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08:18:59

약수(수학)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
,
,
,

정수론
Number Theo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리
페아노 공리계 · 정렬 원리 · 수학적 귀납법 · 아르키메데스 성질
산술
나눗셈 약수·배수 배수 · 약수(소인수) · 소인수분해(목록 · 알고리즘) · 공배수 · 공약수 ·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
약수들의 합에 따른 수의 분류 완전수 · 부족수 · 과잉수 · 친화수 · 사교수 · 혼약수 · 반완전수 · 불가촉 수 · 괴짜수
정리 베주 항등식 · 산술의 기본정리 · 나눗셈 정리
기타 유클리드 호제법 · 서로소
디오판토스 방정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피타고라스 세 쌍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모듈러 연산
잉여역수 · 2차 잉여 · 기약잉여계 · 완전잉여계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합동식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윌슨의 정리
소수론
수의 분류 소수 · 합성수 · 메르센 소수 · 쌍둥이 소수(사촌 소수 · 섹시 소수) · 페르마 소수 · 레퓨닛 수
분야 대수적 정수론(대수적 정수론/심화) · 해석적 정수론
산술함수 뫼비우스 함수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소수생성다항식
정리 그린 타오 정리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디리클레 정리 · 소피 제르맹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골드바흐 추측(미해결)(천의 정리) · 폴리냑 추측(미해결) · 소수 정리
기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윌런스의 공식
}}}}}}}}} ||

1. 개요2. 성질
2.1. 다항식에서의 약수2.2. 약수의 개수2.3. 약수의 합2.4. 진약수2.5. 최대공약수
3. 교육 과정에서의 약수4. 유니타리 약수
4.1.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4.2. 유니타리 약수의 합
5. 기타
5.1. 1000 이하의 자연수의 약수
5.1.1. 1~1005.1.2. 101~2005.1.3. 201~3005.1.4. 301~4005.1.5. 401~5005.1.6. 501~6005.1.7. 601~7005.1.8. 801~9005.1.9. 901~10005.1.10. 결론(1~100)
6. 관련 문서

1. 개요

/ Divisor

[math(b=an)]인 정수 [math(n)]이 존재할 때 정수 [math(b)]는 0이 아닌 정수 [math(a)]로 나누어진다(0이 아닌 정수 [math(a)]를 약수로 갖는다)고 말하며, [math(a|b)]라 표기하고, 이때의 [math(a)]를 [math(b)]의 약수라 한다.
0은 0이 아닌 모든 정수로 나누어지며(0이 아닌 모든 정수를 약수로 가지며) 모든 정수는 1로 나누어진다(1을 약수로 갖는다). 또한 0이 아닌 모든 정수는 자기 자신을 약수로 갖는다.
양의 정수 [math(a)]가 정수 [math(b)]의 약수이면 음의 정수인 [math(-a)] 또한 정수 [math(b)]의 약수이다. 따라서 정수의 약수는 항상 쌍으로 나타나지만 보통 약수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양의 약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1보다 큰 모든 자연수는 최소한 1과 자기 자신을 약수로 갖는다.[1]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자연수를 소수(素數)라고 한다.[2] 소원, 즉 소수의 진정한 정의는 이곳에 있다. 소수와 달리 합성수는 1과 자기 자신 이외의 수를 약수로 갖는 즉, 약수의 개수가 3 이상인 자연수[3]라고 볼 수 있다. 합성수는 둘 이상의 소수의 곱으로 표현 가능하다.

2. 성질

2.1. 다항식에서의 약수

의미를 확장하여 어떤 다항식이 2개 이상의 다항식의 곱으로 인수분해될 경우, 그 곱을 이루는 각 다항식 또는 그 다항식의 곱을 약수라고 하기도 한다. 이 때 보통 다항식에서의 약수는 유리계수 다항식까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math(x^2 - 1)] 은 [math((x + 1)(x - 1))]로 인수분해되므로, [math(x + 1)]과 [math(x-1)]을 [math(x^2 - 1)] 의 약수로 취급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1과 자기자신(이 경우는 [math(x^2 - 1)]) 역시 약수가 된다. 복소계수 다항식의 관점에서 해석할때는 [math(x^2+1)]은 [math((x-i)(x+i))]로 인수분해할 수 있다. 물론 보통 [math(x+i)]와 [math(x-i)]를 [math(x^2+1)]의 약수로 보지 않는다.

