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05 20:19:01

압록강선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555555> 본선
제1지선
제2지선
폐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
<colcolor=#fff><colbgcolor=#ED1C27> 압록강선
鴨緑江線 | Amrokkang Line
노선 정보
분류 제1지선 철도
기점 부풍역
종점 압록강역
역 수 2개
개업 1940년 9월 30일
운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노선 제원
노선연장 4.1㎞
궤간 1,435㎜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비전철화
신호방식
통행방향 좌측통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 목록

1. 개요

북한의 제1지선 철도 노선.

2. 노선 정보

1940년 9월 30일 평북철도주식회사의 사철로 수풍호안(水豊湖岸)선이라는 노선명으로 개통되었다.

분단 이후 소련군정의 관리 하에 놓이게 되었고, 1946년 8월 10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에 의해 모든 철도 노선이 국유화되면서 현재에 이른다.

압록강선의 주 수요는 화물 취급으로, 압록강을 통해 뗏목을 타고 떠내려온 통나무를 건져 화물열차를 통해 북한 전역으로 운송된다고 한다.

3. 역 목록

기점거리 역간거리 역명 분기선 소재지
0.0 0.0 부 풍 富 豊 평북선
수풍선
평안북도 삭주군
4.1 4.1 압록강[1] 鴨綠江

[1] 개업 당시 역명은 수풍호안(水豊湖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