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PRAN Harbin | |||
| |||
<colbgcolor=#a48252> 세력 | | ||
등급 | Priority PRY | ||
함종 | 경순양함 | ||
일러스트 | 帕瓦波[1] | ||
원본 함선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소형 경순양함 계획 하얼빈 | ||
성우 | 호모토 아키나 | ||
획득 방법 | |||
입수 경로 | 개발 도크에서 개발 | ||
건조 종류 | 건조 불가 |
1. 개요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의 등장인물. 작중 신분은 이스트 글림 소속 경순양함이며, 월드 오브 워쉽의 하얼빈을 콜라보한 캐릭터다.2. 설정
"나는 이스트 글림의 경순양함, 하얼빈. 네가 이곳의 지휘관? 으흠... 정기신도 좋아보이고, 신심도 좋아보이네. 아주 좋아! 나중에 나와 함께 지내도록 하자!"
당신을 동생으로 여기고 친절하게 대해준다. 이스트 글림 소속 특별계획함 누나.
명랑하고 보살핌이 좋고 돌려말하는 걸 싫어하는 대쪽같은 성격의 소유자..
당신을 동생으로 여기고 친절하게 대해준다. 이스트 글림 소속 특별계획함 누나.
명랑하고 보살핌이 좋고 돌려말하는 걸 싫어하는 대쪽같은 성격의 소유자..
하얼빈의 원본이 된 월드 오브 워쉽의 함선은 범아시아 정규 경순양함 트리 8티어의 PRAN 하얼빈으로, WOWS 개발팀에서 국공내전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소련에게서 소형 경순양함 계획으로 건조된 경순양함을 양도받았다고 가정하고 만든 가상의 창작함이다. 문제는 해당 설계는 실제로 건조된 적이 없으며, 소련은 2차 국공내전 당시 공산당에게 만주에 남아있던 일본군의 장비를 공여해준 적은 있지만 군함을 덜컥 쥐여줄 정도의 공여는 시행한 적이 없다. 즉 상상의 나래를 거듭한 대체역사급 창작함으로, 사실 일본 제국 해군을 제외하면 해군력이 박살나서 제대로 군함을 굴려본 역사가 없는 범아시아의 테크트리는 대부분이 이런 식의 왓이프 창작함이다. 실제로 중국이 하얼빈이라는 이름의 군함을 굴리게 된 것은 1991년 052형 구축함이 취역한 이후였다.
월드 오브 워쉽의 하얼빈은 기본 베이스가 소련 경순양함이기 때문에 미국이 태국 해군에 애틀랜타급 경순양함을 공여했다는 설정인 7티어의 HTMS 춤폰에 비하면 미국 순양함의 특징인 저속 고각포가 소련제 고속 저각포로 교체된 점이 특징이며, 주포의 성능은 조금 나아졌어도 여전히 애매한 방공 성능과 장갑 구조로 인해 운영하기 어려운 함선으로 기피받는다. 범아시아 순양함의 특징인 연막과 대공 방어 사격 소모품은 그대로 갖고 있기 때문에 미국제 고각포가 사라져서 오히려 섬을 끼고 연막에 숨는 피탐 플레이가 어려워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는 난이도 높은 함선으로, 그나마 8티어 함선인지라 군함 수리반을 쓸 수 있다는 점이 플러스 평가 요소.
그런데 정작 벽람항로의 하얼빈은 실제로 이름이 하얼빈인 루후급 구축함의 성능을 구현한 듯한 성능함으로 등장했다.