2.2. 약수의 개수

자연수를 소인수분해하였을 때, 각 소인수의 지수에 1을 더한 수들을 곱한 값이다. 예를 들어, [math(72=2^3\times 3^2)]이므로 약수의 개수는 [math((3+1)\times(2+1)=12)]이다. 이는 자연수를 [math(a^p\times b^q\times c^r\times\cdots)]의 꼴로 가정했을 때 1에 [math(a)]를 [math(0,~1,~2,~\cdots,~p)]번(총 [math(p+1)]가지), [math(b)]를 [math(0,~1,~2,~\cdots,~q)]번(총 [math(q+1)]가지), [math(c)]를 [math(0,~1,~2,~\cdots,~r)]번(총 [math(r+1)]가지)... 곱하는 경우가 존재하며, 곱의 법칙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하면 [math((p+1)\times (q+1)\times (r+1)\times\cdots)]이 되기 때문이다.

제곱수의 약수의 개수는 홀수이고, 제곱수가 아닌 경우는 짝수이다. 제곱수의 경우 소인수를 [math(a,~b,~c,~\cdots)]라고 할 때 [math((a^p\times b^q\times c^r\times\cdots )^2 = a^{2p}\times b^{2q}\times c^{2r}\times\cdots)]의 꼴로 표현되므로 소인수의 제곱 횟수가 모두 짝수가 되어, 위 방법으로 약수의 개수를 계산하면 [math((짝수+1)\times (짝수+1)\times\cdots\times (짝수+1) = (홀수)\times(홀수)\times\cdots\times (홀수) = (홀수))]가 되기 때문이다. 반면 제곱수가 아닌 경우는 이러한 꼴로 나타낼 수 없으므로 소인수의 제곱 횟수 중 홀수인 것이 존재한다. 따라서 약수의 개수를 계산할 때 곱하는 수들 중 (홀수+1) = (짝수)인 것이 존재하여 곱셈 결과, 즉 약수의 개수도 짝수가 된다.

이와 관련된 유명한 수학 문제가 하나 있다.
옛날 어느 왕국의 성벽에는 1번부터 100번까지 100개의 성문이 있는데, 매일 100명의 문지기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문을 여닫는다고 한다.
1번 문지기는 모든 문을 열어 놓는다.
2번 문지기는 2의 배수에 해당하는 문이 열려 있으면 닫고, 닫혀 있으면 연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n번 문지기는 n의 배수에 해당하는 문이 열려 있으면 닫고, 닫혀 있으면 연다.
그렇다면, 100명이 모두 문을 여닫았을 때, 열려 있는 문은 몇 번 문인가?

1번 문지기가 모든 문을 열어 놓으므로 처음에는 모든 문이 닫혀 있다고 가정하자. n번 문은 n의 약수에 해당하는 문지기에 의해 열리고 닫힐 것이다. 문이 열려 있으면 그 문을 여닫은 문지기가 홀수 명이라는 뜻이고, 닫혀 있으면 짝수 명이라는 뜻이므로, 열려 있는 문에 해당하는 번호의 약수의 개수는 홀수일 것이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제곱수에 해당하는 1, 4, 9, ..., 100번의 10개의 문이 열려 있을 것이다.

참고로 2014학년도 3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수학 B형에도 비슷한 문제가 등장했는데, [math(n)] 이하의 자연수 중 양의 약수가 홀수 개인 자연수를 [math(\langle n \rangle)]개로 하여 [math(\langle n \rangle=16)]인 자연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정답은 288로, 교육청에서 제공한 공식 풀이에서 이 성질을 활용하였다.[4]

약수의 개수의 성질로는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다항식의 약수 역시 같은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때는 소인수 대신 인수분해한 결과에서의 각 다항식을 이용한다는 점만 다르다. 예를 들어 [math(x^4-2x^2+1)]을 인수분해하면 [math((x-1)^2(x+1)^2)]가 되므로 [math((x-1))]과 [math((x+1))]을 각각 0, 1, 2번 곱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약수는 [math((2+1)\times(2+1)=9)]개가 된다. 더 이상 인수분해되지 않는 다항식들을 소수처럼 취급하는 셈이다. 앞에서 서술했듯 더 이상 인수분해되지 않는다는 것은 유리계수다항식까지다.

