · 자이틀리츠 ·
ROC
환창 ·
MNF
스트라스부르 ·
META
그나이제나우(META) · 리나운(META) · 리펄스(META) · 샤른호르스트(META) · 히에이(META) ·
기타
블랙★록 슈터E · 타마키E
SR
HMS
꼬마 리나운 · 리나운 ·
IJN
꼬마 아마기 · 꼬마 히에이 · 콘고 · 콘고(μ장비) · 키리시마 · 하루나 · 히에이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그나이제나우 · 샤른호르스트 ·
MNF
됭케르크
R
HMS
리펄스
전함 DR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 메클렌부르크
UR
USS
뉴저지 ·
HMS
뱅가드 · 라이온 ·
IJN
무사시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비스마르크 Zwei · 울리히 폰 후텐 ·
FFNF
알자스 ·
SN
소비에츠키 소유즈 ·
RN
라파엘로
PR
USS
조지아 · 캔자스 ·
HMS
모나크 ·
IJN
다이센 · 이즈모 ·
FFNF
샹파뉴 ·
MNF
가스코뉴 · 플랑드르 ·
RN
마르코 폴로
SSR
USS
노스캐롤라이나 · 매사추세츠 · 사우스다코타 · 앨라배마 · 워싱턴 · 인디애나 ·
HMS
듀크 오브 요크 · 로열 오크 · 워스파이트 · 킹 조지 5세 · 프린스 오브 웨일즈 · 하우 ·
IJN
나가토 · 미카사 · 스루가 · 오와리 · 카가 · 키이 · 토사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비스마르크 · 티르피츠 ·
FFNF
리슐리외 ·
MNF
가스코뉴(μ장비) · 장 바르 · 클레망소 ·
SN
소비에츠카야 러시아 · 소비에츠카야 벨로루시아 · 카잔 ·
RN
리토리오 · 로마 · 비토리오 베네토 ·
META
나가토(META) · 로드니(META)애리조나(META) · 퀸 엘리자베스(META) · 안드레아 도리아(META) ·
기타
금빛 어둠E · 미나세 이오리E · 신죠 아카네E · 키즈나 아이 슈퍼 게이머E · 파트리샤 아벨하임E · 호노카E · 후부키E
SR
USS
메릴랜드 · 애리조나 · 웨스트버지니아 · 콜로라도 ·
HMS
넬슨 · 리벤지 · 로드니 · 밸리언트 · 퀸 엘리자베스 ·
IJN
무츠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꼬마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 튀링겐 ·
FFNF
리옹 ·
SN
강구트 · 세바스토폴 · 아르한겔스크 · 폴타바 ·
RN
안드레아 도리아 · 줄리오 체사레 ·
META
네바다(META)S · 야마시로(META)S · 줄리오 체사레(META)S· 후소(META)S ·
기타
나기사E · 무지나E
R
USS
캘리포니아 · 테네시 · 펜실베이니아 ·
IJN
야마시로 · 이세 · 후소 · 휴가 ·
RN
콘테 디 카보우르
N
USS
네바다, 오클라호마
항공전함 DR
USS
키어사지
SSR
기타
2대E
R
IJN
야마시로 · 이세 · 후소 · 휴가
구축함
경순양함
중순양함ㆍ대형순양함ㆍ모니터함
경항공모함ㆍ항공모함
운송함ㆍ공작함
범선ㆍ잠수함
  • 윗첨자E: 콜라보 이벤트로 한정 기간동안만 획득 가능한 함선
  • 윗첨자: 개장 가능한 함선(개장 시 함종 변경이 되는 경우는 변경된 함종에만 표시)
  • 윗첨자S : 시즌 패스 함선
  • 참고: 템플릿:벽람항로 함선
}}}}}}}}}




[1] 샤른호르스트급을 건조하기 전에 계획된 설계안이라는 뜻이며 토대가 된 것은 도이칠란트급 장갑함이다.[2] 숨겨진 수치[3] 원본 함선이 부포 세팅이 가능한 함선임을 벽람항로 시스템으로 고증한 셈. 사족으로 조지아 또한 부포 세팅이 가능한 원본을 가지고 있는데, 내장형으로 구현한 오딘과는 달리 특수 탄막으로 구현했다.[4] 용골편찬으로 강화 가능[5] 도감 개방, 레어도 상승 효과 제외[6] 후열 중앙의 앞으로 이동된다.#[7] 기존의 전열함선처럼 부채꼴 모양으로 퍼지는 것이 아니라 뇌격기의 어뢰처럼 오딘의 위치에서 일자로 직진한다.[8] 작전문서의 '거울에 비친 이색' B3/D2/D3/D4에서 해역드랍으로도 입수 가능[9] 작전문서의 '거울에 비친 이색' B2/D2/D3/D4에서 해역드랍으로 입수 가능. 일부 철혈 메인 이벤트 해역에서도 드랍되는 경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