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운상 해외 장편소설 부문 수상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제1회 (1970년) | 제2회 (1971년) | 제3회 (1972년) | 제4회 (1973년) | 제5회 (1974년) |
『크리스털 세계』 제임스 그레이엄 밸러드 | 『안드로메다 스트레인』 마이클 크라이튼 | Nightwings 로버트 실버버그 | 『타이탄의 미녀』 커트 보니것 | 『듄』 프랭크 허버트 | |
제6회 (1975년) | 제7회 (1976년) | 제8회 (1977년) | 제9회 (1978년) | 제10회 (1979년) | |
Up the Line 로버트 실버버그 | 『내 이름은 콘래드』 로저 젤라즈니 | 『드래곤 마스터』 잭 밴스 | I Will Fear No Evil 로버트 A. 하인라인 | 『링월드』 래리 니븐 | |
제11회 (1980년) | 제12회 (1981년) | 제13회 (1982년) | 제14회 (1983년) | 제15회 (1984년) | |
『라마와의 랑데부』 아서 C. 클라크 | 『별의 계승자』 제임스 P. 호건 | The Genesis Machine 제임스 P. 호건 | 『용의 알』 로버트 L. 포워드 | The Garments of Caean 배링턴 J. 베일리 | |
제16회 (1985년) | 제17회 (1986년) | 제18회 (1987년) | 제19회 (1988년) | 제20회 (1989년) | |
The Zen Gun 배링턴 J. 베일리 | 『엘릭 사가』 마이클 무어콕 | 『뉴로맨서』 윌리엄 깁슨 | Norstrilia 코드웨이너 스미스 | Footfall 래리 니븐 제리 퍼넬 | |
제21회 (1990년) | 제22회 (1991년) | 제23회 (1992년) | 제24회 (1993년) | 제25회 (1994년) | |
Collision Course 배링턴 J. 베일리 | The Uplift War 데이비드 브린 | The McAndrew Chronicles 찰스 셰필드 | 『타우 제로』 폴 앤더슨 | 『내부우주』 제임스 P. 호건 | |
제26회 (1995년) | 제27회 (1996년) | 제28회 (1997년) | 제29회 (1998년) | 제30회 (1999년) | |
『히페리온』 댄 시먼스 | 『히페리온의 몰락』 댄 시먼스 Timelike Infinity 스티븐 백스터 | 『멸종』 로버트 J. 소여 | Fallen Angels 래리 니븐 제리 퍼넬 마이클 F. 플린 | 『타임십』 스티븐 백스터 『붉은 화성』 킴 스탠리 로빈슨 | |
제31회 (2000년) | 제32회 (2001년) | 제33회 (2002년) | 제34회 (2003년) | 제35회 (2004년) | |
『키리냐가』 마이크 레스닉 | Frameshift 로버트 J. 소여 | There and Back Again 팻 머피 | Illegal Alien 로버트 J. 소여 | Heaven's Reach 데이비드 브린 | |
제36회 (2005년) | 제37회 (2006년) | 제38회 (2007년) | 제39회 (2008년) | 제40회 (2009년) | |
Distress 그렉 이건 | Diaspora 그렉 이건 | 『모털 엔진』 필립 리브 | Brightness Falls from the Air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 | Spin 로버트 찰스 윌슨 | |
제41회 (2010년) | 제42회 (2011년) | 제43회 (2012년) | 제44회 (2013년) | 제45회 (2014년) | |
『마지막 행성』 존 스칼지 | Eifelheim 마이클 F. 플린 | 『와인드업 걸』 파올로 바치갈루피 | The Android's Dream 존 스칼지 | 『블라인드 사이트』 피터 와츠 | |
제46회 (2015년) | 제47회 (2016년) | 제48회 (2017년) | 제49회 (2018년) | 제50회 (2019년) | |
『마션』 앤디 위어 | 『사소한 정의』 앤 레키 | United States of Japan 피터 타이리야스 | 『잠자는 거인』 실뱅 누벨 | Mecha Samurai Empire 피터 타이리야스 | |
제51회 (2020년) | 제52회 (2021년) | 제53회 (2022년) | 제54회 (2023년) | 제55회 (2024년) | |
『삼체』 류츠신 | 『암흑의 숲』 류츠신 | 『프로젝트 헤일메리』 앤디 위어 | 『파운데이션 3부작』 아이작 아시모프 | The Kaiju Preservation Society 존 스칼지 |
1. 개요
Elric Saga영국의 작가 마이클 무어콕이 쓴, 멜니보네의 엘릭(Elric of Melniboné)을 주인공으로 하는 판타지 소설 시리즈.
2. 시리즈 목록
- Elric of Melniboné
- The Sailor on the Seas of Fate
- The Weird of the White Wolf (단편집)
- The Sleeping Sorceress
- The Bane of the Black Sword
- Stormbringer
3. 등장인물
3.1. 신
- 아리오크: 멜니보네 인들이 섬기는 신이며, 엘릭도 종종 피와 영혼을 대가로 도움을 얻음. 혼돈의 신.
- 스트라샤: 물의 정령들의 왕.
- 돈블라스: "the justice maker" 질서의 신.
3.2. 멜니보네 인
- 엘릭
- 사이모릴: 엘릭의 여자 사촌이자 연인.
- 이르쿤: 엘릭의 남자 사촌. 멜니보네의 왕좌를 노리며, 엘릭과 대비되는 전형적인 멜니보네 인. 교활하고 잔혹한 성격이다. 잔혹함과 힘으로 세계를 다시 정복하여 멜니보네를 다시금 세상의 주인으로 만들고 싶어한다.
- 다이빔 트바: 왕족(드래곤 로드). 대대로 드래곤들이 잠들어 있는 동굴을 관리하며, 엘릭을 지지하는 몇 안 되는 멜니보네 인.
- 다이빔 슬롬: 다이빔 트바의 아들. 최후의 전투에 몬블레이드를 들고 엘릭과 함께 참전한다.
3.3. 동료
- 문글럼: 마지막까지 엘릭과 함께하는 동료.
- 랙히어: 동료이자 그 자신 역시 이터널 챔피언의 화신으로, "the red archer" 라고 불리며 엘릭과 셰이드 게이트 너머의 세계에서 만나게 됨. 한때 혼돈의 신을 섬기던 워리어 프리스트였으나 믿음을 버린 대가로 추방당함.
- 자로지니아: 엘릭의 아내.
4. 무기
5. 기타
이 시리즈는 Warhammer 시리즈에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대표적으로 카오스의 문장(symbol of chaos, 여덟 방향으로 뻗어나간 화살표), 하이 엘프들의 꼬깔 투구가 그것들중 하나이다.[1]또한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의 성향(질서-중립-혼돈 & 선-악) 역시 이 시리즈에서 따온 것이다.
멜니보네의 옥좌는 거대한 루비를 깎아서 만든 홍옥좌인데 얼음과 불의 노래의 철왕좌나 해석좌에 영향을 준 걸로 추정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80년대 초부터 번역되어 큰 인기를 끌었으나, 국내에서는 페이퍼하우스에서 2010년에 출판한 단편집 <장르라고 부르면 대답함>에 수록된 "노래하는 성채"가 유일한 번역작이다.
6. 외부 링크
[1] 원래 시타델 미니어처에서는 엘릭 사가의 미니어처들을 제작 중이었으나, 계약이 만료되자 해당 모델들을 하이 엘프, 제국, 카오스 등으로 판매하게 되면서 Warhammer가 나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