이를 함수의 꼴로 만든 것이 약수 함수이다.

2.3. 약수의 합

약수의 합 역시 소인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 어떤 자연수 [math(n)]을 소인수분해한 결과가 [math(a^p\times b^q\times c^r\times\cdots)]라 하면 모든 약수의 합은 [math((1+a+a^2+\cdots +a^p)\times (1+b+b^2+\cdots +b^q)\times (1+c+c^2+\cdots +c^r)\times\cdots)] 라는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등비수열의 합 공식을 사용하면 [math(1+a+a^2+\cdots +a^p=\dfrac {a^{p+1}-1}{a-1})]이므로 약수의 합은 [math(\dfrac {a^{p+1}-1}{a-1}\times\dfrac {b^{q+1}-1}{b-1}\times\cdots\times\dfrac {c^{r+1}-1}{c-1}\times \cdots)]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th(600=2^3\times 3^1\times 5^2)]이므로 모든 약수의 합은 [math((1+2+2^2+2^3)\times(1+3)\times(1+5+5^2)=1860)]이다.

이는 상술한 것처럼 [math(n=a^p\times b^q\times c^r\times \cdots)]의 약수를 소인수분해하면 [math(n=a^{p'}\times b^{q'}\times c^{r'}\times \cdots~(0\le p'\le p,~0\le q'\le q,~0\le r'\le r\cdots))]의 꼴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인데, 여기서 [math(p,~q,~r,~\cdots)]을 정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생각하면 [math(n)]의 약수의 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는 [math(n=a^p\times b^q)]라 하자. 그렇다면 약수의 일반적인 꼴은 [math(a^{p'}\times b^{q'})]이 된다.

[math(\begin{aligned}&(a^0\times b^0)+(a^1\times b^0)+(a^2\times b^0)+\cdots+(a^p\times b^0) \\
+~&(a^0\times b^1)+(a^1\times b^1)+(a^2\times b^1)+\cdots+(a^p\times b^1) \\
+~&(a^0\times b^2)+(a^1\times b^2)+(a^2\times b^2)+\cdots+(a^p\times b^2) \\
+\cdots~+~&(a^0\times b^q)+(a^1\times b^q)+(a^2\times b^0)+\cdots+(a^p\times b^q)\end{aligned})]


위 식을 정리하면 [math(a^0\times (b^0+b^1+b^2+\cdots+b^q)+a^1\times (b^0+b^1+b^2+\cdots+b^q)+a^2\times (b^0+b^1+b^2+\cdots+b^q)+\cdots+a^p\times (b^0+b^1+b^2+\cdots+b^q)=(a^0+a^1+a^2+\cdots+b^p)\times (b^0+b^1+b^2+\cdots+b^q))]임을 알 수 있다.

특히 2의 제곱수 꼴([math(2^n)])의 경우 약수의 합은 [math(1+2+2^2+\cdots+2^n=2^{n+1}-1)]이다. 예를 들어 [math(32=2^5)]의 약수의 합은 [math(1+2+...+32=63=2^6-1)]이다.

이를 함수의 꼴로 만든 것이 약수 함수이다.

2.4. 진약수

어떤 자연수를 [math(n)]이라고 할 때 [math(n)]의 약수 중 [math(n)]을 제외한 모든 약수를 진약수라고 부른다.
[math(n)]의 모든 진약수의 합을 [math(s)]라고 할 때, [math(n)]이 [math(s)]보다 크면 부족수고, [math(n)]이 [math(s)]보다 작으면 과잉수고, [math(n)]이 [math(s)]와 같으면 완전수다. 또 [math(a)]의 진약수의 합이 [math(b)]이고 [math(b)]의 진약수의 합이 [math(a)]이면 [math(a)]와 [math(b)]는 서로 친화수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 참고.