3. 성능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캐릭터 능력치
SSR 이상 경순양함 ||
}}}}}}}}} ||
SSR 이상 경순양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내구 | 장갑 | 장전 | 포격 | 뇌장 | 회피 | 대공 | 대잠 | 소비 | 주포 | 부포or 어뢰 | 대공포 | |
SSR 경순 | 리노 | 3755 | 경 (輕) | 190 | 148 | 196 | 95 | 479 | 203 | 11 | 125%구 | 135% | 170% |
몬트필리어 | 4361 | 193 | 170 | 0 | 92 | 333 | 104 | 130% | 75%부 | 120% | |||
휴스턴 II | 194 | 110 | 377 | ||||||||||
벨파스트 | 3970 | 182 | 179 | 340 | 96 | 293 | 144 | 150% | 155% | 100% | |||
다이도 | 3744 | 193 | 157 | 178 | 97 | 387 | 168 | 140%구 | 130% | 135% | |||
허마이오니 | 159 | 173 | 96 | 381 | 187 | 130% | |||||||
시리우스 | 182 | 151 | 161 | 97 | 385 | 164 | 135%구 | ||||||
카리브디스 | 3898 | 193 | 137 | 185 | 111 | 430 | 176 | 140% | |||||
스킬라 | 3921 | 148 | 178 | 436 | 168 | 150% | |||||||
스위프트슈어 | 3796 | 190 | 163 | 364 | 96 | 304 | 148 | 155% | 155% | 110% | |||
노시로 | 3278 | 181 | 175 | 373 | 104 | 333 | 95 | 125% | 175% | ||||
노시로(μ장비) | 3098 | 179 | 179 | 381 | 119 | 334 | 82 | 180% | |||||
사카와 | 3374 | 170 | 377 | 130 | 101 | 175% | |||||||
마그데부르크 | 3664 | 204 | 187 | 313 | 123 | 377 | 147 | 145% | 135% | 120% | |||
레겐스부르크 | 3748 | 172 | 327 | ||||||||||
엠덴 | 3719 | 201 | 157 | 289 | 107 | 299 | 91 | 120% | 75%구 | 100% (어뢰) | |||
두카 델리 아브루치 | 4361 | 181 | 159 | 320 | 110 | 371 | 97 | 125% | 160% | 110% | |||
주세페 가리발디 | 4301 | 179 | 368 | 135% | 150% | ||||||||
아브로라 | 3372 | 중형 (中) | 150 | 104 | 223 | 79 | 160 | 57 | 130% | 125% | 80% | ||
차파예프 | 4352 | 경 (輕) | 195 | 171 | 0 | 93 | 333 | 147 | 75%부 | 120% | |||
쿠이비셰프 | 4293 | 196 | 176 | 107 | 331 | 95%부 | |||||||
키로프 | 4075 | 187 | 182 | 296 | 126 | 344 | 154 | 150% | 135% | 110% | |||
보로실로프 | 4378 | 148 | 196 | 144 | 400 | ||||||||
잔 다르크 | 3223 | 182 | 152 | 264 | 79 | 276 | 148 | 135% | 145% | 100% | |||
마르세예즈 | 3616 | 193 | 175 | 286 | 131 | 321 | 147 | 155% | 150% | ||||
기샹 | 3709 | 192 | 190 | 300 | 134 | 377 | 152 | 160% | |||||
SSR 경순 (개장) | 헬레나改 | 3844 | 190 | 181 | 0 | 90 | 406 | 109 | 10 | 140% | 65%부 | 115% | |
키누改 | 3126 | 186 | 158 | 354 | 105 | 319 | 123 | 120% | 180% | 130% | |||
유바리改 | 2342 | 202 | 161 | 286 | 105 | 332 | 84 | 8 | 125% | 165% | 125% | ||
진츠改 | 2855 | 197 | 176 | 402 | 108 | 300 | 99 | 10 | 125% | 180% | 115% | ||
닝하이改 | 2192 | 187 | 201 | 234 | 110 | 304 | 75 | 145% | 155% | 135% | |||
핑하이改 | 2160 | 107 | 272 | ||||||||||
얏센改 | 2124 | 175 | 0 | 106 | 382 | 55 | 135%경 | 85% | |||||
파먀티 메르쿠리야改 | 3300 | 중형(中) | 139 | 128 | 162 | 100 | 195 | 125%구 | 125% | 90% | |||
에밀 베르탱改 | 3425 | 경(軽) | 178 | 191 | 298 | 117 | 327 | 144 | 145% | 155% | 115% | ||
UR 경순 (개장) | 샌디에이고改 | 3995 | 210 | 182 | 168 | 95 | 559 | 201 | 11 | 115%구 | 135% | 185% | |
PR 경순 | 넵튠 | 4637 | 164 | 172 | 352 | 98 | 363 | 152 | 12 | 150% | 160% | 100% | |
시애틀 | 5257 | 156 | 178 | 0 | 97 | 365 | 154 | 145% | 65%경 | 130% | |||
마인츠 | 5262 | 중형(中) | 182 | 168 | 193 | 75 | 354 | 120 | 130% | 110% | 110% | ||
하얼빈 | 3583 | 경(輕) | 193 | 150 | 363 | 183 | 406 | 147 | 150% | 135% | |||
시만토 | 5255 | 156 | 169 | 426 | 94 | 446 | 125% | 175% | |||||
DR 경순 | 플리머스 | 5553 | 179 | 194 | 391 | 100 | 334 | 153 | 14 | 120% | 165% | 130% | |
구분 | 내구 | 장갑 | 장전 | 포격 | 뇌장 | 회피 | 대공 | 대잠 | 소비 | 주포 | 부포or 어뢰 | 대공포 | |
|
미사일 구축들에 이어 또 다시 나온 공안 아첨용 고성능 중국함.
