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05eae>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 경기순환 | |||
| 자율주행 | |||
| 일반 | 시내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 똑버스 | |||
| 마을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
1. 개요
보영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30km다.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
|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창박골) | 종점 |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수리동설악아파트) |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4:40 |
| 막차 | 23:20 | 막차 | 23:50 | ||
| 평일배차 | 5~8분 | 주말배차 | 6~10분 | ||
| 운수사명 | 보영운수 | 인가대수 | 16대[1] | ||
| 노선 | 창박골 - 안양1번가 - 만안구청 - 성결대학.안양아트센터.명학역 - 명학초등학교 - 미도아파트.메트로병원 - 산본고가도로 - 금정역 - 산본시장 - 산본2동행정복지센터 - 군포문화예술회관 - 남천병원 - 둔전초등학교 → 수리동성당 → 중앙도서관 → 수리동행정복지센터 → 경기폴리텍고등학교 → 둔전초등학교 → 이후 역순 | ||||
3. 역사
- 2009년에 2대가 증차되었고 2016년에도 2대가 추가적으로 증차되었다.
- 2018년 5월 3일에 55번 신설로 7대가 감차되었다가 2018년 7월 22일부로 2대가 다시 증차되었다.
- 2020년 4월에 1대가 감차되었다.
- 2025년 1월에 인가 현실화로 19대에서 11대까지 감차되었다가 서서히 증차되어 16대까지 회복되었다.
4. 특징
- 경유하는 학교가 많아[2](수리초.중.고, 경기폴리텍고, 능내초교, 둔전초교) 등하교시간대와 야자가 끝나는 시간대에는 수요가 많다. 특히 수리고 하교시간대면 꽉 차 있을 정도다.
- 삼보영 특유의 엿가락 같은 배차 중에서도 그 정도가 유독 심한 노선이다. 산본 구간에서는 두대가 연속으로 붙어 가면서 서로 한 정거장씩 건너뛰는 방식으로 손님을 태우기도 한다.[3] 심지어 군포 방향 안양1번가에서도 붙어간다.
- 군포공영차고지에 주박하는 차량들과 창박골에 주박하는 차량들이 나뉘어 있다. 군포에 주박하는 차량들은 첫차를 금강아파트에서 시작하고 막차 역시 삼환계룡아파트에서 종료하며, 안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전기버스 충전도 군포공영차고지와 창박골에서 동시에 진행한다.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주말과 공휴일에 날씨가 좋으면 근처 수리산으로 등산하는 등산객들도 타는 경우를 간혹 볼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정역, 명학역, 안양역[4]
수도권 전철 4호선: 금정역
일반 철도역: 안앙역(ITX-마음, 무궁화호)