2.5. 최대공약수

두 수 [math(a,~b)] 가 있을 때, 어떤 수 [math(n)]이 [math(a)]의 약수이면서 동시에 [math(b)]의 약수일때 이를 '공약수'라고 부른다. 그런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를 최대공약수라고 부른다. 만약 두 수 [math(a,~b)]의 공약수가 [math(1)]뿐이라면, 두 수의 최대공약수 역시 당연히 [math(1)]이 된다. 이때 이 두 수를 '서로소인 수'라고 부른다.

이 최대공약수[5]대수학분야의 정수론이나 현대대수학에서도 많이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기약잉여계가 그 중 하나이다.

3. 교육 과정에서의 약수

4. 유니타리 약수

Unitary divisor

자연수 [math(n)]의 약수 중 [math(d)]라는 수가 있을 때, [math(d)]와 [math(n\div d)]가 서로소이면 [math(d)]를 [math(n)]의 유니타리 약수라 한다. 예를 들어 36의 약수는 1, 2, 3, 4, 6, 9, 12, 18, 36인데, 여기서 [math(36\div 4=9)]와 4는 서로소이므로 4는 36의 유니타리 약수이다. 이는 9도 마찬가지.

유니타리 약수의 성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4.1.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

자연수 [math(n)]을 소인수분해한 결과가 [math(a^p\times b^q\times c^r\times\cdots)]일 때 유니타리 약수는 1에 각 소인수를 0번 또는 [math(p,~q,~r,~\cdots)]번 곱한 수이며, 그 사이의 횟수만큼 곱한 소인수가 있는 수는 유니타리 약수가 아니다. 나머지 소인수를 곱한 횟수에 상관없이 [math(a)]를 [math(k(0<k<p))]번 곱한 수를 [math(X)]라 하면, [math(n\div X)]는 [math(a)]를 [math((p-k)~(0<p-k<p))]번 곱한 수이므로 [math(a)]를 소인수로 가지게 되어 [math(X)]와 [math(n\div X)]가 서로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math(n=a^p\times b^q\times c^r\times\cdots)] ([math(a,~b,~c,~\cdots)]는 소인수)라 하면 [math(n)]의 유니타리 약수는 [math(1,~a^p,~b^q,~c^r,~a^p\times b^q,~a^p\times c^r,~b^q\times c^r,~a^p\times b^q\times c^r)]의 8개이다.

따라서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는 [math(n)]의 소인수가 [math(x)]개라고 했을 때 각 소인수 및 이들의 곱해진 횟수(지수)와 상관없이 [math(2^x)]개이다. 예를 들어 [math(1260=2^2\times 3^2\times 5\times 7)]이므로 1260의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는 [math(2^4=16)]개이며, [math(330=2\times 3\times 5\times 11)]로 소인수와 그 곱해진 횟수는 1260과 다르지만 1260처럼 소인수가 4개이므로 역시 16개이다. 따라서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는 [math(2^0=1)]개여야 하므로 오직 1뿐이다. 또한 약수의 개수가 [math(n)]인 자연수 중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경우는 [math(n)]의 각 소인수가 곱해진 지수를 모두 더한 값을 [math(x)]개라고 할 때, [math(2^x)]개가 최대이며, 이 값은 [math(n)]보다 작거나 같다. 이는 어떤 자연수의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가 그 수의 약수의 개수보다 적거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100 이하의 자연수의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는 다음과 같으며, 유니타리 약수가 [math(2^n)]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는 소수를 작은 것부터 [math(p_1,~p_2,\cdots)]라고 할 때 [math(p_1\times p_2\times\cdots\times p_n)]이다. 예를 들어 유니타리 약수가 [math(2^5(=32))]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는 [math(2\times 3\times 5\times 7\times 11=2310)]이다.
개수 자연수
[math(1(=2^0))] 1 (1개)
[math(2(=2^1))][7] 소수(2, 3, 5, ..., 97), 4, 8, 9, 16, 25, 27, 32, 49, 64, 81 (35개)
[math(4(=2^2))] 6, 10, 12, 14, 15, 18, 20, 21, 22, 24, 26, 28, 33, 34, 35, 36, 38, 39, 40, 44, 45, 46, 48, 50, 51, 52, 54, 55, 56, 57, 58, 62, 63, 65, 68, 69, 72, 74, 75, 76, 77, 80, 82, 85, 86, 87, 88, 91, 92, 93, 94, 95, 96, 98, 99, 100 (56개)
[math(8(=2^3))] 30, 42, 60, 66, 70, 78, 84, 90 (8개)
[math(16(=2^4))] 이상 없음[8]

유니타리 약수의 개수가 1을 제외하고 짝수라는 것은 다음의 방법으로도 알 수 있다.