확정 발동 연막으로 유다치, 클리블랜드급 이상의 자체 탱킹 능력과 아군 보호 능력을 가지는데, 어뢰 발사 시 발동된다는 특징을 살려 자동 전투 시 어뢰 사속을 조절함으로써 특정 타이밍에 발동되는 적의 패턴에 의한 피해를 줄여 전열함의 생존력을 제법 높여줄 수 있다.
2포좌 주포에 어뢰 차발까지 있어 자체 딜량까지 매우 좋은데, 미사일 구축함[2]이나 UR/DR 전열함 정도를 제외하면 하얼빈보다 강한 함선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이며, 용골편찬을 완료하면 특수탄막과 자버프가 소소하게 강화되기까지 한다. 게다가 중국함 버프까지 주고 받을 수 있어 지금 1티어로 평가받는 미사일 구축함이나 얏센改 등과 조합하여 고난이도 해역 돌파 편성이나 대작전 쫄팟 등에 채용되기도 한다.
상기한 이유들로 올라운더인 플리머스나 대체가 불가능한 수준의 디버퍼 헬레나改와는 다른 특색을 가진 우수한 경순양함이라 평가받고 있어 특별계획함 5기의 PR등급 함선들 중에선 가장 많이 추천되는 함선.
다만 경순이면서 구축포를 장착하고 내구치 자체는 SSR이상 경순 중에서 낮은편이며 경장갑이라는 것은 주의. 대신 연막이 있고 회피가 구축급으로 높다. 경순양함이라기보다는 경순 함종으로 분류되는 구축에 더 가까운 느낌. 때문에 구축이 힘을 쓰기 힘든 전투라면 하얼빈도 마찬가지로 힘을 쓰기 힘들어진다.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개발 효과 / 함대 기술
능력치 (레벨1/호감도50 → 레벨120/호감도100) | |||||||||||
내구 | 624 → 3583 | 장갑 | 경(輕) | 장전 | 71 → 193 | ||||||
포격 | 28 → 150 | 뇌장 | 69 → 363 | 기동 | 61 → 183 | ||||||
대공 | 78 → 404 | 항공 | 0 | 명중 | 57 → 167 | ||||||
대잠 | 36 → 147 | 항속 | 33 | ||||||||
행운 | 0(15)[3] | 소모 | 7 → 12 | ||||||||
<colbgcolor=#a48252> 장비 정보 | |||||||||||
번호 | 장비 종류 | 공격 횟수 (MIN/MAX) | 장비 효율 (MIN/MAX) | ||||||||
1 | 구축함주포 | 1 / 2 | 130% / 130% | ||||||||
2 | 어뢰 | 1 / 2 | 110% / 150% | ||||||||
3 | 대공포 | 1 / 1 | 135% / 135% | ||||||||
4 | 설비 | - | - | ||||||||
5 | 설비 | - | - | ||||||||
개발 효과[4]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Lv.5 | 내구 +152 / 대공 +19 / 어뢰 발사 수 +1 | |||||||||
Lv.10 | 스킬 습득 -【안티 세이렌】/ 어뢰 효율 +5% / 어뢰 탑재량 +1 | ||||||||||
Lv.15 | 내구 +305 / 대공 +38 / 어뢰 효율 +10% | ||||||||||
Lv.20 | 【안티 세이렌】스킬 강화 / 주포 발사 수 +1 / 어뢰 효율 +10% | ||||||||||
Lv.25 | 내구 +457 / 대공 +58 | ||||||||||
Lv.30 | 【안티 세이렌】스킬 강화 / 특수 탄막 스킬 강화 / 어뢰 효율 +15% / 자신이 장비한 어뢰 살포각 감소 | ||||||||||
함대 기술 | |||||||||||
함대 기술점수 | 획득 | 돌파MAX | Lv.120 | ||||||||
28 | 56 | 42 | |||||||||
함대 추가 능력치 | 경순양함 내구 +2 | 경순양함 뇌장 +1 | }}} |
3.2. 스킬
<colbgcolor=#a48252> 스킬 | |
백발백중 어뢰! | 자신이 받는 어뢰 대미지가 10% 감소한다. 자신의 어뢰가 중장갑 적에게 주는 대미지가 10(20)% 상승한다. 자신이 편성된 함대 내 이스트 글림 소속 구축함, 미사일 구축함의
자신의 어뢰 발사 시, 3초 동안 지속되는 연막탄을 발사한다.