4.2. 유니타리 약수의 합

자연수 [math(n)]을 소인수분해한 결과가 [math(n=a^p\times b^q\times c^r\times\cdots)]일 때 유니타리 약수는 [math(a^p,~b^q,~c^r,~\cdots)] 중에서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곱한 수와 [math(1)]이기 때문에 그 합은 [math(1+a^p+b^q+c^r+...+(a^p\times b^q\times c^r\times ...))]이고, 이를 인수분해하면 [math((1+a^p)\times(1+b^q)\times(1+c^r)\times\cdots)]이다. 예를 들어 60을 소인수분해하면 [math(2^2\times 3^1\times 5^1)]이므로 60의 유니타리 약수의 합은 [math((1+2^2)\times(1+3^1)\times(1+5^1)=120)]이다.

5. 기타

[math(n)] [math(N)]
1 1
2 2
3 4
4 6
5, 6 12[10]
7, 8 24[11]
9 36
10 48
11, 12 60
13, 14, 15, 16 120[12]
17, 18 180
19, 20 240
21, 22, 23, 24 360
25, 26, 27, 28, 29, 30 720
31, 32 840
33, 34, 35, 36 1260
37, 38, 39, 40 1680
언어별 명칭
미국어 divisor
일본어 約数(やくすう)
중국어 约数 (yuēshù)
프랑스어 diviseur, sousmultiple
스페인어 divisor
베트남어 ước số.
라틴어 dīvísor(남성명사)
인도네시아어 pembagi
우크라이나어 Подільність