|
폭포처럼 쏟아지는 포화! | 20초 마다 50(100)% 확률로 특수 탄막을 전개한다 (위력은 스킬 레벨에 비례). 자신이 대미지를 받을 경우 20% 확률로
|
폭포처럼 쏟아지는 포화!+ (용골편찬) | 20초 마다 50(100)% 확률로 특수 탄막+을 전개한다 (위력은 스킬 레벨에 비례). 자신이 대미지를 받을 경우 20% 확률로
|
안티 세이렌Ⅰ/Ⅱ/Ⅲ | 자신이 세이렌에게 주는 대미지가 5(15)% 상승한다. |
특수탄막 - 하얼빈Ⅰ/Ⅱ | 자신의 주포로 15(10)회 공격할 때마다 특수탄막(하얼빈Ⅰ/Ⅱ)를 전개한다. |
4. 스킨
4.1. 분방한 수천일색
| |||||
가격 | 880 다이아 | 스킨 소개 |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 |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분방한 수천일색) | |||||
<color#FFFFFF> 입수시 | . |
"괜찮아, 보고 싶다면 정정당당하게 봐! 게다가, 이 수영복 차림은 지휘관, 너에게 보여줄 생각이었으니까!"
4.2. 페오니아 레드
| |||||
입수경로 | 결혼반지 | 스킨 소개 |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 |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페오니아 레드) | |||||
<color#FFFFFF> 입수시 | . |
"오래 기다렸어, 지휘관. 이 옷 괜찮아보여? 이렇게 입으니 좀 부끄러운데... 하지만, 네가 좋아한다면야. "
4.3. 한여름 보물선의 돛을 올려라
| |||||
가격 | 980다이아 | 스킨 소개 |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 |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한여름 보물선의 돛을 올려라) | |||||
<color#FFFFFF> 입수시 | . |
"왔군. 얼마나 기다렸는지 아는가! 기다리느라 지루하진 않았냐고? 당연히 아니지! 어떻게 널 "요리"할까 고민하고 있었다. 아하하하, 농담이다!"