5.1. 1000 이하의 자연수의 약수

5.1.1. 1~100

자연수 약수 약수의 개수 비고
1 1 1 약수가 1개인 유일한 자연수
2 1, 2 2 유일한 짝수 소수, 가장 작은 소수
3 1, 3 2 소수
4 1, 2, 4 3 최초의 합성수
5 1, 5 2 소수
6 1, 2, 3, 6 4 약수가 4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이자 최초의 완전수
7 1, 7 2 소수
8 1, 2, 4, 8 4
9 1, 3, 9 3 최초의 홀수 합성수
10 1, 2, 5, 10 4
11 1, 11 2 소수
12 1, 2, 3, 4, 6, 12 6 약수가 6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이자 최초의 과잉수
13 1, 13 2 소수
14 1, 2, 7, 14 4
15 1, 3, 5, 15 4
16 1, 2, 4, 8, 16 5
17 1, 17 2 소수
18 1, 2, 3, 6, 9, 18 6
19 1, 19 2 소수
20 1, 2, 4, 5, 10, 20 6 자기 자신을 제외한 모든 약수가 부족수인 최초의 과잉수
21 1, 3, 7, 21 4
22 1, 2, 11, 22 4
23 1, 23 2 소수
24 1, 2, 3, 4, 6, 8, 12, 24 8 약수가 8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
25 1, 5, 25 3
26 1, 2, 13, 26 4
27 1, 3, 9, 27 4
28 1, 2, 4, 7, 14, 28 6 누적 약수의 개수 100개 돌파(101),두번째 완전수
29 1, 29 2 소수
30 1, 2, 3, 5, 6, 10, 15, 30 8
31 1, 31 2 소수
32 1, 2, 4, 8, 16, 32 6
33 1, 3, 11, 33 4
34 1, 2, 17, 34 4
35 1, 5, 7, 35 4 최초로 3연속으로 약수의 개수가 같다.
36 1, 2, 3, 4, 6, 9, 12, 18, 36 9 약수가 9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
37 1, 37 2 소수
38 1, 2, 19, 38 4
39 1, 3, 13, 39 4
40 1, 2, 4, 5, 8, 10, 20, 40 8
41 1, 41 2 소수
42 1, 2, 3, 6, 7, 14, 21, 42 8
43 1, 43 2 소수
44 1, 2, 4, 11, 22, 44 6
45 1, 3, 5, 9, 15, 45 6
46 1, 2, 23, 46 4
47 1, 47 2 소수
48 1, 2, 3, 4, 6, 8, 12, 16, 24, 48 10 약수가 10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이자, 75와 부부수 관계, 최초의 부부수
49 1, 7, 49 3 누적 약수의 개수 200개 돌파(201)
50 1, 2, 5, 10, 25, 50 6
51 1, 3, 17, 51 4
52 1, 2, 4, 13, 26, 52 6
53 1, 53 2 소수
54 1, 2, 3, 6, 9, 18, 27, 54 8
55 1, 5, 11, 55 4
56 1, 2, 4, 7, 8, 14, 28, 56 8
57 1, 3, 19, 57 4
58 1, 2, 29, 58 4
59 1, 59 2 소수
60 1, 2, 3, 4, 5, 6, 10, 12, 15, 20, 30, 60 12 약수가 12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
61 1, 61 2 소수
62 1, 2, 31, 62 4
63 1, 3, 7, 9, 21, 63 6
64 1, 2, 4, 8, 16, 32, 64 7
65 1, 5, 13, 65 4
66 1, 2, 3, 6, 11, 22, 33, 66 8
67 1, 67 2 소수
68 1, 2, 4, 17, 34, 68 6 누적 약수의 개수 300개 돌파(300)
69 1, 3, 23, 69 4
70 1, 2, 5, 7, 10, 14, 35, 70 8 과잉수 중 최초로 반완전수가 아닌 괴짜수 (weird number)
71 1, 71 2 소수
72 1, 2, 3, 4, 6, 8, 9, 12, 18, 24, 36, 72 12
73 1, 73 2 소수
74 1, 2, 37, 74 4
75 1, 3, 5, 15, 25, 75 6 48과 부부수 관계, 가장 작은 부부수
76 1, 2, 4, 19, 38, 76 6
77 1, 7, 11, 77 4
78 1, 2, 3, 6, 13, 26, 39, 78 8
79 1, 79 2 소수
80 1, 2, 4, 5, 8, 10, 16, 20, 40, 80 10
81 1, 3, 9, 27, 81 5
82 1, 2, 41, 82 4
83 1, 83 2 소수
84 1, 2, 3, 4, 6, 7, 12, 14, 21, 28, 42, 84 12
85 1, 5, 17, 85 4
86 1, 2, 43, 86 4
87 1, 3, 29, 87 4 누적 약수의 개수 400개 돌파(403)
88 1, 2, 4, 8, 11, 22, 44, 88 8
89 1, 89 2 소수
90 1, 2, 3, 5, 6, 9, 10, 15, 18, 30, 45, 90 12
91 1, 7, 13, 91 4
92 1, 2, 4, 23, 46, 92 6
93 1, 3, 31, 93 4
94 1, 2, 47, 94 4
95 1, 5, 19, 95 4
96 1, 2, 3, 4, 6, 8, 12, 16, 24, 32, 48, 96 12
97 1, 97 2 소수
98 1, 2, 7, 14, 49, 98 6
99 1, 3, 9, 11, 33, 99 6
100 1, 2, 4, 5, 10, 20, 25, 50, 100 9
합계 482 약 4.82개

5.1.2. 101~200

자연수 약수 약수의 개수 비고
101 1, 101 2 소수
102 1, 2, 3, 6, 17, 34, 51, 102 8
103 1, 103 2 소수
104 1, 2, 4, 8, 13, 26, 52, 104 8 누적 약수 500개 돌파
105 1,3,5,7,15,21,35,105 8
106 1,2,53,106 4
107 1, 107 2 소수
108 1, 2, 3, 4, 6, 9, 12, 18, 27, 36, 54, 108 12
109 1, 109 2 소수
110 1,2,5,10,11,22,55,110 8
111 1, 3, 37, 111 4
112 1, 2, 4, 7, 8, 14, 16, 28, 56, 112 10
113 1, 113 2 소수
114 1, 2, 3, 6, 19, 38, 57, 114 8
115 1, 5, 23, 115 4
116 1, 2, 4, 29, 58, 116 6
117 1, 3, 9, 13, 39, 117 6
118 1, 2, 59, 118 4
119 1, 7, 17, 119 4
120 1, 2, 3, 4, 5, 6, 8, 10, 12, 15, 20, 24, 30, 40, 60, 120 16 약수가 16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누적 약수 600개 돌파
121 1, 11, 121 3
122 1, 2, 61, 122 4
123 1, 3, 41, 123 4
124 1, 2, 4, 31, 62, 124 6
125 1,5,25,125

5.1.3. 201~300

자연수 약수 약수의 개수 비고
201 1,3,67,201 4
202 1,2,101,202 4
203 1,7,29,203 4
204 1,2,3,4,6,12,17,34,51,68,102,204 12
205 1,5,41,205 4
206 1,2,103,206 4
207 1,3,9,23,69,207 6
208 1,2,4,8,13,16,26,52,104,208 10

5.1.4. 301~400

5.1.5. 401~500

5.1.6. 501~600

5.1.7. 601~700

5.1.8. 801~900

5.1.9. 901~1000

5.1.10. 결론(1~100)

약수의 개수별로 몇 개가 있는지 따지자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것처럼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는 제곱수뿐이므로 짝수인 경우보다 훨씬 적다. 또한 위에서 볼 수 있다시피 홀수의 약수보단 짝수의 약수가 훨씬 더 많다. 왜냐하면 [math(2n)]과 [math(pn)](단, [math(p)]는 2가 아닌 소수)은 약수 개수가 같지만 항상 [math(2n<pn)]이므로 비슷한 크기의 수라면 홀수의 약수 개수가 더 적을 것이기 때문이다.
약수의 개수 1 2 3 4 5 6 7 8 9 10 12
자연수의 개수 1 28 4 33 2 17 2 13 2 2 6
합계 482 평균 4.82개

6. 관련 문서


[1] 그 수가 만약 짝수라면 1, 2, 자기 자신([math(n)]) 과 자기 자신을 2로 나눈 수([math(n\div 2)])를 약수로 갖는다.[2] 즉 소수는 약수의 개수가 2인 자연수를 뜻한다고 볼 수 있다.[3] 1 + [math(n)] + 자신[4] 위의 문제를 이해했다면, [math(\langle n \rangle =m)]일 때, [math(m^2\le n<(m+1)^2)]라는 것을 눈치챘을 것이다. 수식을 이용해 나타내면 [math(\langle n\rangle = \lfloor \sqrt{n}\rfloor)]이다. [math(\lfloor\;\cdot\;\rfloor)]는 바닥 함수.[5] 실상 최대공약수 전체 부분보다는 주로 서로소인 [math(1)]이 해당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서로소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6] 종종 중학교 때 개수를 구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7] 1과 자기 자신[8] 유니타리 약수가 16개 이상인 최소의 자연수는 소인수가 4개 이상이어야 하므로 [math(2\times 3\times 5\times 7=210)]이다.[9] 여기에 '따라서 이 수는 부족수/완전수/과잉수이다.'라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10] 약수가 홀수 개이려면 제곱수여야 하는데, 16의 약수의 개수는 5개이다.[11] 약수가 정확히 7개인 제일 작은 수는 64이다. 그리고 원래 약수가 소수 [math(p)]개인 수는 소인수분해의 방식이 [math(x^{p-1})]인 경우밖에 없으므로 임의의 소수의 [math(p-1)]제곱 뿐이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자연수 중 가장 작은 수는 당연히 [math(2^{p-1})].[12] 약수가 14개인 수는 나오기 어려운 것이, [math(14=2\times 7)]이므로 약수가 14개이려면 [math(a^6\times b)]([math(a)], [math(b)]는 서로 다른 소수) 혹은 [math(a^{13})] 중 하나의 꼴로 나타내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형식의 소인수분해를 가지는 최소의 자연수는 [math(a=2,~b=3)]일 때 [math(2^6\times 3=192)]이다. 이는 약수의 개수가 [math(21(=3\times 7))]개, [math(22(=2\times 11))]개, [math(26(=2\times 13))]개, [math(33(=3\times 11))]개, [math(34(=2\times 17))]개, [math(35(=5\times 7))]개 등등과 같이 약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수가 5 이상의 소수들끼리의 곱일 때도 마찬가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