5. 대사
도감-자기소개 | |
東煌所属の軽巡洋艦、ハルビンだ。なんだ?私がここにいるのに驚いたか? ははは、人生は驚喜が付きものだ。 ともあれ、私と私の艦砲は指揮官をがっかりさせないさ! | |
<colbgcolor=#a48252> 일반 대사 | |
입수 | 東煌の軽巡洋艦、ハルビンだ。あんたがここの指揮官か?ふむ…元気ハツラツでガタイもよし…いいだろう!これからは私が面倒見てやる! . |
로그인 | おはよう指揮官。今日は手を貸せることはないか?そう気を使わんでいいから何でも言ってみな . |
상세확인 | 指揮官、変に気を遣わないで何かあったらそのまま話してみな。回りくどいのは勘弁だぞ . |
메인1 | 指揮官、仕事から上がったらちょっと酒でもどうだ?もちろん、他の飲み物でもいいぜ。一日頑張った自分をちゃんと労わないと、な? . |
메인2 | 「食(いい)は精(しらげ)を厭わず、膾(なます)は細きを厭わず」――海天のやつはそう小うるさく言ってくるし、実際あの子は唐辛子を自分で入れてるが全く平然としてしやがる…私にはごはんは腹いっぱい食えるかどうか、それが一番大事さ . |
메인3 | 計略を巡らしてから動じ、手を出す前に思慮を幾重も重ねるのは鎮海だが…私はまあ、その真逆だがな!ははは . |
터치1 | 暇で暇でしょうがないなら、私の持ち芸の漫才でも披露してやろうか?はは、戦闘以外にも芸をそこそこ持ってるクチだぜ . |
터치2 | ほほう?いい度胸してんな。さてはぶん殴られる覚悟ができているのか? . |
임무 | 新しい任務か?任せろ、今しっかり手配してやるからな . |
임무완료 | 上出来だな~!報酬の分配は私に任せて、あんたはもう休んできな . |
메일 | ついでにメールを持ってきたぜ。早めに確認してくれよな! . |
모항귀환 | ずっとバタバタしてて疲れたろ?あとで息抜きにどっか連れてってやろうか?風呂に入って背中流してもらったりマッサージしてもらったり…とか . |
의뢰완료 | おっ、どうやら仲間たちが遠征から戻ってきたようだ!指揮官、ねぎらいの席でも用意してやりな! . |
강화성공 | ははは、ちょっとうずうずしてきたな! . |
전투개시 | 私の後に続け! . |
승리 | ふん、弱すぎる。私の背中流し役にすらなれまい . |
패배 | 私に任せて先に逃げな! . |
스킬 | これでも食らいな! . |
큰 피해 | やれるもんならやってみな! . |
호감도 대사 | |
실망 | |
낯섦 | |
호감 | |
기쁨 | |
사랑 | |
서약 | |
특수 대사 | |
조건1 | |
조건2 |
6. 기타
첫 실장 당시 워쉽 콜라보 5기 함선들 중 유일하게 성우가 배정되지 않았으나, 2022년 7월 22일 공식 생방송을 통해 공개된 워쉽 콜라보 5기 PV 영상 일본 서버 버전을 피로하면서 성우의 녹음이 완료되었음을 알렸고, 바로 돌아오는 주의 점검과 함께 보이스가 실장되었다. 특기할만한 부분이라면, 이스트 글림(중국) 소속 캐릭터에 중국어가 유창한 성우가 배정되었다는 점.[5]이름 탓인지 한국서버에서는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나 범죄도시 시리즈의 장첸, 하얼빈 맥주와 관련된 밈과 드립이 존재한다. 하필이면 상술한 루후급 구축함은 1번함 하얼빈과 자매함인 2번함 칭다오로 구성되어 있어서 주류 관련 드립을 치기 좋은 점은 덤. 사족으로 하얼빈은 극동과 가까운 곳이라 매우 추운 지역인데, 기본 스킨의 털목도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스킨이 시원하게 옷을 입고 있어(...) 실제 지역의 기후는 캐릭터에 별로 반영되지 않았다.
7. 둘러보기
||<rowbg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
×![파일:external/gamingwithdaopa.ellatha.com/World-of-Warships-Logo-300.png]()
특별계획함 ||
특별계획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기수 | 등급 | 함선 |
<colbgcolor=#fff,#1f2023> 1기 | PR | 넵튠* | 모나크* | 이부키* | 이즈모* | 론* | 생 루이* | |
2기 | DR | 아즈마* |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 |
PR | 시애틀* | 조지아* | 키타카제* | 가스코뉴* | ||
3기 | DR | 드레이크* | |
PR | 체셔* | 마인츠* | 오딘* | 샹파뉴* | ||
4기 | DR | 하쿠류* | 에기르 | |
PR | 앵커리지*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마르코 폴로* | ||
5기 | DR | 플리머스 | 브레스트 | |
PR | 프린츠 루프레히트* | 치칼로프* | 하얼빈* | ||
6기 | DR | 힌덴부르크 | 키어사지 | |
PR | 시만토* | 플랑드르* | 펠릭스 슐츠* | ||
7기 | DR | 나폴리 | 어드미럴 나히모프 | |
PR | 다이센 | 할포드 | 바야르 | ||
8기 | DR | 하우덴 리우 | 메클렌부르크 | |
PR | 드미트리 돈스코이 | 캔자스 | 비토리오 쿠니베르티 | ||
| }}}}}}}}}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bgcolor=#007FFF,#0060BF>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FF,#0060BF><tablebgcolor=#007FFF,#0060BF><width=40%> ||<width=6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함종 | 등급 | 함선 |
경순양함 | DR | HMS 플리머스 | |
PR | USS 시애틀 · HMS 넵튠 · IJN 시만토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마인츠 · FFNF 바야르· SN 드미트리 돈스코이 · PRAN 하얼빈 | ||
SSR | USS 리노 · 몬트필리어 · 산타페 · 샌디에이고改 · 파고 · 휴스턴 II · HMS 다이도 · 다이도(μ장비) · 스위프트슈어 · 벨파스트 · 스킬라 · 시리우스 · 카리브디스 · 클레오파트라 · 허마이오니 · IJN 노시로 · 노시로(μ장비) · 사카와 · 와타라세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뒤스부르크 · 레겐스부르크 · 마그데부르크 · 엠덴 · FFNF 기샹 · 잔 다르크 · MNF 마르세예즈 · SN 보로실로프 · 아브로라 · 차파예프 · 쿠이비셰프 · 키로프 · RN 두카 델리 아브루치 · 주세페 가리발디 · HNLMS 더 제번 프로빈시엔 · META 진츠(META) · 키로프(META) · 파먀티 메르쿠리야(META) · 헬레나(META) · 기타 라이잘린 슈타우트E · 루루티에E · 모모 베리아 데빌룩E · 미사키E · 아마미 하루카E · 아스카E· 아일라 폰 뒤러E · 타카라다 릿카E · 퍼플 하트E | ||
SR | USS 꼬마 샌디에이고 · 꼬마 클리블랜드 · 꼬마 헬레나 · 덴버 · 버밍햄 · 보이시 · 보이시(μ장비) · 빌럭시 · 세인트루이스 · 컬럼비아 · 클리블랜드 · 클리블랜드(μ장비) · 헬레나改 · HMS 글로스터 · 꼬마 벨파스트 · 리버풀 · 맨체스터 · 블랙 프린스 · 벨로나 · 셰필드 · 셰필드(μ장비) · 에든버러 · 엔터프라이즈 · 오로라 · 트리니다드 · 페넬로피 · IJN 나토리 · 모가미 · 미나세 · 미쿠마 · 아가노 · 아야세 · 유라 · 유바리改 · 진츠改 · 키누改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뉘른베르크 · 엘빙 · FFNF 뒤게 트루앵 · 에밀 베르탱改 · MNF 라 갈리소니에르 · SN 무르만스크 · 올레그 · 파먀티 메르쿠리야改 · RN 바르톨로메오 콜레오니 · ROC 닝하이改 · 얏센改 · 잉 루이 · 차오 호 · 지안 · 핑하이改 · 하이치· 하이롱 · 하이티엔 · META 라 갈리소니에르(META) · 멤피스(META) · 셰필드(META) · 기타 넵튠E · 모니카E · 핫스E | ||
R | USS 마블헤드 · 멤피스 · 브루클린 · 산후안 · 애틀랜타 · 쥬노改 · 콩코드 · 피닉스 · 호놀룰루 · HMS 갈라테아 · 글래스고 · 뉴캐슬改 · 사우스햄튼 · 아레투사 · 아킬레스改 · 에이잭스改 · 자메이카 · 컬루改 · 퀴라소改 · 피지 · IJN 나카 · 센다이改 · 이스즈改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라이프치히改 | ||
N | USS 롤리 · 리치몬드 · 오마하 · HMS 리앤더改 · IJN 나가라 · 아부쿠마改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카를스루에改 · 쾨니히스베르크 · 쾰른改 | ||
구축함 | |||
중순양함ㆍ대형순양함ㆍ모니터함 | |||
전함ㆍ순양전함ㆍ항공전함 | |||
경항공모함ㆍ항공모함 | |||
운송함ㆍ공작함 | |||
범선ㆍ잠수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